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 2011
(2010~2011년 대한민국 프로 농구 포스트시즌에서 넘어옴)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 농구의 포스트시즌은 2011년 3월 25일부터 시작하여 4월 중순까지 진행된다. 부산 KT 소닉붐이 창단 처음으로 정규리그를 우승했으며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는 정규 시즌 2위를 차지 하면서 4강에 직행하였다. 한편 6강 플레이오프 대진은 지난 09-10시즌 대진에 리벤지매치가 되면서 화제가 되었으며, 4강에서는 1,2위팀이 모두 떨어지는 결과가 나온 끝에 정규시즌 3위 KCC와 4위 동부가 7전 4선승제로 경기를 치러 4승 2패로 KCC가 우승을 차지 하였다.
목차
순위[편집]
정규 시즌[편집]
|
최종 순위[편집]
|
토너먼트표[편집]
6강 플레이오프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 |||||||||||
1 | 부산 KT | 1 | |||||||||||
4 | 원주 동부 | 3 | 4 | 원주 동부 | 3 | ||||||||
5 | 창원 LG | 0 | 4 | 원주 동부 | 2 | ||||||||
3 | 전주 KCC | 4 | |||||||||||
2 | 인천 전자랜드 | 1 | |||||||||||
3 | 전주 KCC | 3 | 3 | 전주 KCC | 3 | ||||||||
6 | 서울 삼성 | 0 |
6강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편집]
2011년 3월 25일 원주 치악체육관 |
원주 동부 프로미 | 65 | 18 (1Q) 13 14 (2Q) 13 20 (3Q) 15 13 (4Q) 14 |
55 | 창원 LG 세이커스 |
2011년 3월 26일 전주 실내 체육관 |
전주 KCC 이지스 | 105 | 23 (1Q) 16 27 (2Q) 19 25 (3Q) 16 30 (4Q) 26 |
77 | 서울 삼성 썬더스 |
2차전[편집]
2011년 3월 27일 원주 치악체육관 |
원주 동부 프로미 | 76 | 19 (1Q) 13 21 (2Q) 19 17 (3Q) 19 19 (4Q) 12 |
63 | 창원 LG 세이커스 |
2011년 3월 28일 전주 실내 체육관 |
전주 KCC 이지스 | 104 | 19 (1Q) 28 25 (2Q) 19 15 (3Q) 22 23 (4Q) 13 22 (연장[1]) 16 |
98 | 서울 삼성 썬더스 |
3차전[편집]
2011년 3월 29일 창원 실내체육관 |
창원 LG 세이커스 | 68 | 16 (1Q) 28 19 (2Q) 15 19 (3Q) 14 14 (4Q) 19 |
76 | 원주 동부 프로미 |
- 원주 동부 프로미, 4시즌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2011년 3월 30일 서울 잠실 |
서울 삼성 썬더스 | 81 | 22 (1Q) 28 15 (2Q) 26 24 (3Q) 20 20 (4Q) 23 |
97 | 전주 KCC 이지스 |
- 전주 KCC 이지스, 4시즌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4강 플레이오프[편집]
4강 플레이오프 (A조)[편집]
1차전
2011년 4월 4일 부산 사직체육관 |
부산 KT 소닉붐 | 73 | 17 (1Q) 17 21 (2Q) 9 16 (3Q) 24 24 (4Q) 18 |
68 | 원주 동부 프로미 |
2차전
2011년 4월 6일 부산 사직체육관 |
부산 KT 소닉붐 | 70 | 25 (1Q) 16 12 (2Q) 20 12 (3Q) 16 21 (4Q) 23 |
75 | 원주 동부 프로미 |
3차전
2011년 4월 8일 원주 치악체육관 |
원주 동부 프로미 | 58 | 18 (1Q) 10 11 (2Q) 19 7 (3Q) 12 22 (4Q) 16 |
57 | 부산 KT 소닉붐 |
4차전
2011년 4월 10일 원주 치악체육관 |
원주 동부 프로미 | 81 | 29 (1Q) 18 20 (2Q) 14 26 (3Q) 21 6 (4Q) 15 |
68 | 부산 KT 소닉붐 |
4강 플레이오프 (B조)[편집]
1차전
2011년 4월 5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94 | 17 (1Q) 22 16 (2Q) 20 19 (3Q) 20 23 (4Q) 13 |
91 | 전주 KCC 이지스 |
2차전
3차전
4차전
챔피언 결정전[편집]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 농구 챔피언 결정전(2011 KBL FINALS)은 2011년 4월 16일부터 정규시즌 4위 원주 동부 프로미와 3위 전주 KCC 이지스가 7전 4선승제로 진행하여 전주 KCC 이지스가 4승 2패로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1차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
6차전
2010-2011 프로농구 우승 |
---|
전주 KCC 이지스 다섯 번째 우승 |
트리비아[편집]
-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팀 중 모비스만 유일하게 올라가지 못했다. 그리고 최초로 지난 시즌 우승팀만 플레이오프에 올라가지 못하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 KT는 정규리그 우승을 하면서 팀 창단 처음으로 2년 연속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전자랜드역시 팀 창단 처음으로 정규리그 준우승을 하면서 2003~2004 시즌 이후 7년 만에 4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하였다.
- 6강 플레이오프 대진표가 지난 시즌과 똑같은 매치업이었다.(동부 VS LG는 순위만 바뀌었음.) 그리고 양팀간의 경기가 모두 3:0으로 끝이 났다.
- KCC 하승진은 2008~2009 시즌 올스타전에 이어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도 3점슛을 성공시켜 화제가 되었다.
- 삼성이 6강 플레이오프에서 3:0으로 떨어지자, 3월 31일 안준호 감독은 성적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하였다. 차기 감독으로 김상준 중앙대 감독이 확정되었다.
-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개막으로 인해 MBC 스포츠 플러스와 SBS ESPN이 야구중계를 하면서 일부 경기는 MBC 게임과 디원TV에서 방송하기도 했다. 이는 최초로 비스포츠 방송에서 농구 플레이오프 중계를 한 첫 번째 사례이다.
- 동부가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가면서, 2008~2009 시즌 이후 2년 만에 정규리그 4위팀이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였다.
- KT는 2008~2009 시즌 모비스와 똑같이 정규리그 우승을 하고도 4강 플레이오프에서 1승 3패로 떨어졌다, 이는 08-09의 모비스 이후 두 번째로 정규리그 우승팀이 챔프전에 올라가지 못하는 사례이다.
- LG도 6강 플레이오프 탈락 후, 강을준감독이 사퇴하고 2009년 12월 17일 SK 감독에서 사퇴한 김진 감독이 취임하였다.
- 프로 농구 사상 두 번째로 정규 시즌 1~2위 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였다(첫 번째는 2008~2009시즌).
- KCC가 3년 연속으로 챔피언결정전에 오르면서 정규리그 3위팀이 5시즌 연속으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정규리그 3위팀이 챔프전에 진출한 횟수는 총 8번으로 이는 정규리그 2위팀이 챔프전에 진출한 횟수 7번의 기록을 깼다.
- KCC는 챔피언결정전 3차전에서 역대 챔프전 최소 득점(54점) 패전과 역대 챔프전 전반 최소득점(1,2쿼터 합계 20점)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겼다, 특히 3점슛은 10개 시도에 단 1개만 들어갔다.
- KCC는 이번 챔피언결정전 우승으로 역대 챔프전 3위팀으로는 3번째 우승이자 KBL 통산 최다 우승기록인 5회 우승의 대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각주[편집]
- ↑ 2차 연장까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