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만권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권당(萬卷堂)은 고려 충선왕(忠宣王)이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베이징)에 지은 독서당(讀書堂)이다.

충숙왕 1년(1314년)에 충선왕이 건립하였으며, 고금의 많은 진서(珍書)를 수집하여 학문을 연구하게 하던 학술 연구기관이다. 충선왕은 본국으로부터 이제현을 부르고, 원의 유명한 학자 조맹부(趙孟頫) · 염복(閻復) · 우집(虞集) · 요수(姚燧) 등을 초청, 함께 경사(經史)를 연구 토론하게 하였다. 이에 고려와 원나라 양국의 문예가 많이 교류되었다.

일설에는 만권당의 이칭이 제미기덕통소개(濟美基德痛掃漑)인 것을 두고, 몽골어와 티베트어에서 음차해 만든 어휘로 'jimy-ig-tei(입을 다물다) 'tun'(명상하다) 'suu-gai'(앉아있다)'라는 것을 두고 고려식의 불교 참선방을 말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

각주[편집]

  1. 이개석 (2004년 9월). 《「『高麗史』元宗・忠烈王・忠宣王世家 중 元朝關係記事의 註釋硏究」, 『동양사학연구』88( 동양사학회), pp.125-126.》.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 후기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