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 미셸
그로 미셸(Gros Michel)은 프랑스어로 “큰 미셸”이란 뜻이며, 바나나의 수출 품종이며, 1950년대까지 주로 길러지던 품종이었다.[1] 그로 미셸의 물리적 특징은 수출용 농산품으로 적절한데, 껍질이 두꺼워 운송 중 멍이 잘 들지 않고 다발의 밀도가 높아 적재가 쉽다.[2] 파나마병에 감염되어 지금은 캐번디시 바나나를 주로 재배한다. 그로 미셸은 3배체이다.
분류
[편집]그로 미셸은 야생 바나나 Musa acuminata의 3배체 품종이며, AAA group에 속한다.[3]
공식적인 명칭은 Musa acuminata (AAA Group) 'Gros Michel'이다.
그로 미셸은 스페인어로는 Guineo Gigante, Banano, 또는 Plátano Roatán라고 부른다. 또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Pisang Ambon, 미얀마에서는 Thihmwe, 캄보디아에서는 Chek Ambuong, 타이에서는 Kluai hom thong이라고 한다.[3]
재배 역사
[편집]초기의 인기와 쇠퇴
[편집]프랑스 박물학자 니콜라스 보댕은 동남아시아로부터 이 바나나 알뿌리 몇 개를 가져가 카리브해섬 마르티니크의 식물 정원에 심었다. 1835년 프랑스 식물학자 장 프랑수아 뿌아는 보댕의 식물을 마르티니크에서 자메이카로 가져갔다.[4] 그로 미셸 바나나는 온두라스, 코스타리코를 비롯에 중앙 아메리카에서 대규모 플랜테이션으로 재배되었다.
이 품종은 한 때 중앙아메리카에서 유럽과 북아메리카로 가는 주된 수출품이었으나, 1950년대 Fusarium oxysporum f.sp. cubense 곰팡이가 일으키는 마름병인 파나마 병에 - 감염되지 않은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재배되기는 하지만 - 중앙아메리카 그로 미셸 플랜테이션의 거대한 지역이 일소되었다.[5] 중앙아메리카 플랜테이션과 미국 식품점에서 그로 미셸은 캐번디시로 대체되었다.
1960년대까지 그로 미셸 수출업자들은 이런 취약한 품종을 거래할 수 없어서, 캐번디시 군에 속하는 내성 있는 품종을 기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캐번디시 바나나도 파나마 병에 걸릴수도 있다는 사실을 안 과학자들은 새로운 바나나 품종을 개발중이다.[5]
계속된 이용
[편집]본래의 ‘그로 미셸’ 품종은 말레이시아와 타이에서 최고 수출품이다.
온두라스 농업 연구 재단은 파나마병 내성 ‘그로 미셸’ 바나나 품종 개량을 시작하였으며, 초기의꽃가루 받이에 있어 농경학적 어려움을 지나, 개선된 이배체 (SH-3142)를 개발하여 다양한 잡종을 개발하는데에 수그루로 이용하였다. (FHIA-01, FHIA-18, FHIA-21 and FHIA-250). 지금까지 공개된 잡종들은 좋은 송이와 농경법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며, 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고,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호주의 다양한 농업-생태 조건에서 자라고 있다.[6]
맛
[편집]인공 바나나향은 캐번디시 바나나가 아닌 ‘그로 미셸’ 맛을 흉내내려 했기 때문에 “가짜”라는 도시 전설이 있다. 이것은 바나나향료의 주 화학 물질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때문인데, 이것은 모든 바나나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물질이다.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화합물은 다양한 용도와 쉬운 사용 때문에 인기 있다. 이것은 그로 미셸 바나나 맛과 가깝다고 느껴지는데, 그것은 이 품종이 다른 바나나에 비하여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농도가 높고 다른 “휘발성 성분”이 적기 때문이다. 캐번디시 바나나는 훨씬 더 복잡한 성분을 갖고 있고 따라서 순수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맛이 덜난다. 바나나향료가 일부러 그로 미셸 맛에 더 가깝게 설계된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7]
문화적 언급
[편집]1922년의 브로드웨이 익살극 Make It Snappy에 나오는 노래 "Yes! We Have No Bananas"는 20세기 초반 파나마병 출몰로 시작된 그로 미셸 바나나의 품귀에 영감을 받았다고 이야기된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oeppel, Dan (2008년 6월 18일). “Yes, We Will Have No Bananas” (Editorial). New York Times. 2008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The History of Banana Flavoring - Lucky Peach”. 《Lucky Peach》 (미국 영어). 2016년 5월 19일. 2017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Michel H. Porcher; Prof. Snow Barlow (2002년 7월 19일). “Sorting Musa names”.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Dan Koeppel (2008). 《Banana: the fate of the fruit that changed the world》. Hudson Street Press. 33쪽. ISBN 1-4295-9325-3.
- ↑ 가 나 “Panama Disease: An Old Nemesis Rears Its Ugly Head Part 1: The Beginnings of the Banana Export Trades”. 《apsnet.org》. 2016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Fundación Hondureña de Investigación Agrícola – FHIA – Knowledge and news on bananas from ProMusa”. 《promusa.org》.
- ↑ Chris Baraniuk (2014). “The Secret of fake flavours”. BBC. 2015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Koeppel, Dan (19 June 2005). “Can This Fruit Be Saved?”. Popsci.com. 21 February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