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사눌록
핏사눌록(태국어: พิษณุโลก 피사눌록[*], Phitsanulok)은 태국 북부의 중요하고 역사적인 도시이자 핏사눌록 주의 주도이다. 핏사눌록은 태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의 하나로 600년 전에 세워졌다. 도시는 아마도 16세기 후반에 타이를 버마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게 한 나레수안 왕의 출생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태국 북부와 중부 사이의 교차점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정치적, 전략적으로 중요했고 과거 몇 세기 동안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 핏사눌록은 아유타야 왕국의 보롬마뜨라일로까낫 왕의 치세 때 25년간 태국의 수도였다. 난 강의 기슭에 위치한 도시는 11세기에 쾌노이 강의 유로가 바뀌기 전에는 송쾌라고 불리던 크메르인의 작은 전초 기지였다. 핏사눌록은 또한 앙코르 시대 때 크메르 제국의 지방 중심지였다. 핏사눌록에는 나레수안 대학교와 삐불송끄람라자브핫 대학교 및 왕립 태국 육군의 기지가 있다.
어원[편집]
- 송쾌 - 첫 글자 '송'은 숫자 2를 의미하고 두 번째 글자 '쾌'는 지류를 의미한다. 그래서 전체 이름을 의역하면 두 강을 의미한다.
- 핏사눌록 - 핏사누(태국어: พิษณุ)는 힌두교의 신 비슈누를 의미하고 록(태국어: โลก)은 세계를 의미한다. 그래서 이들을 합치면 '비슈누의 천국'으로 의역할 수 있다.
지리[편집]
핏사눌록은 방콕에서 북쪽으로 약 377km 떨어져 있다. 핏사눌록은 주로 평평하고 약간의 언덕이 있다. 시의 동부에는 나무가 우거진 지역이 있다. 도시는 차오프라야 강 수계의 일부인 난 분지에 위치한다. 주도인 핏사눌록은 몇 세기 전에는 난 강과 쾌노이 강이 도시 근처에서 만났기 때문에 때때로 '두 강의 도시'라는 의미의 송쾌로 불린다. 현재는 난 강만이 핏사눌록을 흐른다.
기후[편집]
핏사눌록은 더운 열대기후이고 상당한 비가 내린다. 건기와 우기가 있다. 우기는 봄에 시작해 더울 때 끝나고 건조한 여름이 9월부터 시작해 11월까지 계속된다. 12월과 1월은 쾌적하고 시원하다.
Phitsanulok (198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36.3 (97.3) |
38.4 (101.1) |
40.0 (104.0) |
41.8 (107.2) |
41.5 (106.7) |
39.4 (102.9) |
37.6 (99.7) |
36.7 (98.1) |
35.7 (96.3) |
35.7 (96.3) |
36.4 (97.5) |
35.3 (95.5) |
41.8 (107.2) |
평균 최고 기온 °C (°F) | 31.6 (88.9) |
33.8 (92.8) |
35.8 (96.4) |
37.2 (99.0) |
35.6 (96.1) |
34.0 (93.2) |
33.2 (91.8) |
32.5 (90.5) |
32.5 (90.5) |
32.4 (90.3) |
31.7 (89.1) |
30.7 (87.3) |
33.4 (92.1) |
일 평균 기온 °C (°F) | 24.8 (76.6) |
26.9 (80.4) |
29.2 (84.6) |
30.8 (87.4) |
29.9 (85.8) |
29.0 (84.2) |
28.5 (83.3) |
28.1 (82.6) |
28.1 (82.6) |
27.8 (82.0) |
26.5 (79.7) |
24.3 (75.7) |
27.8 (82.0) |
평균 최저 기온 °C (°F) | 18.7 (65.7) |
21.0 (69.8) |
23.6 (74.5) |
25.4 (77.7) |
25.2 (77.4) |
25.0 (77.0) |
24.8 (76.6) |
24.7 (76.5) |
24.7 (76.5) |
24.1 (75.4) |
21.7 (71.1) |
18.6 (65.5) |
23.1 (73.6) |
최저 기온 기록 °C (°F) | 10.4 (50.7) |
13.0 (55.4) |
12.7 (54.9) |
19.6 (67.3) |
20.4 (68.7) |
21.0 (69.8) |
21.5 (70.7) |
