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2020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50m 자유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0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50m

개최국 일본 일본
개최 도시 도쿄
개최 기간 2021년 7월 30일 (예선)
2021년 7월 31일 (준결선)
2021년 8월 1일 (결선)
경기장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
메달리스트
   미국
   프랑스
   브라질
« 2016
2024 »
2020년 하계 올림픽
수영
Sample picture of the event (unofficial)
자유형
50m   남자   여자
100m 남자 여자
200m 남자 여자
400m 남자 여자
800m 남자 여자
1500m 남자 여자
배영
100m 남자 여자
200m 남자 여자
평영
100m 남자 여자
200m 남자 여자
접영
100m 남자 여자
200m 남자 여자
개인혼영
200m 남자 여자
400m 남자 여자
계영
4 × 100m 남자 여자
4 × 200m 남자 여자
혼계영
4 × 100m 남자 혼성 여자
마라톤
10km 남자 여자

2020년 하계 올림픽 수영 남자 자유형 50m는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2021년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열린다.[1][2]

배경[편집]

남자 자유형 50m 경기는 이번 대회가 10번째로,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당시 50야드 자유형으로 처음 선보인 이래,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다시 도입되어 치러져 온 종목이다.

예선[편집]

남자 자유형 200m 종목의 예선기준 기록은 22초 01이다. 공인 예선대회에서 해당 기록에 도달한 선수라면 각 국가 (NOC)당 두명까지 자동으로 올림픽 출전권을 얻게 된다. 이 예선기록에 따라 출전권을 모두 배분했음에도 자리가 남으면 올림픽 선발 기록인 50초 03을 적용, 해당 기록을 달성한 선수를 세계랭킹순으로 나열해 남은만큼 배분한다. 수영 전 종목 진출에 실패한 국가라도 초청 대표로 나설 수 있다.[2]

경기 방식[편집]

경기는 예선, 준결선, 결선의 세 라운드로 구성된다. 예선 랭킹에서 16위 이내에 오른 선수는 준결선에 진출한다. 또 준결선 랭킹에서 8위 이내에 오른 선수가 결선에 진출한다. 경기 중에 동일한 기록이 발생한다면 해당 선수들만 모여 다시 경기를 펼치는 스윔오프 (swim-off) 경기가 진행된다.[3]

기록[편집]

이번 대회 이전의 세계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유형 선수 기록 장소 날짜
브라질 세자르 시엘루 (BRA) 20.91 브라질 상파울루 2009년 12월 18일
세자르 시엘루 (BRA) 21.30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2008년 8월 16일

다음은 이번 대회에서 세워진 신기록이다.

날짜 경기 선수 국가 시간 기록
8월 1일 결선 케일럽 드레슬 미국 21.07

일정[편집]

지난 대회들과는 달리 이번 대회는 3일 연속 걸쳐 매 라운드가 따로 진행된다.[1] 모든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 한국 시각과 동일) 기준.

날짜 시간 라운드
2021년 7월 27일 (화) 19:00 예선
2021년 7월 28일 (수) 10:30 준결선
2021년 7월 29일 (목) 11:37 결선

결과[편집]

예선[편집]

상위 16위 이내에 든 선수가 준결선에 진출한다.[4]

