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넬 방정식
프레넬 방정식 (Fresnel equations ) 또는 프레넬 공식 (Fresnel's formulas )은 반사계수 와 투과계수 에 관한 것으로 한 매질과 광학적 특성 즉, 굴절률 이 다른 매질 의 계면에서 반사 또는 투과 진폭을 입사진폭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프랑스 의 물리학자 오귀스탱 장 프레넬 이 유도하였다.
굴절률이 n 1 인 매질에서 n 2 인 매질로 빛이 투과할 때 반사 와 굴절 이 일어난다. 프레넬 방정식은 이 성질을 반사계수 , 투과계수 로 나누어 성분을 분석하여 표현한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에는 간단한 가정이 있는데, 첫 번째는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투과할 때, 그 면이 균일하고 평평한 평면이며, 둘째는 빛이 투과할 때 평면파 라는 것이다.
진폭 방정식 (amplitude equations )은 빛을 전자기파로 취급하여 반사의 법칙 , 굴절의 법칙 과 이들의 반사광 과 굴절광 의 세기를 표현한 것이다. 빛이 경계면을 지날 때의 전기장과 자기장의 경계조건을 빛의 파동 방정식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프레넬 방정식에 쓰이는 변수들
입사파를 i , 반사파를 r , 투과파를 t 로 쓰자.
입사파 와 반사파 , 굴절파 의 위상은 같다.
K
i
r
−
ω
t
=
K
r
r
−
ω
t
=
K
t
r
−
ω
t
{\displaystyle {\boldsymbol {K}}_{i}{\boldsymbol {r}}-\omega t={\boldsymbol {K}}_{r}{\boldsymbol {r}}-\omega t={\boldsymbol {K}}_{t}{\boldsymbol {r}}-\omega t}
K
i
=
K
i
sin
θ
i
x
¯
+
K
i
cos
θ
i
z
¯
{\displaystyle {\boldsymbol {K}}_{i}=K_{i}\sin \theta _{i}{\bar {x}}+K_{i}\cos \theta _{i}{\bar {z}}}
K
r
=
K
r
sin
θ
r
x
¯
−
K
r
cos
θ
r
z
¯
{\displaystyle {\boldsymbol {K}}_{r}=K_{r}\sin \theta _{r}{\bar {x}}-K_{r}\cos \theta _{r}{\bar {z}}}
K
t
=
K
t
sin
θ
t
x
¯
+
K
t
cos
θ
t
z
¯
{\displaystyle {\boldsymbol {K}}_{t}=K_{t}\sin \theta _{t}{\bar {x}}+K_{t}\cos \theta _{t}{\bar {z}}}
z
=
0
{\displaystyle z=0}
일때
K
i
sin
θ
i
x
¯
=
K
r
sin
θ
r
x
¯
=
K
t
sin
θ
t
x
¯
{\displaystyle K_{i}\sin \theta _{i}{\bar {x}}=K_{r}\sin \theta _{r}{\bar {x}}=K_{t}\sin \theta _{t}{\bar {x}}}
K
i
sin
θ
i
=
K
r
sin
θ
r
=
K
t
sin
θ
t
{\displaystyle K_{i}\sin \theta _{i}=K_{r}\sin \theta _{r}=K_{t}\sin \theta _{t}\ }
이고
K
=
n
ω
c
{\displaystyle K=n{\frac {\omega }{c}}}
n
i
=
n
r
{\displaystyle n_{i}=n_{r}}
이므로
sin
θ
i
=
sin
θ
r
{\displaystyle \sin \theta _{i}=\sin \theta _{r}}
θ
i
=
θ
r
{\displaystyle \theta _{i}=\theta _{r}}
을 만족한다 이를 반사의 법칙 이라고 한다. 그리고
n
i
sin
θ
i
=
n
t
sin
θ
t
{\displaystyle n_{i}\sin \theta _{i}=n_{t}\sin \theta _{t}}
이다. 이를 스넬의 법칙 이라고 한다.
전자기파인 빛을 파동형태로 나타낸 방정식으로 빛이 투과하는 경계면과 법선에 대하여 입사파, 투과파, 반사파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으며, 각 파들의 계수들은 서로 관련이 있다.
멕스웰 방정식 및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편집 ]
K
×
E
=
ω
B
=
ω
μ
H
{\displaystyle {\boldsymbol {K}}\times {\boldsymbol {E}}={\omega }{\boldsymbol {B}}={\omega }{\mu }{\boldsymbol {H}}}
H
=
n
ω
μ
k
¯
×
E
{\displaystyle {\boldsymbol {H}}={\frac {n}{{\omega }{\mu }}}{\bar {k}}\times {\boldsymbol {E}}}
τ
=
K
r
−
ω
t
{\displaystyle \tau ={\boldsymbol {K}}{\boldsymbol {r}}-\omega t}
빛이 경계면에 입사하는 파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각각의 x, y, z성분은 다음과 같다.
