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선 폭발 목록
보이기
이하는 중요한 감마선폭발(GRB)들을 나열한 것이다. 감마선폭발은 감지된 일자에 따라 명명된다. 첫 번째 두 숫자는 연도, 두 번째 두 숫자는 월, 세 번째 두 숫자는 일을 의미한다.
발견 순서 목록
[편집]위치 | 적색편이 | 감지한 기기 | 비고 | |
---|---|---|---|---|
GRB 670702 | 벨라 4호 | 최초로 감지된 GRB | ||
GRB 790305b | 최초로 감지된 단기지속 GRB | |||
GRB 830801 | 가장 밝은 GRB 감지 | |||
GRB 970228 | z = 0.695[1] | BeppoSAX | 최초로 엑스선 잔광 및 가시광 잔광이 감지된 GRB | |
GRB 970402 | RA 14h 50.1m Dec -69° 20′ |
BeppoSAX | 그전까지 나침반자리에서 전혀 관측된 바 없는 엑스선원에서 발생.[2] | |
GRB 970508 | z = 0.835 | BeppoSAX | 최초로 전파 잔광이 감지된 GRB | |
GRB 971214 | z = 3.4 | BATSE | 적색편이가 1을 초과한 최초의 GRB. 초기 발견된 GRB 중 광도가 가장 높음. | |
GRB 980425 | z = 0.008[3] | BATSE | 가장 지구에 가까운 GRB이며 초신성과 관련지어 생각된 최초의 GRB. | |
GRB 990123 | RA 15h 25m 29s Dec 44° 45′ 30″[4] |
z = 1.6 | BeppoSAX | 가시광과 감마선이 동시에 관측된 최초의 GRB. 스위프트 발사 이전에 관측된 GRB 중 잔광이 가장 밝았음. |
GRB 991216 | BATSE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으로 감지된 최초의 GRB.[5] | ||
GRB 030329 | z = 0.168[6] | HETE 2호 | 고전적 장기지속 GRB 중 지구에 가장 가까우며 현재까지 잔광이 가장 상세하게 연구된 GRB. | |
GRB 050509B | z = 0.225 | 스위프트 | 잔광과 모은하 후보가 함께 감지된 최초의 단기지속 GRB. | |
GRB 050709 | z = 0.161[7] | HETE 2호 | 가시광이 감지된 최초의 단기지속 GRB. | |
GRB 050724 | z = 0.258[8] | 스위프트 | 전파, 가시광, 엑스선이 모두 감지된 최초의 단기지속 GRB이며 또한 타원은하와의 관련성이 명백한 최초의 단기지속 GRB. | |
GRB 060218 | z = 0.0331[9] | 스위프트 | 감마선 폭발 직후 시작된 초신성을 추적할 수 있었던 최초의 GRB. | |
GRB 060614 | RA 21h 23m 27.0s Dec -53° 02′ 02″ |
z = 0.125 | 스위프트 | 밝은 초신성의 존재게 배제된 장기지속 GRB 또는 감마선 방출이 특이하게 길게 지속된 단기지속 GRB. |
GRB 080319B | z = 0.937 | 스위프트 | 현재까지 우주에서 관측된 모든 자연 현상 중 가시광 대역에서 가장 밝은 현상임. 또한 가시광 잔광이 가장 밝은 GRB이기도 함. | |
GRB 080916C | z = 4.35[10] | 페르미 |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에너지가 큰 GRB | |
GRB 090423 | RA 09h 55m 33.08s Dec +18° 08′ 58.9″ |
z = 8.2 | 스위프트 | 분광이 확인된 천체 중 우주에서 가장 멀리 있는 천체. 현재까지 그 기록 유지 중. |
GRB 101225A | RA 00h 00m 47.51s Dec +44° 36′ 01.1″ |
0.33 | 스위프트 | 지속기간 28분. "크리스마스 폭발"이라고도 함. |
GRB 130427A | RA 11h 32m 32.84s Dec +27° 41″ 56.2 |
0.34 | 스위프트 | 시간 단위의 지속기간. |
최고/최저 기록 목록
[편집]기록 분야 | GRB | 데이터 | 비고 |
---|---|---|---|
최단 거리 | GRB 980425 | z = 0.0085 | |
최장 측광 적색편이 | GRB 090429B | z = 9.4 | [13] |
최장 분광 적색편이 | GRB 090423 | z = 8.2 | [11] |
광도 최저 | |||
광도 최대 | GRB 080916C | 줄 | |
최장 지속기간 | GRB 111209A | 7시간 이상 | |
최단 지속기간 | GRB 820405 | 12 밀리초 | |
최장 거리 육안 GRB | GRB 080319B | 실시등급 5.7 z = 0.937 |
[14][15] |
최단 거리 육안 GRB |
최초 사례 목록
[편집]최초 사항 | GRB | 감지 일자 | 데이터 | 비고 |
---|---|---|---|---|
최초로 감지된 GRB | GRB 670702 | 1967년 7월 2일 | [14] | |
최초로 정체가 밝혀진 GRB | GRB 781104 | 1978년 11월 4일 | 베네라 11호, 베네라 12호, 프로그노즈 7호, ISEE 3호,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 벨라 | |
최초로 감지된 장기지속 GRB | ||||
최초로 감지된 단기지속 GRB | ||||
최초로 감지된 경분광 GRB | ||||
최초로 감지된 연분광 GRB | ||||
거리가 결정된 최초의 GRB | GRB 970508 | z=0.835 | [16] | |
전파 잔광이 감지된 최초의 GRB | GRB 970508 | [16] | ||
가시광 잔광이 감지된 최초의 GRB | GRB 970228 | 협정세계시 1997년 2월 28일 2시 58분 | [16] | |
엑스선 잔광이 감지된 최초의 GRB | GRB 780506 | [17] | ||
초신성과 관계된 최초의 GRB | GRB 980425 | 협정세계시 1998년 4월 25일 21시 49분 | SN 1998bw | 초신성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정립된 최초의 GRB는 GRB 030329임(SN 2003dh)[16][18] |
육안 관측이 가능했던 최초의 GRB | GRB 080319B | 협정세계시 2008년 3월 19일 6시 12분 | 실시등급 5.7 |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저배율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했던 최초의 GRB는 GRB 990123(실시등급 9)[14][15][16] |
거리 순 목록
[편집]GRB | 거리 | 비고 |
---|---|---|
GRB 090429B | [13] (측광 적색편이) | |
GRB 090423 | [19] | |
GRB 080913 | [19] | |
