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틀토론:저작권 침해 스크린샷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1년 전 (랩소디인뮤직님) - 주제: 틀 병합

저작권 위반?

이 것이 저작권 위반이라는 거 누구 견해입니까?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2일 (화) 08:55 (KST)답변

윈도같은 상용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을 말하는 겁니다. GFDL 호환되는 스크린샷은 이 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12일 (화) 08:56 (KST)답변
참고로 commons:Template:Screenshot에도 똑같은 틀이 있군요. --Klutzy 2006년 9월 12일 (화) 08:58 (KST)답변
상용 프로그램 스크린샷이 저작권에 저촉된다는 건 어디 견해인가요? 잘 몰라서 그럽니다.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2일 (화) 09:15 (KST)답변
스크린샷은 컴퓨터 프로그램/비디오 영상 등을 가공해서 만든 2차 저작물이므로 당연히 원본의 저작권에 귀속됩니다. --Klutzy 2006년 9월 12일 (화) 09:17 (KST)답변
그러니까 그 주장을 최초로 하신 분이 Klutzy인 건가요? 출처가 따로 있는 견해가 아니구요?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2일 (화) 09:52 (KST)답변
여기서도 공정 사용을 주장하시고 싶으신건가요? 최소한 미국과 유럽의 판례에 의하면 저작권 위반입니다. Commons:Licensing#Screenshots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 ChongDae 2006년 9월 12일 (화) 10:11 (KST)답변

스크린샷

Commons:Licensing#Screenshots을 번역한 것임

Screenshot of a demo program that was released under CC-BY-SA by its authors

프로그램 또는 운영체제가 저작권이 있다면, 스크린샷도 저작권이 있습니다. 자세한 토론은 here을 참조. 그러므로, 스크린샷은 커먼스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모든 구성요소가 자유 라이센스이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가이드라인은 변형(derivative)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here을 참조) 이것은 마이크로소프트사 제품의 스크린샷을 사용하는 것은 커먼스 정책에 위반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Note that the screenshot may be published under this free license only if all the images used for the program GUI have a free license. If, for example, all of them are PD then the screenshot must be PD too because the creative work of creating a screenshot is zero. If the screenshot contains icons or content of nonfree sites, the screenshot is not free. See the reply to a message to debian-legal@lists.debian.org posted by User:Paddy on debian-legal@lists.debian.org: reply 1

Thus, if the programmers do not agree to publish the program under a free license, and they do not explicitly license the screenshot (or all screenshots) under a free license, the screenshot is not free. This may not be true in all jurisdictions, but holds at least in the U.S. (due to Bridgeman Art Library v. Corel Corp.), in Germany (see Bildrechte in German Wikipedia), and probably all other countries of the European Union.

In some cases the program itself is a work of art - an example would be a demo (such as that illustrated above with the panda bear). Screenshots of such works are free if the program itself is free.

There may be exceptions to this if the screenshot shows only a work that was created using some program, not the program itself. This is especially true for fonts, which in some cases are considered programs.

Screenshot of the Free Software GPL licensed program Konqueror showing GFDL licensed Wikipedia main page

자유 스크린샷 만드는 방법:

  1. 완전히 자유로운 스킨을 사용하는 자유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 예컨대, 리눅스KDE 에서 crystal images를 사용. (번역자 주: 윈도우즈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자유 스크린샷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함)
  2. 모든 저작권이 있어보이는 것들을 잘라낼 것. 오직 내용(content)만 남기고 다 잘라낼 것.
  3. 스크린샷의 내용(content)은 반드시 자유 라이센스 저작물이어야 함. 스크린샷에 상표나 비자유 라이센스의 저작권 있는 텍스트 문장이나 비자유 라이센스의 저작권 있는 사진이 포함되지 않도록 할 것.

Please tag screenshots that shown only free content with {{free screenshot}} in addition to an appropriate copyright tag. You should also indicate under what free license the program is.

한마디로 평가하면...누가 작성했는지 몰라도, 법률을 아는 건지 조차 의심스러운 견해임. 윈도우 사용자는 절대로 자유 스크린샷을 만들 수 없다는 표현...압권임...ㅋ 윈도우 사용자는 다 나가라, 리눅스 사용자만 와라...ㅎㅎ 속보이는 소리.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2일 (화) 10:39 (KST)답변
여기를 보면 몇몇 제한조항이 있군요. 이젠 '크기 조정을 제외하고 변경 금지'와 GFDL이 호환된다는 주장을 하실건가요? --Klutzy 2006년 9월 12일 (화) 12:03 (KST)답변
거기를 보니까 정말 놀랍군요...오~ 이런...ㅋ -- 멀뚱이 (Talk / Contrib) 2006년 9월 12일 (화) 12:41 (KST)답변

윈도우 자체가 상용 프로그램인데 당연한거아닌가요. -- 피첼 2008년 1월 20일 (일) 18:02 (KST)

틀 병합

병합 틀은 달려 있는데, 아무런 토론이 없어 제가 먼저 개시하겠습니다. 제 의견은 병합 입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2년 7월 2일 (월) 01:14 (KST)답변

잘 쓰이지 않는 틀이라서 {{저작권 침해 파일}}과 합치는 게 좋겠네요. --랩소디인뮤직 (토론) 2012년 7월 24일 (화) 22: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