21.4 (70.5) |
21.7 (71.1) |
17.1 (62.8) |
12.1 (53.8) |
8.9 (48.0) |
8.9 (48.0)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3.9 (0.15) |
13.5 (0.53) |
26.7 (1.05) |
55.7 (2.19) |
170.9 (6.73) |
165.7 (6.52) |
179.4 (7.06) |
247.6 (9.75) |
246.6 (9.71) |
162.5 (6.40) |
33.4 (1.31) |
11.1 (0.44) |
1,317 (51.85) |
평균 강우일수 | 1.3 | 2.2 | 3.3 | 5.6 | 13.7 | 16.2 | 18.1 | 20.4 | 18.7 | 13.3 | 3.5 | 1.0 | 117.3 |
평균 상대 습도 (%) | 67 | 64 | 62 | 63 | 71 | 76 | 78 | 80 | 81 | 78 | 72 | 67 | 72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57.3 | 243.0 | 275.9 | 243.0 | 198.4 | 117.0 | 120.9 | 117.8 | 108.0 | 179.8 | 219.0 | 257.3 | 2,337.4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8.3 | 8.6 | 8.9 | 8.1 | 6.4 | 3.9 | 3.9 | 3.8 | 3.6 | 5.8 | 7.3 | 8.3 | 6.6 |
출처 1: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1] | |||||||||||||
출처 2: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sun and humidity)[2] |
역사[편집]
11세기 때 핏사눌록은 '두 강'이라는 의미의 송쾌로 불리던 크메르의 작은 전초 기지였다. 이 때에 난 강과 쾌노이 강이 도시를 통과했기 때문에 태국 북부의 전략적인 관문이었다.
수코타이 왕조 때 핏사눌록은 왕국 동부의 중요한 도시였다. 왓 아라닉과 왓 체디요드통이 이 때 건설되었다.
아유타야 왕조 때인 1357년에 왓 프라시랏따나마하탓이 세워졌다. 보롬마뜨라일로까낫 왕은 왕국의 북쪽 변경을 강화하기 위해 1463년에 수도를 핏사눌록으로 옮겼다. 보롬마뜨라일로까낫 왕의 치세 때 왓 랏차부라나가 건설되었다. 보롬마뜨라일로까낫 왕의 후계자인 보롬마랏차티랏 3세는 아유타야 왕국의 수도를 다시 아유타야로 옮겼다. 1555년에 나레수안 왕이 도시에서 태어났다. 핏사눌록은 아유타야와 버마와의 전쟁 때 중요한 신병 모집 장소였다. 1767년에 아유타야가 버마에게 멸망한 후에 미친 승려가 도시의 지배권을 왕국의 관리로부터 빼앗았다. 딱신 왕은 승려로부터 도시를 점령하려다가 실패하였고 부상당했다.
19세기에 몽꿋 왕은 왓 랏차부라나의 복원을 명령했다. 1955년에 핏사눌록에 화재가 발생해 옛 건물이 많이 파괴되었다. 1976년부터 1985년에 걸쳐 핏사눌록 관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난 강에 나레수안 댐이 건설되었다. 이 댐은 도시의 홍수를 막기 위해 설계되었다.
인구[편집]
주민의 다수는 타이족이고 태국어를 사용한다. 종교는 상좌부 불교가 주를 이룬다.
교육[편집]
- 나레수안 대학교
- 삐불송끄람라자브핫 대학교
교통[편집]
- 핏사눌록 공항
- 고속도로 11호선
- 고속도로 12호선
- 고속도로 117호선
각주[편집]
- ↑ “Climatological Data for the Period 1981–2010”.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 5쪽. 2016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ปริมาณการใช้น้ำของพืชอ้างอิงโดยวิธีของ Penman Monteith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by Penman Monteith)” (PDF) (태국어).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32쪽. 2016년 7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