GRB 060116 | 전경 소광이 너무 심해서 측광 적색편이 값은 불확정성이 매우 높음.[20] | |
GRB 140515A | [21] | |
GRB 050904 | [22] |
각주
[편집]- ↑ Bloom 2001
- ↑ Antonelli
- ↑ Tinney 1998
- ↑ Odewahn 1999
- ↑ “The Universe Lights Up on Beethoven's Birthday”.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1999년 12월 30일. 2010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Caldwell 2003
- ↑ Price 2005
- ↑ Berger 2005
- ↑ Mirabal 2006
- ↑ Greiner 2009
- ↑ 가 나 A gamma-ray burst at a redshift of z~8.2 http://adsabs.harvard.edu/abs/2009Natur.461.1254T
- ↑ Reddy 2009
- ↑ 가 나 Space Daily, Explosion Helps Researcher Spot Universe's Most Distant Object, 27 May 2011
- ↑ 가 나 다 "The Incredible Gamma Ray Burst of 2008" Archived 2012년 2월 22일 - 웨이백 머신, T. Dockweiler, Science Newsletter - June 2008 . Retrieved 2009 11 11.
- ↑ 가 나 The Astrophysical Journal, "Observations of the Naked-Eye GRB 080319B: Implications of Nature's Brightest Explosion", Volume 691, Issue 1, pp. 723-737 (2009), doi 10.1088/0004-637X/691/1/723, Bibcode: 2009ApJ...691..723B
- ↑ 가 나 다 라 마 The ING Newsletter, "Gamma-Ray Burst Afterglows: Surprises from the Sky", P. Vreeswijk, N. Tanvir, T. Galama, No.2 - March 2000 (accessed 2009/11/11)
- ↑ arXiv, "The X-Ray Characteristics of a Classical Gamma-Ray Burst and its Afterglow" Archived 2016년 10월 2일 - 웨이백 머신, A. Connors, G. J. Hueter, 9 Jun 1998 doi 10.1086/305815 (accessed 2009 Nov 11)
- ↑ SpaceDaily, "Cosmological Gamma-Ray Bursts and Hypernovae Conclusively Linked", Jun 22, 2003 . Retrieved 2009 11 November.
- ↑ 가 나 New Scientist, "Most distant object in the universe spotted", Rachel Courtland, 22:32 27 April 2009 . Retrieved 2009-11-11.
- ↑ [1]
- ↑ http://arxiv.org/abs/1405.7400
- ↑ New Scientist, "Blazing gamma-ray burst is most distant ever", Jeff Hecht, 11:47 13 September 2005 . Retrieved 2009 November 11.
참고 자료
[편집]- Antonelli LA, Fiore F. “BeppoSAX follow-up observations of the region of the Gamma-ray burst GRB 970402”. 2016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일에 확인함.
- Caldwell N; 외. (2003). “GRB 030329, optical spectroscopy”. GCN Circulars (2053).
- Mirabal N, Halpern JP (2006). “GRB 060218: MDM Redshift”. GCN Circulars (4792).
- Odewahn SC; 외. (1999). “GRB 990123”. GCN Circulars (7094). Bibcode:1999IAUC.7094A...1O.
- Bloom JS; 외. (2001). “The Redshift and the Ordinary Host Galaxy of GRB 970228”. Astrophysical Journal 554 (2): 678–683. arXiv:astro-ph/0007244. Bibcode:2001ApJ...554..678B. doi:10.1086/321398.
- Greiner J; 외. (2009). “The redshift and afterglow of the extremely energetic gamma-ray burst GRB 080916C”.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8 (1): 89–94. arXiv:0902.0761. Bibcode:2009A&A...498...89G. doi:10.1051/0004-6361/200811571.
- Reddy F (2009년 4월 28일). “New Gamma-Ray Burst Smashes Cosmic Distance Record”. NASA. 2020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4일에 확인함.
- Schilling G (2002). Flash! The hunt for the biggest explosions in the unive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0053-6.
- Tinney C; 외. (1998). “IAU Circular 6896: IAUC 6896: GRB 980425; V4334 Sgr”.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11년 7월 5일에 확인함.
- Price PA; 외. (2005). “GRB 050709: Spectroscopy”. GCN Circulars (3605).
- Berger E; 외. (2005). “The afterglow and elliptical host galaxy of the short γ-ray burst GRB 050724”. Nature 438 (7070): 988–90. arXiv:astro-ph/0508115. Bibcode:2005Natur.438..988B. doi:10.1038/nature04238. PMID 1635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