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은혜 (교육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빗사이로 쉬파리 날구님이 박은혜 (1904년) 문서를 박은혜 (교육인)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난석 박은혜.jpg|섬네일|1930년대 후반의 박은혜]]
[[파일:난석 박은혜.jpg|섬네일|1930년대 후반의 박은혜]]
'''박은혜'''(朴恩惠 [[1904년]] [[2월 29일]]~[[1963년]] [[10월 31일]])는 [[일제강점기]]의 [[철학자]] 겸 [[종교가]]이자,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겸 [[교육]]인이었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왔으며 모교인 [[이화여전]] 영문과 교수,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장, 은석국민학교 이사장 등을 지냈다.
'''박은혜'''({{한자|朴恩惠}}, [[1904년]] [[2월 29일]]~[[1963년]] [[10월 31일]])는 [[일제강점기]]의 [[철학자]] 겸 [[교육]]인이며 [[종교가]]이자,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겸 [[교육]]인이었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왔으며 모교인 [[이화여전]] 영문과 교수,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장, 은석국민학교 이사장 등을 지냈다.


언론인 겸 정치인 [[장덕수]](張德秀)의 두 번째 부인이다. 호는 난석(蘭石)이고, [[평안남도]] [[평원군 (평안남도)|평원군]] 출신이다.
언론인 겸 정치인 [[장덕수]](張德秀)의 두 번째 부인이다. 호는 난석(蘭石)이고, [[평안남도]] [[평원군 (평안남도)|평원군]] 출신이다.

2023년 10월 10일 (화) 18:42 판

1930년대 후반의 박은혜

박은혜(한국 한자: 朴恩惠, 1904년 2월 29일~1963년 10월 31일)는 일제강점기철학자교육인이며 종교가이자,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교육인이었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나왔으며 모교인 이화여전 영문과 교수,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장, 은석국민학교 이사장 등을 지냈다.

언론인 겸 정치인 장덕수(張德秀)의 두 번째 부인이다. 호는 난석(蘭石)이고, 평안남도 평원군 출신이다.

생애

생애 초기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정신여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전문학교에 진학했다.

미국 유학과 교육활동

남편 설산 장덕수

그 뒤 이화여전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 1932년 미국 아이오와주에 있는 듀부크대학을 졸업하였다. 그 뒤 뉴욕성서신학교에서 사회종교학을 전공, 1935년 종교교육학 학사의 학위를 받고 귀국, 모교인 이화여전에서 영문학과 종교학을 강의했다. 1930년대 후반 미국으로 유학왔던 장덕수와 연애, 1937년 10월 장덕수와 결혼하였다.

생애 후반

8·15해방 후 고황경(高凰京)의 뒤를 이어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장으로 부임해 15년간 재직하다가 퇴임하였다. 1947년 12월 남편이 자택에서 한국독립당계 자객에게 암살당하는 비운을 겪었으나 뒤에 일어서 교육활동에 전념하였다.

퇴임 후 사립국민학교인 은석국민학교를 설립해 이사장에 취임했다. 저서로는 연설문과 작품의 모음집인 난석소품(蘭石小品)이 있다.

저서

  • 난석소품

가족

  • 남편: 장덕수
    • 딸: 장숙원(張淑元)
    • 딸: 장혜원(張惠元, 1943년~)
    • 아들: 장지원(張知元)
    • 아들: 장사원(張師元, 미국 거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