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화질구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질구지네이버 지식iN의 한 질문글에서 유래한 인터넷 밈이다. 화질이 낮아서 찍힌 대상을 알아보기 어려운 사진이 있을 때 사용한다.

유래 및 사용[편집]

2007년 5월 7일, 네이버 지식iN놀이터에서 발견한 새의 사진을 '이 새의종류가무엇인가요???'라는 제목으로 질문글을 올렸다. 해당 사진은 화질이 좋지 않아 한 사용자가 답변으로 '화질구지네요...'라며 올렸다. 그 후 다른 사용자가 이 답변을 보고 '화질구지가 맞는 것 같다'라는 답변을 올렸다. 그 후, 또다른 답변에서는 "사진으로 봐서는 확실하지 않지만 화질구지가 맞다. 멸종 위기라고 들었는데 어떻게 도시에서 발견했는지 알 수 없다"라는 답변도 올라왔다. 그 후, 딱새라는 제대로 된 답변이 올라오게 된다.[1]

딱새라는 제대로 된 답변이 올라온 후 화질구지라는 답변은 끝났지만 이 글을 캡처한 이미지가 각종 블로그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면서 성지 순례가 이어졌다.[1] 이후 저화질의 사진을 첨부한 게시물에 ‘제목.hwajilguji’로 쓰며 인터넷 용어로 자리 잡았다.[2]

이 단어는 2016년에 네이버 국어사전 검색 인기 신조어에 4위에 올랐다.[3]

각주[편집]

  1. 김철현 (2010년 11월 17일). “(펀클럽)멸종 위기 새 '화질구지'의 진실”. 《아시아경제》. 2023년 7월 31일에 확인함. 
  2. 정소영 (2021년 6월 5일). “‘화질구지’를 해결하는 인공지능”. 《한국일보》. 2023년 7월 31일에 확인함. 
  3. 김예나 (2016년 12월 27일). “올해 네이버 국어사전 검색 1위 신조어는 '츤데레'. 《연합뉴스》. 2023년 7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