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트리곤 비켈리
![]() | ||||||||||||||||||||||||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Hexatrygon bickelli Heemstra & M. M. Smith, 1980 | ||||||||||||||||||||||||
![]() 헥사트리곤 비켈리의 분포[2] | ||||||||||||||||||||||||
이명 | ||||||||||||||||||||||||
Hexatrematobatis longirostris Chu & Meng, 1981 Hexatrygon brevirostra Shen, 1986 |
헥사트리곤 비켈리(Hexatrygon bickelli)는 매가오리목에 속하는 연골어류의 일종이다.[3] 헥사트리곤과(Hexatrygonidae)와 헥사트리곤속(Hexatrygon)의 유일종이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McCormack, C.; Wang, Y.; Ishihara, H.; Fahmi, Manjaji, M.; Capuli, E.; Orlov, A. (2009). “Hexatrygon bickell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 ↑ Last, P.R.; Stevens, J.D. (2009). 《Sharks and Rays of Australia》 seco판. Harvard University Press. 396–397쪽. ISBN 0674034112.
- ↑ (영어)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15년). 어류 정보 사이트 피시베이스(FishBase)의 Hexatrygon bickelli. 2015년 5월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