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Korea Institute of Medical Microrobotics
약칭 KIMIRo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208번길 43-26
원장 박종오
웹사이트 https://www.kimiro.re.kr/

개요[편집]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Korea Institute of Medical Microrobotics, KIMIRo)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마이크로의료로봇 분야 전문 연구기관이다.

2019년 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에서 독립하여 독립연구재단으로 출범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설립된 독일 프라운호퍼형 연구소다.

*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대학교수를 매개로 대학교와 전문연구소가 협업하는 구조로 산학연협력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마이크로의료로봇 분야 연구개발, 전문연구원 육성, 기업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마이크로/나노 의료로봇 분야에서 세계최초 개발과 상용화 사례를 만들며 전 세계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소개[편집]

시설 및 규모[편집]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의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 구축’ 사업으로 지어진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은 연면적 5,970m2 규모로 본관과 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에는 마이크로나노로봇 연구개발실과 공동장비활용실, R&D 지원실, 그리고 입주기업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별관은 클린룸 설비, 바이오메디컬 연구개발실, 나노바이오소재 연구개발실, 동물실험실 등 연구환경으로 조성되어 있다. 3D 초정밀 부품 제작 장비, 공초점 현미경 등 마이크로의료로봇 전문장비 77종을 갖추고 있다.

또한 연구원과 약 3.5km 떨어진 곳에 마이크로의료로봇의 제품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시설(이하 개발지원센터)이 구축될 예정이다. 2020년 보건복지부의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구축’ 사업으로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를 준공(2024년 초)하였고 기업 입주, 장비 구축 등 2024년 말 시설 구축 사업 완료와 함께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에 위치한 개발지원센터는 연면적 6,163m2 규모로 마이크로나노제조실, 시험/평가 지원시설, 기업네트워크 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임상 GMP 제조 지원 장비, GMP 후처리 장비, 유효성 평가 장비와 시험평가 지원 장비 등 임상용 GMP 시설 관련 전문장비 100여종을 갖추어 마이크로의료로봇과 융복합의료기기의 제품화를 위한 전문적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기존 연구원은 마이크로의료로봇 분야의 R&D 역할을, 개발지원센터는 Biz 역할을 전문적으로 하게 될 예정이며 이로써 세계최초로 마이크로의료로봇의 연구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를 원스톱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질 예정이다.

(왼)마이크로의료로봇 기술개발센터 (오)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공사중)

 

조직[편집]

조직은 이사회와 원장, R&D본부, 사업화본부, 전략경영부, 헬스케어사업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을 하는 R&D본부는 6개의 La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Biomedical Lab, Nanobio Materials Lab, Soft Robotics Lab, Medical AI Lab, EM Actuators Lab, US Actuators Lab이 있다.

사업기획 및 GMP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화본부는 기획운영실, 임상GMP실, 제품평가실로 세분화되어 있고 사업관리 및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전략경영부와 헬스케어 분야 사업을 발굴·수행하는 헬스케어사업센터가 있다.

조직도
조직도

 

대형과제수주[편집]

과제명 기간 지원처 예산(단위:십억) 성과
마이크로의료로봇 기반 의료제품 개발사업 2023-2027 보건복지부    14.1 진행중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 2019-2022 보건복지부    22.9 간종양 색전입자 정밀전달 마이크로로봇 개발

 

연구성과[편집]

  • 2022.12. 간종양 색전입자 정밀전달 마이크로로봇 개발[1]
  • 2021.04. 생체소재 기반 인공근육 개발[2]
  • 2021.03. 질환맞춤형 마이크로로봇 형상 최적화 기술 개발(세계최초)[3]
  • 2020.02. 줄기세포 기반 무릎연골재생(세계최초)[4]
  • 2019.11. 고형암치료 나노의료로봇 개발(세계최초)[5]
  • 2019.11. 제3세대 캡슐내시경 개발(세계최초)[6]

 

각주[편집]

  1. www.etnews.com (2022년 12월 19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마이크로로봇 간종양 색전입자 정밀 전달기능 개발”.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2. 정종오 (2021년 4월 12일). “[지금은 과학] 변형률↑, 소음·진동·전력↓…생체소재 인공 근육 나온다”.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3. 이데일리 (2021년 3월 17일). “질환 맞춤형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세계 최초 개발”.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4. www.etnews.com (2020년 2월 16일). “세계 최초 줄기세포 탑재 마이크로의료로봇 무릎연골 재생 성공”.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5. www.etnews.com (2019년 11월 26일). “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다기능성 의료 나노로봇 개발”.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6. chosun, health. “다기능 캡슐내시경 개발… 꿀꺽 삼키면 진단부터 치료까지”. 2024년 1월 31일에 확인함. 

 

관련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