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헬레니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필헬레네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인 외젠 들라크루아의 그림, 히오스섬의 학살

필헬레니즘(그리스어: Φιλέλληνας , 영어: Philhellenism)은 고대 시대 때부터 시작되어 19세기에 주로 유행했던 문화적 사조이다. 사상적, 정치적 운동이자 문학적 흐름으로서, 특히 1821년 이전부터 도덕적, 물질적 지원을 통해 그리스의 독립에 대해 호의와 관심을 선언한 외국인에 대한 사랑이 필헬레니즘이라는 용어로 고착화되었다. 필헬레니즘에 입각한 사람들은 필헬레네(그리스어: Φιλέλληνες, 영어: Philhellenes)라고 부르는데, 그리스인들과 그리스 문화에 대해 특별한 사랑이나 호감을 가지는 사람들을 가리킬 때 쓰이며,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동안 그리스의 독립에 우호적인 사람들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확립되었다.

용어의 역사[편집]

고대에 '필헬레네'(Philhellen)이라는 용어는 '애국자'를 의미하기도 했다. 이런 의미의 필헬레네는 플라톤국가(Politeia, BCE 470)에 등장하며 크세노폰아게실라우스에 "좋은 그리스인은 필헬레네(Philhellen)이다"라는 문구로 언급되기도 했다.[1][2] 또한 필헬레네는 그리스 문화를 사랑하는 외국인이나 그리스인을 지칭하기도 했다. 이집트 왕 아마시스를 위해 헤로도토스가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3] 아마시스는 그리스의 도시들에 관대했는데, 그는 키레네로도스섬, 사모스에서 공물을 받았으며, 스파르타에 마로 만든 흉갑을 제공했고, 그리고 키레네 지역의 공주와 결혼했다. 또한 아마시스는 델포이에 있는 아폴론 신전의 건축에 기여했다.[4] 아마시오스의 친그리스 정책은 페르시아 제국의 부상과 함께 아시아에서 일어난 세계사적 변화를 자각하며 내린 선택이었다. 나우크라티스가 아마시스의 영토인 이집트에 있던 그리스 도시였기 때문에 아마시오스의 정책은 이집트의 내부 정책이기도 했다. 헤로도토스는 필헬레니즘이라는 용어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구전으로부터 이 용어를 빌렸고, 그것은 페르시아의 진격에 직면하여 고립될 지도 모른다는 그리스인들의 불안을 반영한 것이었다.[5]

기원전 4세기에 이르러 필헬레네의 범주는 바뀌기 시작했는데, 레오니다스 마노로풀로스의 분석에 따르면 이 당시 필헬레네는 그리스인이거나 그리스인, 특히 그 중에세도 아테네인이어야 했다. 이 용어는 범그리스적 관점이 담긴 여러 문헌에서 용어가 해석되는 방식인데,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소크라테스의 파네기릭에서 페르시아의 진격에 저항한 사람들은 "필레네"들이며, 주로 아테네인들이다. 이소크라테스가 당대의 아테네 패권을 간접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6] 이소크라테스의 《파나테나이코스》에서, 그는 아테네인들의 선조들의 미덕으로 그들의 필헬레니즘을 제시했는데, 이는 아테네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중요한 기여를 했고 아테네가 동맹 도시를 대하는 태도 때문이었으며, 반면에 스파르타인들은 오만하고 제국주의자로 평가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7]

고대 로마 때에도 그리스 문화를 동경하는 이들은 많았다. 고대 로마의 식자층들은 기원전 3세기 동안 고유의 문화에서 점점 더 헬레니즘화되었다.[8][9][10] 대표적으로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우스는 기원전 196년 코린토스에서 열린 지협 대회에 등장해 그리스 국가의 자유를 선언하였으며, 리비우스에 따르면 티투스는 그리스 문화를 대단히 숭배하는 사람으로 인식되었다고 한다.[11] 대 카토소 카토마케도니아 전쟁을 겪은 사람들로서 그리스인에 대한 반감이 심했지만 로도스섬에 거주한 이후부터 필헬레네가 되었다.[12] 로마 황제들 중에서도 필헬레네가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하드리아누스는 어릴 적부터 학우들로부터 "그리스 아이"라는 별명을 얻었고,[13] 시오노 나나미로마인 이야기에 따르면 황제가 된 이후에는 그리스 전역을 돌아다니며 전쟁으로 파괴된 옛 그리스 도시들을 복원하기 위해 애썼다.[14]

각주[편집]

  1. [http://www.messolonghibyronsociety.gr/media/files/phil_paper_pdf/L.Droulia-Philhellenism-Poland%20ed.pdf Loukia Droulia, The Revival of the Greek Ideal and Philhellenism. A Perambulation. Σελ. 2 υποσημ. 1][깨진 링크]
  2. Φιλέλλην,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3. 178. [1] But when Amasis was born Philhellene, he rejected other Greeks, and not being so exhausted, he gave Naucratin a city to rent in Egypt; gr/istoria/herod_eyterph.doc+Philellin+dὲ+born+ὁ+Amasis+other+te+ἐς+Greek+metexeters+4&hl=el&gl=gr&pid=bl&srcid=ADGEESiMrofd_k04i4P6zKkaQMcO53ZQEtthuopPP2nZdgHfC7CfLO0CLX6f8M9B0N0j TmKejY6H939dfrVi2xDNDyUmdQ_PdlmjHW5zKw20oGgAuouq3mPEq5t3MVq3gclMoPvEvEpm&sig=AHIEtbRXeDBL9xo5xHdjST737-83l5TE6g“Amasis favored the Greeks and gave many privileges, the most important of which was the concession of Naukratis for a commercial base", Herodotus, History 2 Euterpis, trans. philological group Kaktus, <45. Hellenes>, published by Kaktos, Athens, 1994, p.253
  4. John Boardman, The ancient Greeks in their overseas expansion, trans. Electra Andreadis, Kardamitsas ed., Athens, 1996, p.180-181
  5. Leonidas Manolopoulos,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 Egnatia -Ep.Ep.Phil.Schol.Thes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vol. 2, (1990), p. 206-207
  6. Leonidas Manolopoulos,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s", Egnatia -Ep.Ep.Phil.Schol.The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vol. .2, (1990), p. 209-210
  7. Leonidas Manolopoulos, "The genesis and first uses of the designation "philhellenic" during the archaic and classical eras", Egnatia -Ep.Ep.Phil.Schol.Thes/nikis-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vol.2, ( 1990), pp. 210-212
  8. Balsdon, J. P. V. D. (1979). 《Romans and Aliens》. London: Gerald Duckworth & Co Ltd. 30–58쪽. ISBN 0715610430. 
  9. A. Momigliano, 1975. Alien Wisdom: The Limits of Hellenization.
  10. A. Wardman, 1976. Rome's debt to Greece.
  11. A modern assessment is E. Badian, 1970. Titus Quinctius Flamininus: Philhellenism and Realpolitik0
  12. “Plutarch • Life of Cato the Younger”. 《penelope.uchicago.edu》. 2021년 6월 8일에 확인함. 
  13. Anthony Birley, Restless Emperor, pp. 16–17
  14. 시오노, 나나미 (2000년 11월 13일). 《로마인 이야기 9 현제賢帝의 세기》. 한길사. 305~3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