순위 레인 선수 국가 기록
1 10 4 케일럽 드레슬 미국 21.32 Q
2 10 3 플로랑 마노두 프랑스 21.65 Q
3 9 5 크리스티안 콜로메프 그리스 21.66 Q
4 8 4 브루누 프라투스 브라질 21.67 Q
5 7 4 블라디슬라프 부호프 우크라이나 21.73 Q
6 8 3 톰 더부르 네덜란드 21.75 Q
7 8 7 예서 퓌츠 네덜란드 21.84 Q
8 8 2 브렌트 헤이든 캐나다 21.85 Q
9 10 7 로렌초 차체리 이탈리아 21.86 Q
10 9 1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21.88 Q
11 8 5 마이클 앤드류 미국 21.89 Q
12 9 4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21.92 Q
13 10 5 벤저민 프라우드 영국 21.93 Q
14 9 8 알베르토 메스트레 베네수엘라 21.96 Q
15 8 6 막심 그루세 프랑스 21.97 Q
10 6 파벨 유라셰크 폴란드 Q
17 9 7 메이론 셰루티 이스라엘 22.01
18 8 1 조슈아 리언도 캐나다 22.03
19 7 7 산토 콘도렐리 이탈리아 22.14
8 8 니콜라 밀레니치 크로아티아
9 2 유허쉰 중화인민공화국
22 7 8 하이코 기글러 오스트리아 22.17
23 9 6 비에른 셀리게르 스웨덴 22.19
24 7 6 알리 할라팔라 이집트 22.22
10 8 브래드 탠디 남아프리카 공화국
26 9 3 아리페카 리우코넨 핀란드 22.25
10 2 먹심 로버노브슈키 헝가리
28 6 4 안드레이 바르나 세르비아 22.29
29 10 1 캐머론 매커보이 오스트레일리아 22.31
30 7 1 가브리엘 카스타뇨 멕시코 22.32
31 7 2 콘라드 체르니아크 폴란드 22.33
32 7 3 얀 호 홍콩 22.45
33 6 7 딜런 카터 트리니다드 토바고 22.46
6 8 브렛 프레이저 케이맨 제도
35 6 1 엔소 마르티네스 우루과이 22.52
36 6 5 렌조 티오나조 수리남 22.56
37 7 5 우사마 사눈 알제리 22.61
38 6 3 산티아고 그라시 아르헨티나 22.67
39 6 6 황선우 대한민국 22.74
40 6 2 다비드 포포비치 루마니아 22.77
41 5 5 루크 게비 필리핀 22.84
42 5 4 에미르 무라토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2.91
43 5 3 아르투르 바르세기안 아르메니아 23.14
44 5 2 알라 마소 난민 23.30
45 5 6 니콜라스 안토니우 키프로스 23.38
46 5 7 기르마이 에프렘 에리트레아 23.94
47 5 8 필립 곰스 말라위 24.00
48 5 1 먀그마르 델게르후 몽골 24.63
49 4 5 셰인 카도건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24.71
50 4 4 알산 세두 란시나 니제르 24.75
51 4 3 무함마드 아리풀 이슬람 방글라데시 24.81
52 4 6 푹 헴 캄보디아 24.91
53 4 7 마크 당수 베냉 24.99
54 4 8 아다마 우에드라오고 부르키나파소 25.22
55 4 1 엘로이 마니라구하 르완다 25.38
56 4 2 샤킬 무사 잠비아 25.54
57 3 6 마우페몬 오토그베 토고 25.68
58 3 5 트로이 피나 카보베르데 25.97
59 3 4 산티숙 인타봉 라오스 26.04
60 3 3 올림존 이샤노프 타지키스탄 26.12
61 3 2 마마두 바 기니 26.52
62 3 8 압델말리크 무크타르 에티오피아 26.65
63 3 7 시망가 들라미니 에스와티니 26.94
64 2 2 샤를리 은디우메 카메룬 27.22
65 2 6 후세인 가베르 이브라힘 지부티 27.41
66 2 5 에브리마 부아로 감비아 27.44
67 2 4 숀 딩글리어스월러스 팔라우 27.46
68 1 5 아담 지라르 드 랑글라드 음팔리 가봉 27.66
69 2 3 파힘 안와리 아프가니스탄 27.67
70 2 7 필립 키노노 마셜 제도 27.86
71 3 1 조슈아 위세 시에라리온 27.90
72 1 4 호세 다 실바 비에가스 동티모르 28.59
73 1 3 디오스다도 미코 에방가 적도 기니 31.03

준결선[편집]

조 편성과 상관없이 8위까지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한다.[5]

순위 레인 선수 국가 기록
1 2 4 케일럽 드레슬 미국 21.42 Q
2 1 4 플로랑 마노두 프랑스 21.53 Q
3 1 5 브루누 프라투스 브라질 21.60 Q
2 5 크리스티안 콜로메프 그리스 Q
5 2 1 벤저민 프라우드 영국 21.67 Q
2 7 마이클 앤드류 미국 Q
7 2 2 로렌초 차체리 이탈리아 21.75 Q
8 1 3 톰 더부르 네덜란드 21.78 Q
9 1 2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21.82
1 6 브렌트 헤이든 캐나다
11 2 3 블라디슬라프 부호프 우크라이나 21.83
12 2 6 예서 퓌츠 네덜란드 21.87
2 8 막심 그루세 프랑스
14 1 8 파벨 유라셰크 폴란드 21.88
15 1 1 알베르토 메스트레 베네수엘라 22.22
16 1 7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22.25

결선[편집]

[6]

순위 레인 선수 국가 기록
1 4 케일럽 드레슬 미국 21.07 OR
2 5 플로랑 마노두 프랑스 21.55
3 3 브루누 프라투스 브라질 21.57
4 7 마이클 앤드류 미국 21.60
5 2 벤저민 프라우드 영국 21.72
6 크리스티안 콜로메프 그리스
7 1 로렌초 차체리 이탈리아 21.78
8 8 톰 더부르 네덜란드 21.79

각주[편집]

  1. “Tokyo 2020: Swimming Schedule”. Tokyo 2020. 2020년 1월 30일에 확인함. 
  2. “Tokyo 2020 – FINA Swimming Qualification System” (PDF). 《Tokyo 2020》 (FINA). 2020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9일에 확인함. 
  3. “FINA Swimming Rulebook, 2017–21” (PDF). 《FINA》. 2020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9일에 확인함. 
  4. “Heats results” (PDF). 2021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8일에 확인함. 
  5. “Semifinals results” (PDF). 2021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4일에 확인함. 
  6. “Final results” (PDF). 2021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