방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구역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방(坊)은 조선과 베트남의 행정 구역 단위이다. 역사적으로 율령제의 도시 행정 단위이기도 하다.
베트남
[편집]베트남 도시의 동(洞)에 해당하는 행정단위로 베트남어로는 프엉(베트남어: Phường / 坊)이라고 읽는다.
1992년 헌법이 정하는 바에 의하면, 중앙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城舗直屬中央)의 하위 행정 단위인 군(베트남어: Quận / 郡)의 행정 단위이다. 또한 성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ỉnh 城舗直屬省) 아래에, 또한 중앙직할시와 성 아래의 시사(thị xã ,市社) 아래에 두게 되는 3단계 행정 단위이다. 2008년 12월 31일 현재 베트남 전역에 1327개의 방이 있으며 호찌민시는 259방, 하노이에 147개의 방이 있다.[1]
2013년 헌법 제 110조 및 지방 정부 조직법 제2조에 따라 현재 베트남의 행정분권화는 3가지 행정 수준으로 구성된다.[2]
조선
[편집]조선 왕조 수도 한성부에 1396년부터 1894년까지 498년동안 존재했던 행정 단위이다. 태조 5년 1396년 4월 19일 도성을 동서남북중 5부(府)로 구분하고, 아래에 52개의 방을 배치하였다.[3] 이때 배치된 방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3]
부 (府) | 이름 | 한자 | 총계 |
---|---|---|---|
동부 |
|
|
12방 |
남부 |
|
|
11방 |
서부 |
|
|
11방 |
북부 |
|
|
10방 |
중부 |
|
|
8방 |
조선 초기의 한성부 관할구역은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까지로 하였으나(성저십리), 대부분의 인구가 도성 내에 집중되어 1428년(세종 10) 한성부 인구 10만 3328명 가운데 도성 밖 10리까지의 인구는 불과 6,044명 뿐으로, 도성 밖에는 서대문·서소문 밖에 2방, 동대문 밖에 2방, 남부의 2방 등 6방이 있을 정도였다.
세종 때 서부의 3방을 폐지하여 52방에서 49방이 되었고, 영조 때는 동부 6방, 남부 11방, 서부 9방, 북부 12방, 중부 8방으로 5부 46방이었으며, 그 밑에 328계(契)를 두었다. 그 후 고종 2년 1865년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이 신설되어 47방이 되고, 계도 11개가 증가되어 339계가 되었다.
1894년 제1차 갑오개혁으로 498년만에(1396년~1894년) 방은 동(洞)으로 개편되었다. 이 개혁안에서 한성부 5부를 5서(五署)로 개칭하고 계를 288개로 줄이고 775개의 동(洞)을 설치하여 한성부는 5서 288계 775동이 되었다.[4]
1895년 고종 32년 제2차 갑오개혁 때 팔도제가 23부제로 개편되었다.[5] 한성부는 한성군, 고양군, 파주군, 교하군, 연천군, 적성군, 양주군, 포천군, 영평군, 가평군, 광주군(廣州)으로 개편되었다. (다음해에 13도제로 개편하면서 한성부로 복구)
일본
[편집]일본 헤이안쿄의 조방제에는 1방이 4보였으며, 1보는 4마을(町)로 정해져 있었다.[6]
각주
[편집]- ↑ 행정 단위, 토지 및 기후, 2009년 12월 31일 기준
- ↑ “지방정부, 2013년 헌법”. 2021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한성부에 명하여 5부의 총 52방에 방명표를 세우게 하다,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2책 9권 5장 B면【국편영인본】 1책 91면, 태조 5년 4월 19일 병오 1번째기사, 2019년 3월 21일 확인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성부, 2019년 3월 21일 확인
- ↑ 《춘향이 살던 집에서, 구보씨 걷던 길까지》한국문학산책, 민족문학사연구소, 창비 p179
- ↑ 아미노 요시히코 (2003). 〈中世前期の都市と職能民〉. 網野善彦. 《都市と職能民の活動》. 日本の中世. 中央公論新社. ISBN 4124902158. p.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