E
x
i
=
−
I
∥
cos
θ
i
e
i
τ
i
{\displaystyle E_{x}^{i}=-I_{\parallel }\cos \theta _{i}e^{i\tau _{i}}}
E
y
i
=
I
⊥
e
i
τ
i
{\displaystyle E_{y}^{i}=I_{\bot }e^{i\tau _{i}}}
E
z
i
=
I
∥
sin
θ
i
e
i
τ
i
{\displaystyle E_{z}^{i}=I_{\parallel }\sin \theta _{i}e^{i\tau _{i}}}
H
x
i
=
−
I
⊥
cos
θ
i
n
i
μ
i
c
e
i
τ
i
{\displaystyle H_{x}^{i}=-I_{\bot }\cos \theta _{i}{\frac {n_{i}}{\mu _{i}c}}e^{i\tau _{i}}}
H
y
i
=
−
I
∥
n
i
μ
i
c
e
i
τ
i
{\displaystyle H_{y}^{i}=-I_{\parallel }{\frac {n_{i}}{\mu _{i}c}}e^{i\tau _{i}}}
H
z
i
=
I
⊥
sin
θ
i
n
i
μ
i
c
e
i
τ
i
{\displaystyle H_{z}^{i}=I_{\bot }\sin \theta _{i}{\frac {n_{i}}{\mu _{i}c}}e^{i\tau _{i}}}
빛이 경계면을 투과하는 파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각각의 x, y, z성분은 다음과 같다.
E
x
t
=
−
T
∥
cos
θ
t
e
i
τ
t
{\displaystyle E_{x}^{t}=-T_{\parallel }\cos \theta _{t}e^{i\tau _{t}}}
E
y
t
=
T
⊥
e
i
τ
t
{\displaystyle E_{y}^{t}=T_{\bot }e^{i\tau _{t}}}
E
z
t
=
T
∥
sin
θ
t
e
i
τ
t
{\displaystyle E_{z}^{t}=T_{\parallel }\sin \theta _{t}e^{i\tau _{t}}}
H
x
t
=
−
T
⊥
cos
θ
t
n
t
μ
t
c
e
i
τ
t
{\displaystyle H_{x}^{t}=-T_{\bot }\cos \theta _{t}{\frac {n_{t}}{\mu _{t}c}}e^{i\tau _{t}}}
H
y
t
=
−
T
∥
n
t
μ
t
c
e
i
τ
t
{\displaystyle H_{y}^{t}=-T_{\parallel }{\frac {n_{t}}{\mu _{t}c}}e^{i\tau _{t}}}
H
z
t
=
T
⊥
sin
θ
t
n
t
μ
t
c
e
i
τ
t
{\displaystyle H_{z}^{t}=T_{\bot }\sin \theta _{t}{\frac {n_{t}}{\mu _{t}c}}e^{i\tau _{t}}}
빛이 반사하는 파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각각의 x, y, z성분은 다음과 같다.
E
x
r
=
−
R
∥
cos
θ
r
e
i
τ
r
{\displaystyle E_{x}^{r}=-R_{\parallel }\cos \theta _{r}e^{i\tau _{r}}}
E
y
r
=
R
⊥
e
i
τ
r
{\displaystyle E_{y}^{r}=R_{\bot }e^{i\tau _{r}}}
E
z
r
=
R
∥
sin
θ
r
e
i
τ
r
{\displaystyle E_{z}^{r}=R_{\parallel }\sin \theta _{r}e^{i\tau _{r}}}
H
x
r
=
−
R
⊥
cos
θ
r
n
t
μ
r
c
e
i
τ
r
{\displaystyle H_{x}^{r}=-R_{\bot }\cos \theta _{r}{\frac {n_{t}}{\mu _{r}c}}e^{i\tau _{r}}}
H
y
r
=
−
R
∥
n
r
μ
r
c
e
i
τ
r
{\displaystyle H_{y}^{r}=-R_{\parallel }{\frac {n_{r}}{\mu _{r}c}}e^{i\tau _{r}}}
H
z
r
=
R
⊥
sin
θ
r
n
r
μ
r
c
e
i
τ
r
{\displaystyle H_{z}^{r}=R_{\bot }\sin \theta _{r}{\frac {n_{r}}{\mu _{r}c}}e^{i\tau _{r}}}
z
¯
×
(
E
2
−
E
1
)
=
0
{\displaystyle {\bar {z}}\times \left({\boldsymbol {E_{2}}}-{\boldsymbol {E_{1}}}\right)=0}
z
¯
⋅
(
D
2
−
D
1
)
=
0
{\displaystyle {\bar {z}}\cdot \left({\boldsymbol {D_{2}}}-{\boldsymbol {D_{1}}}\right)=0}
z
¯
×
(
H
2
−
H
1
)
=
0
{\displaystyle {\bar {z}}\times \left({\boldsymbol {H_{2}}}-{\boldsymbol {H_{1}}}\right)=0}
