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tpd
![]() | |
개발자 | Jan Kneschke |
---|---|
발표일 | 2003년 3월 |
안정화 버전 | 1.4.73[1] ![]() |
저장소 | |
운영 체제 | 크로스 플랫폼 |
언어 | 영어 |
라이선스 | BSD 라이선스 |
웹사이트 | lighttpd![]() |
사용하는 곳[편집]
lighttpd는 웹 2.0 관련하여 유명한 YouTube, Wikipedia, Sourceforge, Meebo 의 웹 서버로(2006년 기준)[3], 2007년 4월에 집계된 NetCraft의 웹서버 순위에 5번째로 등록이 된 바 있다.[4] Alexa의 최상위 250개 사이트 중에 5개 사이트가 랭킹되었다.[3]
제한[편집]
- 1.4.40 이하 버전은 X-Sendfile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CGI, FastCGI, 프록시로부터 공식적으로 큰 파일 보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5] 이러한 제한은 lighttpd 1.4.40에서 제거되었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1.4.73”. 2023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lite-tee-pee-dee'라고 발음하며, 짧게는 '라이티(lighty)'라고 부른다. 한빛미디어의 lighttpd 항목 Archived 2013년 6월 16일 - 웨이백 머신에서
- ↑ 가 나 Lighttpd powers 6 Alexa Top 250 sites
- ↑ April 2007 Web Server Survey - Netcraft
- ↑ “Memory usage increases when proxy+ssl+large file”. lighttpd bug tracker. 201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lighty should buffer responses (after it grows above certain size) on disk”. lighttpd bug tracker. 2016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Lighttpd
- 공식 웹사이트 (영어)
- Freshmeat 라이티 홈페이지 Archived 2007년 9월 30일 - 웨이백 머신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