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4874
보이기
NGC 4874 | |
![]() 허블 망원경의 탐사용 고성능 카메라로 광대역에서 촬영한 광학 및 근적외선 사진, NGC 4874는 사진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 |
위치 | |
---|---|
별자리 | 머리털자리 |
적경 | 12h 59m 35.709s[1] |
적위 | +27° 57′ 33.80″[1] |
물리적 성질 | |
적색편이량 | 0.23937 ± 0.000010 |
거리 | 109 Mpc[2] |
형태 | cD, Ei, E0 |
규모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등급 | 12.7 |
기타 성질 | |
명칭 | NGC 4874, NFP J125935.7+275734, [BGH2001] 237, [KK90] 169, B2 1257+28, 10P 236, [BO85] Coma 1, [L84] A1656-G2, 5C 4.85, SDSS J125935.70+275733.3, [BTM97] ACO 1656 2, [LGF2005] B125711+281340, CAIRNS J125935.60+275734.0, TT 12, [CHM2007] LDC 926 J125935.70+2757338, [LO95] 1257+282, FOCA 0728-499, UGC 8103, [CHM2007] HDC 745 J125935.70+2757338, [MHR2010] 194.8988+27.9593, GIN 765, UZC J125935.6+275734, [D80] ACO 1656 129, [MO2001b] J125935.7+275732.3, GMP 3329, 4W 1257+28W01, [DFO95] 246, [MOL2003] A1656 J125935+275730, GP 489, 7W 1257+28W01, [DLB87] C11, [OLK95] 1257+282, LEDA 44628, WSTB 74W16, [EDG2007] 3, [OR76] 1257+282, 2MASX J12593562+2757360, Z 1257.2+2814, [FBH2004] X281, [OSR2002] b089, 2MASX J12593570+2757338, Z 160-A22, [FBH2004] S89, [PL95] ACO 1656 G2, MCG+05-31-070, Z 160A-22, [FWB89] Galaxy 321, [ZBO89] ACO 1656-5, MPMM 123, Z 160-231, [K94] 125710.70+281346.0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NGC 4874는 머리털자리 은하단에 위치한 초거대 타원 은하이다 영국의 천문학자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 1세가 1785년에 발견하여 밝은 성운 상 천체로 기록하였다. NGC 4874는 지구로부터 약 109 메가 파섹(약 3억 5,0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북쪽 머리털자리 은하단에서 두 번째로 밝은 은하이다. 우리 은하 같은 원반형의 나선 은하와는 달리, 이 은하는 거대한 먼지 띠나 나선팔이 없으며 매끄럽고 특색 없으며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광도가 감소하는 공 모양의 윤곽선을 갖고 있다. NGC 4874는 최대 직경 약 백 만 광년에 이르는 거대한 항성 헤일로에 둘러싸여 있다. 또 현재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에서부터 유입되는 (초 고온의)물질과의 반응으로 가열되는 거대한 성간 매질 구름으로 에워싸여 있기도 하다. 고 에너지 플라스마로 이루어진 제트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1,700 광년까지 뻗어 있다.
초신성
[편집]지금까지 3개의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각주
[편집]- ↑ 가 나 “SIMBAD basic query result”. 《SIMBAD 천문학 데이터베이스》. 2011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Galaxies in a Swarm of Star Clusters”. 《Picture of the Week》. ESA/Hubble. 2011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Latest Supernovae”. 2025년 4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