z
¯
⋅
(
B
2
−
B
1
)
=
0
{\displaystyle {\bar {z}}\cdot \left({\boldsymbol {B_{2}}}-{\boldsymbol {B_{1}}}\right)=0}
이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E
x
i
+
E
x
r
=
E
x
t
{\displaystyle E_{x}^{i}+E_{x}^{r}=E_{x}^{t}}
E
y
i
+
E
y
r
=
E
y
t
{\displaystyle E_{y}^{i}+E_{y}^{r}=E_{y}^{t}}
H
x
i
+
H
x
r
=
H
x
t
{\displaystyle H_{x}^{i}+H_{x}^{r}=H_{x}^{t}}
H
y
i
+
H
y
r
=
H
y
t
{\displaystyle H_{y}^{i}+H_{y}^{r}=H_{y}^{t}}
D
z
i
+
D
z
r
=
D
z
t
{\displaystyle D_{z}^{i}+D_{z}^{r}=D_{z}^{t}}
B
z
i
+
B
z
r
=
B
z
t
{\displaystyle B_{z}^{i}+B_{z}^{r}=B_{z}^{t}}
이때 경계면에서는
z
=
0
{\displaystyle z=0}
이므로 다음과 같다.
τ
i
=
τ
r
=
τ
t
{\displaystyle \tau _{i}=\tau _{r}=\tau _{t}}
주어진 프레넬 방정식에 경계조건을 대입하면 방정식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이들을 프레넬 계수 (Fresnell coefficients )라고 하고, 다음과 같다.
R
⊥
=
n
1
cos
θ
i
−
n
2
cos
θ
t
n
1
cos
θ
i
+
n
2
cos
θ
t
I
⊥
{\displaystyle R_{\bot }={\frac {n_{1}\cos \theta _{\text{i}}-n_{2}\cos \theta _{\text{t}}}{n_{1}\cos \theta _{\text{i}}+n_{2}\cos \theta _{\text{t}}}}I_{\bot }}
T
⊥
=
2
n
1
cos
θ
i
n
1
cos
θ
i
+
n
2
cos
θ
t
I
⊥
{\displaystyle T_{\bot }={\frac {2n_{1}\cos \theta _{\text{i}}}{n_{1}\cos \theta _{\text{i}}+n_{2}\cos \theta _{\text{t}}}}I_{\bot }}
R
∥
=
n
2
cos
θ
i
−
n
1
cos
θ
t
n
1
cos
θ
t
+
n
2
cos
θ
i
I
∥
{\displaystyle R_{\parallel }={\frac {n_{2}\cos \theta _{\text{i}}-n_{1}\cos \theta _{\text{t}}}{n_{1}\cos \theta _{\text{t}}+n_{2}\cos \theta _{\text{i}}}}I_{\parallel }}
T
∥
=
2
n
1
cos
θ
i
n
1
cos
θ
t
+
n
2
cos
θ
i
I
∥
{\displaystyle T_{\parallel }={\frac {2n_{1}\cos \theta _{\text{i}}}{n_{1}\cos \theta _{\text{t}}+n_{2}\cos \theta _{\text{i}}}}I_{\parallel }}
프레넬 계수를 통하여 반사율 과, 투과율 을 정의할 수 있는데, 프레넬 방정식은 전기장을 빛의 전자기를 서술하는 방정식이고, 반사율 과 투과율 은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반사율 과, 투과율 은 입사한 빛의 세기에 대해 얼마만큼 반사하거나 투과했는지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다. 따라서 이를 정리하면, 반사율 (
R
{\displaystyle \mathbb {R} }
)과 투과율 (
T
{\displaystyle \mathbb {T} }
)은 다음과 같다.
R
=
|
R
|
2
|
I
|
2
{\displaystyle \mathbb {R} ={\frac {{\left|R\right|}^{2}}{{\left|I\right|}^{2}}}}
T
=
ϵ
t
n
t
|
T
|
2
cos
θ
t
ϵ
i
n
i
|
I
|
2
cos
θ
i
{\displaystyle \mathbb {T} ={\frac {{\frac {\epsilon _{t}}{n_{t}}}{\left|T\right|}^{2}\cos \theta _{t}}{{\frac {\epsilon _{i}}{n_{i}}}{\left|I\right|}^{2}\cos \theta _{i}}}}
여기서 투과율 은 입사한 빛과 투과한 빛의 매질과 유전율이 다르고 입사각과 투과각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