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네르바흐체 SK (축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네르바흐체 SK
전체 명칭Fenerbahçe Spor Kulübü
별칭Sarı-Lacivertliler(노란색-네이비 블루색)
Kanaryalar(카나리아)
Fener(등대)
국가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대륙UEFA
리그터키 쉬페르리그
창단1907년 5월 3일
소유주알리 콕
감독이스마일 카르탈
경기장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수용 인원50,530명[1]
2022-232위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원정
서드

페네르바흐체 스포르 쿨뤼뷔(튀르키예어: Fenerbahçe Spor Kulübü, 페네르바흐체 스포츠 클럽)는 터키 이스탄불을 연고로 하는 스포츠 클럽이다. 페네르바흐체는 이스탄불의 페네르바흐체 구역에 연고를 두고 있다. 이 구역의 이름과 스포츠 클럽은 그 지역에 위치한 등대에서 그 유래를 찾는다('페네르'는 터키어로 등대를 의미하며, '바흐체'는 정원을 의미). 축구팀이 가장 유명하지만, 농구, 배구, 권투, 수영, 탁구등에도 팀을 운영한다. 페네르바흐체의 축구 팀은 현재 터키 축구 리그의 1부 리그에 해당하는 쉬페르리그에서 경기를 치르고 있다. 페네르바흐체는 Sari Kanaryalar(노란 카나리아)라는 닉네임으로 불리며 그들의 홈 구장은 카드쾨이에 위치한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이다. 2006년 10월 4일에, 페네르바흐체의 홈 구장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은 UEFA의 수많은 시찰이 있은 뒤에 2009년 UEFA컵 결승전 개최 장소로 선정되었다. UEFA 챔피언스리그 2007-08 시즌에는 팀 역사상 최초로 챔피언스리그 8강에 진출하는 영광을 누렸다.

역사[편집]

페네르바흐체의 로고

페네르바흐체는 이스탄불의 아시아지구 카드쾨이에서 창단되었다. 그 당시 술탄 압뒬하미트 2세오스만 투르크인들이 축구 클럽을 창단하거나 축구를 하는 것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클럽은 비밀리에 창단됐다. 손귀렌이 첫 번째 회장으로 선출됐다. 1907년 청년 튀르크당 혁명 전까지는 클럽은 비밀리에 운영됐다.

페네르바흐체는 이스탄불 풋볼 리그에 1909년에 처음 참가했고, 1911-12 시즌에 처음으로 전승으로 우승했다.

해링턴 대장 컵[편집]

해링턴 대장 컵(The General Harington Cup) 경기는 페네르바흐체 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대회 중 하나이다. 제1차 세계대전오스만 제국의 패배로 끝나자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이탈리아, 그리스, 대영제국 군대에 의해서 분할됐다. 1918년 11월 13일 대영제국의 군대가 이스탄불을 점령했다.

라이벌&더비[편집]

페네르바흐체는 베식타시 JK갈라타사라이와의 라이벌 관계가 유명하다. 세 클럽은 이스탄불을 연고로 하고 있으며, 그 두 팀중 갈라타사라이와의 더비가 유명하다. 페네르바흐체와 갈라타사라이와의 더비는 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Kıtalar Arası Derbi, 대륙간 더비)로 불린다.

두 팀간의 더비 경기는 수 많은 폭력사태와 사건으로 얼룩져왔다.[2] 페네르바흐체 팬들은 토치, 연기, 깃발, 포스터 등을 이용해서 위압감을 주는 응원을 했고, 갈라타사라이 팬들에게 구호를 외치면서 견제했다.

엠블렘[편집]

서포터즈[편집]

페네르바흐체의 서포터즈

페네르바흐체의 서포터즈는 "Number 12"로 알려져있다. 이는 팀의 12번째 플레이어라는 뜻이다. 이 때문에 등번호 12번은 팬을 위한 번호라고 해 결번돼있다. 페네르바흐체의 서포터즈를 위한 팬 잡지, 블로그, 팟캐서트, 인터넷 포럼, 웹사이트 등이 존재한다. 페네르바흐체 팬들은 다른 팀의 서포터즈와 라이벌리를 갖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대륙간 더비)라 불리는 갈라타사라이 SK와의 더비와 베식타시 JK와의 이스탄불 더비가 있다.

구장[편집]

페네르바흐체의 홈 구장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은 튀르키예에서 가장 큰 클럽 전용 경기장이다. 이 경기장은 또한 종종 국가대표팀 경기가 열리기도 한다.

승부조작[편집]

페네르바흐체는 2011년 승부조작 사실이 발각되어 UEFA 챔피언스리그 2011-12 시즌 진출 자격을 박탈당했다.

