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니코드 블록 정보/설명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법[편집]

이 정보상자는 유니코드 블록과 관련한 문서에 사용됩니다.

구문[편집]

{{유니코드 블록 정보
<!--기본:-->
|블록이름 = 문서 제목이 블록 이름과 같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범위처음 = 블록의 처음 코드포인트
|범위끝 = 블록의 마지막 코드포인트
|문자1 = 주가 되는 (유니코드) 문자
|문자2-5 = 다른 (유니코드) 문자
|알파벳 = 블록에서 나타낼 수 있는 알파벳
|기호 = 블록 안의 기호 집합
<!--문자 관련:-->
|지정 = 비권장 글자(deprecated)와 비문자(non-character)를 포함한 지정된 글자 수
|비문자 = 비문자(non-character) 수
|비권장 = 비권장 글자(deprecated) 수
<!--버전 관련:-->
|1_0_0 = 버전 1.0.0의 글자 수
|1_0_1 = 버전 1.0.1에서 추가된 글자 수
|1_1 = 버전 1.1에서 추가된 글자 수
|2_0 = 버전 2.0에서 추가된 글자 수
|2_1 = 버전 2.1에서 추가된 글자 수
|3_0 = 버전 3.0에서 추가된 글자 수
|3_1 = 버전 3.1에서 추가된 글자 수
|3_2 = 버전 3.2에서 추가된 글자 수
|4_0 = 버전 4.0에서 추가된 글자 수
|4_1 = 버전 4.1에서 추가된 글자 수
|5_0 = 버전 5.0에서 추가된 글자 수
|5_1 = 버전 5.1에서 추가된 글자 수
|5_2 = 버전 5.2에서 추가된 글자 수
|6_0 = 버전 6.0에서 추가된 글자 수
|6_1 = 버전 6.1에서 추가된 글자 수
|6_2 = 버전 6.2에서 추가된 글자 수
|6_3 = 버전 6.3에서 추가된 글자 수
|7_0 = 버전 7.0에서 추가된 글자 수
|표준 = 블록의 근거가 되는 표준
|참고 = 참고와 각주
}}

변수:

범위처음 xxx0 또는 xxxx0의 형태로 쓰입니다. (단, x는 16진수)
Rangeend xxxF, xxxf, xxxxF, 또는 xxxxf의 형태로 쓰입니다. (단, x는 16진수)
문자N ISO 15924에 정의된 문자를 넣어주세요. 예시: 그리스 문자.
버전:
1_0_0 .. 7_0
블록에서, 버전에 따라 더해진 글자 수를 입력합니다.
버전:
1_0_1 & 1_1
1_0_11_1에서는 삭제된 글자가 있기 때문에 음수 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 버전 1.1에서, 유니코드가 ISO 10646과 병합되면서 몇몇 글자는 삭제되었습니다.

Example[편집]

Test
범위U+0300..U+037F
(128 코드 포인트)
평면BMP
문자쐐기 문자
기호수학 기호
지정 글자 수37 코드 포인트
미사용85 예약 코드 포인트
6 비문자
3 비권장 글자
근거 표준ISCII
유니코드 버전 역사
1.0.043 (+43)
1.130 (-13)
6.233 (+3)
7.037 (+4)
참고: 코드 포인트 범위 U+0300..U+037F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
{{유니코드 블록 정보<br />
|블록이름 = Test<br />
|범위처음 = 0300<br />
|범위끝 = 037f<br />
|문자1 = [[쐐기 문자]]<br />
|기호 = 수학 기호<br />
|1_0_0 = 43<br />
|1_1 = -13<br />
|6_2 = 3<br />
|7_0 = 4<br />
|비문자 = 6<br />
|비권장 = 3<br />
|표준 = [[ISCII]]<br />
|참고 = 코드 포인트 범위 U+0300..U+037F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