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입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도입창 (南道立唱)은 남도지방에서 불리던 입창이다. "보렴", "화초 사거리"에 이어서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새타령", "성주풀이" 등이 덧붙여져 불렸으나, 육자배기 이하는 민요로 부르고, 새타령은 잡가로 부른다.

보렴[편집]

보렴 (報念)은 보시염불(報施念佛)의 약자로 산타령과 마찬가지로 사당패들의 소리였다. 예전에 사당패가 입창을 할 때면 우선 처음에 판염불을 불러 벽사나 축원을 한 후에 놀량을 하는 것인데, 현재의 경기나 서도의 입창에는 이 판염불 부분이 빠지고 대뜸 놀량 부분부터 시작한다. 불가어로 된 보렴은 이 판염불 부분이 따로 떨어져 나가 하나의 독립된 을 이룬 것이다. 처음에 중모리로 노래하다가 굿거리를 거쳐 자진모리로 변한다. 음계는 완전히 남도 시나위조계면조로 되어 있지만, 악구의 끝을 위로 삐쳐서 끝나고 있는 점 등은 입창의 특징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계면조로 되어 있으면서도 씩씩한 느낌을 준다.

화초사거리[편집]

화초사거리 (花草四巨里)는 남도입창의 하나이다. 그 사설경기놀량과 마찬가지로 '산천초목이 …….'로 시작하여 별 의미 없는 타령으로 된 긴염불 부분과 후반부인 화초염불 부분에 이르러 화초의 이름들을 잠깐 들다 마는 대목이 더 첨가되어 있을 뿐, 그 밖의 사설은 경기놀량과 마찬가지로 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하다가 거의 끝부분에 이르러 굿거리장단(또는 중중모리장단)으로 변한다.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가락 진행도 남도의 계면조라기보다는 경기놀량에 가깝다. 그러나, 굿거리장단 부분부터는 완전히 남도계면조 형식이다. 씩씩한 맛이 난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