선수단[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2 DF 브라질 구스타부 엔히키 (플라멩구에서 임대)
4 DF 튀르키예 세르다르 아지즈
5 MF 브라질 윌리앙 아랑
6 DF 북마케도니아 에즈잔 알리오스키 (알아흘리에서 임대)
7 DF 튀르키예 페르디 카드올루
8 MF 튀르키예 메르트 하칸 얀다슈
9 FW 우루과이 디에고 로시
10 MF 튀르키예 아르다 귈레르
13 FW 에콰도르 에네르 발렌시아
15 FW 조슈아 킹
16 MF 튀르키예 이사크 부랄
17 MF 튀르키예 이르판 카흐베지
18 MF 브라질 링콘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9 FW 튀르키예 세르다르 두르순
20 FW 주앙 페드루
21 MF 나이지리아 브라이트 오사이사무엘
23 FW 미키 바추아이
26 MF 슬로베니아 미하 자이츠
27 MF 포르투갈 미겔 크레스푸
28 DF 브라질 루앙 페레스
33 DF 튀르키예 차타이 쿠루칼르프
41 DF 어틸러 설러이
54 GK 튀르키예 에르투룰 체틴
70 GK 튀르키예 이르판 잔 에리바야트 (괴즈테페에서 임대)
80 DF 튀르키예 이스마일 위크세크
99 FW 튀르키예 엠레 모르

임대 선수 명단[편집]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DF 튀르키예 에미르 오르타카야 (괴즈테페로 임대)
MF 튀르키예 부라크 카파자크 (파티흐 카라귐뤼크로 임대)
MF 디미트리오스 펠카스 (헐 시티로 임대)
MF 튀르키예 에위프 아크잔 (종굴다크 쾨뮈르스포르로 임대)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FW 메르김 베리샤 (아우크스부르크로 임대)
FW 탄자니아 음브와나 사마타 (헹크로 임대)
FW 튀르키예 티아고 추쿠르 (덴더르로 임대)

선수 기록[편집]

  • 역대 최다 출장 : 763경기 - 뮈즈닷 옛키네르
  • 역대 최다 골 : 470골 - 제키 르자 스포렐
  • 쉬페르 리그 최다 골 : 140골 - 아이쿠트 코자만
  • 한 경기 최다 골 : 8골 - 제키 르자 스포렐(vs 아나돌루, 1931년) 메리흐 코탄자(vs 톱카프, 1940년)
  • 쉬페르 리그 한 경기 최다 골 : 6골 - 탄주 촐락(vs 카르쉬야카 S.K 1992-93 시즌)
  • UEFA 최다 골 : 15골 - 알렉스
  • UEFA 최다 출장 : 65경기 - 볼칸 데미렐

수상[편집]

국제 대회[편집]

국내 대회[편집]

  • 터키 쉬페르리그
    • 우승 (18회): 1959, 1960–61, 1963–64, 1964–65, 1967–68, 1969–70, 1973–74, 1974–75, 1977–78, 1982–83, 1984–85, 1988–89, 1995–96, 2000–01, 2003–04, 2004–05, 2006–07, 2010–11, 2013-14
    • 준우승 (20회): 1959–60, 1961–62, 1966–67, 1970–71, 1972–73, 1975–76, 1976–77, 1979–80, 1983–84, 1989–90, 1991–92, 1993–94, 1997–98, 2001–02, 2005–06, 2007–08, 2009–10, 2011–12 2012-13 2014-15
  • 터키 컵
    • 우승 (5회): 1967–68, 1973–74, 1978–79, 1982–83, 2011–12, 2012-13
    • 준우승 (9회): 1962–63, 1964–65, 1988–89, 1995–96, 2000–01, 2004–05, 2005–06, 2008–09, 2009–10
  • 터키 쉬페르쿠파
    • 우승 (8회): 1968, 1973, 1975, 1984, 1985, 1990, 2007, 2009, 2014
    • 준우승 (8회): 1970, 1974, 1978, 1979, 1983, 1989, 1996, 2012, 2013

다른 대회[편집]

  • 터키 아마추어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3회): 1933, 1935, 1944
    • 준우승 (2회): 1940, 1947
  • 밀리 퀴메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6회): 1936–37, 1939–40, 1942–43, 1944–45, 1945–46, 1949–50
    • 준우승 (2회): 1943-44, 1946–47
  • 터키 장관컵
    • 우승 (8회): 1945, 1946, 1950, 1973, 1980, 1989, 1993, 1998
    • 준우승 (7회): 1944, 1971, 1976, 1977, 1992, 1994, 1995
  • TSYD컵
    • 우승 (12회): 1969, 1973, 1975, 1976, 1978, 1979, 1980, 1982, 1985, 1986, 1994, 1995
  • 스포르토토(Spor-Toto)컵
    • 우승 (1회): 1967
  • 이스탄불 리그
    • 우승 (15회): 1911–12, 1913–14, 1920–21, 1922–23, 1929–30, 1932–33, 1934–35, 1935–36, 1936–37, 1943–44, 1946–47, 1947–48, 1952–53, 1956–57, 1958–59
    • 준우승 (18회): 1915–16, 1917–18, 1921–22, 1925–26, 1926–27, 1928–29, 1930–31, 1933–34, 1937–38, 1938–39, 1939–40, 1940–41, 1942–43, 1944–45, 1945–46, 1949–50, 1955–56, 1957–58
  • 이스탄불 실드
    • 우승 (4회): 1930, 1934, 1938, 1939
  • 이스탄불 풋볼 쿠파스
    • 우승 (1회): 1945
    • 준우승 (2회): 1942, 1944

각주[편집]

  1. “Turkish Football Federation Information Pages for 2019-2020 Season”. 2020년 7월 7일에 확인함. 
  2. “Turkey to send anti-terror police to Leeds to protect Galatasaray”. cbc.ca. 2000년 10월 11일. 2015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