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곧은근
아래곧은근 | |
---|---|
정보 | |
이는곳 | 눈확 꼭대기의 온힘줄고리 |
닿는곳 | 각막가장자리보다 6.8 mm 아래쪽 |
정맥 | 눈정맥의 아래근육가지 |
신경 | 눈돌림신경 아래가지 |
작용 | 눈을 내리고 모음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rectus inferior bulbi |
영어 | inferior rectus muscle |
TA98 | A15.2.07.011 |
TA2 | 2043 |
FMA | 49036 |
아래곧은근(inferior rectus muscle) 또는 하직근(下直筋)은 눈확에 위치한 근육으로 바깥눈근육 중 하나이다. 온힘줄고리에서 시작되어 안구의 아래앞면에 닿는다. 눈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구조
[편집]아래곧은근은 온힘줄고리에서 일어나[1] 안구의 아래앞면에 닿는다.[2] 닿는곳의 너비는 10.5mm가량이며,[2] 각막가장자리에서 7mm 정도 떨어져 있다.[2]
혈액 공급
[편집]눈동맥의 아래근육가지가 아래곧은근에 혈액을 공급한다.[1] 또한 눈확아래동맥의 가지가 혈액을 공급하기도 한다.[1] 혈액을 들이는 정맥에는 눈정맥의 아래근육가지, 간혹 눈확아래정맥의 가지가 있다.[1]
신경 분포
[편집]눈돌림신경(제3뇌신경)의 아래갈래가 아래곧은근을 지배한다.[1]
발생
[편집]아래곧은근은 발생기에 머리뼈 눈확 안의 중배엽에서 발생한다.[1][3] 이는 다른 바깥눈근육과도 비슷하다.[3]
위치 관계
[편집]아래곧은근의 닿는곳은 안쪽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6mm, 가쪽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8mm가량 떨어져 있다.[2] 동공의 섬모체근을 지배하는 부교감신경계 성분의 가지가 아래곧은근 근처를 지나간다.[1]
변이
[편집]아주 드물게 아래곧은근이 선천적으로 없는 경우가 있다.[3][4] 이로 인해 안구를 아래로 내릴 수 없게 된다.[3]
기능
[편집]아래곧은근은 안구를 내리거나, 모으거나, 바깥쪽으로 돌리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1] 안구를 완전히 벌린 상태일 때 동공을 내리는 것이 가능한 유일한 근육이다.[5]
임상적 중요성
[편집]사시
[편집]아래곧은근이 손상되거나, 약해지거나, 마비된다면 사시의 원인이 된다.[1][6] 아래곧은근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위곧은근이 더 강한 채로 남아 눈이 올라가게 된다.[6] 경미한 경우에는 안경을 이용하여 점진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6] 사시가 심한 경우라면 대신 수술을 통해 위곧은근을 약간 약하게 하여 눈이 올라가는 것을 줄이고 사시를 교정할 수 있다.[6] 수술로 인해 사시를 과도하게 교정하게 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성공적으로 끝나는 수술이다.[7]
수술
[편집]아래곧은근에 수술을 하는 경우 동공의 섬모체근으로 가는 부교감신경 가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1] 근처의 다른 혈관이나 신경도 손상될 수 있다.[1]
추가 이미지
[편집]-
아래곧은근
-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Shumway, Caleb L.; Motlagh, Mahsaw; Wade, Matthew (2021), “Anatomy, Head and Neck, Eye Inferior Rectus Muscle”,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0085520, 2021년 9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Apt, L (1980). “An anatomical reevaluation of rectus muscle inser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Ophthalmological Society》 78: 365–375. ISSN 0065-9533. PMC 1312149. PMID 7257065.
- ↑ 가 나 다 라 Astle, William F; Hill, Vivian E; Ells, Anna L; Chi, Nguyen Thi Thanh; Martinovic, Elaine (2003년 10월 1일). “Congenital absence of the inferior rectus muscle—diagnosis and management”.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영어) 7 (5): 339–344. doi:10.1016/S1091-8531(03)00214-3. ISSN 1091-8531. PMID 14566316.
- ↑ Ingham, Peter N.; McGOVERN, Stephen T.; Crompton, John L. (1986). “Congenital Absence of the Inferior Rectus Muscl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phthalmology》 (영어) 14 (4): 355–358. doi:10.1111/j.1442-9071.1986.tb00471.x. ISSN 1440-1606. PMID 3814423.
- ↑ “Eye Theory”. Cim.ucdavis.edu. 2014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Paysse, Evelyn A.; Saunders, Richard A.; Coats, David K. (2000년 6월 1일). “Surgical management of strabismus after rupture of the inferior rectus muscle”.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영어) 4 (3): 164–167. doi:10.1016/S1091-8531(00)70007-3. ISSN 1091-8531. PMID 10849393.
- ↑ Sprunger, Derek T.; Helveston, Eugene M. (1993년 5월 1일). “Progressive Overcorrection After Inferior Rectus Recession”. 《Journal of Pediatric Ophthalmology & Strabismus》 30 (3): 145–148. doi:10.3928/0191-3913-19930501-04. PMID 8350221.
외부 링크
[편집]- lesson3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orbit5)
- Diagram at mun.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