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베르트 슈바르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르베르트 슈바르츠(Norbert Schwarz)는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심리학과 및 USC Marshall School of Business 의 교수이자 USC Dornsife Mind and Society Center의 공동 소장이다.

1980년 독일 만하임 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1986년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그는 1981년부터 1992년까지 하이델베르그 대학에서 가르쳤고 학제 간 사회 과학 연구 센터인 ZUMA(현재는 GESIS )의 과학 이사로 재직했다(1987-1992년). 1993년부터 2013년까지 그는 앤아버 의 미시간 대학교에서 사회 심리학 프로그램의 Charles Horton Cooley 대학 심리학 교수, Ross School of Business 의 마케팅 교수, 프로그램 연구 교수로 임명되었다. 조사 방법론 박사 및 사회 연구소 연구 교수 . 그는 행동 과학 고급 연구 센터 (2000/01; 2009/10)의 펠로우였으며 유럽(예: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 및 아시아(예: 홍콩 과학 대학교)의 대학에서 방문 직위를 역임했다. 및 기술 ).

서지 분석[1] 은 1997-2017년 Scopus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과학 분야에서 가장 자주 인용되는 과학자 0.1%에 그를 포함시켰다. 그의 작업의 핵심 주제는 사람들이 자기 보고를 통해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태도를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 자리에서 의견이 형성되고 최근의 상황적 요인들이 판단에 불균형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에는 감정(예: 기분, 감정 및 메타인지적 경험 ), 질문에 내포된 의미에 대한 추론, 감정과 생각이 판단 대상 또는 비교 대상의 표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지 여부가 포함된다.

슈바르츠는 감정의 인지적 결과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설명 중 하나인 "정보로서의 감정" 가설을 제안했다.[2] 이 관점에 따르면 사람들은 대상에 대해 판단할 때 판단 대상에 대한 진단 정보로 자신의 감정에 의존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응답을 생성하지만 사람들은 때때로 이 정보의 출처에 대해 실수를 한다. 이 가설은 사람들이 기분이 좋지 않을 때보다 기분이 좋을 때 다양한 대상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기분 효과에 의해 잘 입증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비오는 날 기분이 좋지 않을 때보다 맑은 날 기분이 좋을 때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고 보고한다.[3] 그러나 면접관이 삶의 만족도 질문을 하기 전에 날씨를 언급한다면 사람들은 현재의 기분을 삶의 만족도보다는 날씨에 기인한다고 정확하게 귀인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분 효과는 사라진다.

정보로서의 감정의 관점에서 본 다른 연구에서 슈바르츠는 정보를 회상하거나 처리할 때의 편안함이나 어려움과 같은 초인지적 경험이 판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즉, 사람들은 정보 처리의 용이함 또는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따라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감정은 판단과 무관한 다양한 출처에서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력의 느낌은 과제의 요구(몇 가지 대 많은 예를 제시하려고 시도함), 처리 유창성(높거나 낮은 그림 대비 대비, 쉬운 것과 어려운 것 -글꼴 읽기) 및 운동 운동(눈썹 수축).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노력하는 감정은 진실, 빈도, 위험 및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처리하기 쉬운 자극은 더 정확하고, 더 가능성이 있고, 덜 위험하고, 더 아름다운 것으로 간주된다.

슈바르츠는 설문조사 응답의 기초가 되는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로도 유명하다. 이 작업은 일반적으로 설문 조사 인터뷰 컨텍스트를 연구자와 응답자 간의 대화로 취급한다. 이 논리에 따르면, 설문조사는 언어철학자인 폴 그라이스가 제시한 협동 원리에 의해 지배된다. 간단히 말해서, 협력 원칙은 사람들이 필요한 만큼(그러나 그 이상은 아님) 명확하고 진실되게 의사 소통을 시도하고 관련 정보만 제공한다고 말한다. 슈바르츠의 관점에서 응답자는 설문조사에 응답할 때 그라이스의 대화격률(질, 양, 관계 및 매너)을 따를 뿐만 아니라 면접관이 묻는 질문이 동일한 원칙에 따라 안내된다고 가정한다.

범주화 및 정신적 구성에 대한 슈바르츠의 작업은 사회적 판단에서 대조 및 동화 효과 의 출현을 설명하는 포함/배제 모델[4]의 개발로 이어졌다. 대조 효과는 원자가 정보에 대한 노출이 원자가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판단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한다. 동화 효과는 원자가 정보에 대한 노출이 원자가 정보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판단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한다. 포함/제외 모델의 핵심 통찰력은 판단 대상을 평가할 때 대상 자체와 평가 대상이 되는 표준을 모두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치가 있는 정보가 대조를 생성하는지 동화를 생성하는지 여부는 그것이 대상 내에 포함되는지(동화) 또는 비교 대상이 되는 표준(대조)에 포함되는지에 달려 있다.

참고 문헌[편집]

  1. Ioannidis JPA, Baas J, Klavans R, Boyack KW (2019) A standardized citation metrics author database annotated for scientific field.
  2. Schwarz, N., & Clore, G. L. (2007).
  3. Schwarz, N., & Clore, G. L. (1983) Mood, misattribution and judgement of well-being.
  4. Schwarz, N., & Bless, H.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