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화하늘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Ohsh998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점검이 필요한 외부 링크 시각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5월 상순~중순 경에 국화의 줄기 선단부가 갑자기 백색으로 시들면서 아래로 처지고 점차 갈색으로 변색되면서 말라 죽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성충이 산란할 때 상처를 주기 때문이며, 피해를 받은 줄기는 생육이 정지되고 가해부위 위쪽이 점차 마른다. 가해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장타원형의 알을 볼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줄기 속에 구멍을 뚫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가해하는데, 피해 받은 줄기는 시들고 점차 말라죽는다.<ref name=":0" />
5월 상순~중순 경에 국화의 줄기 선단부가 갑자기 백색으로 시들면서 아래로 처지고 점차 갈색으로 변색되면서 말라 죽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성충이 산란할 때 상처를 주기 때문이며, 피해를 받은 줄기는 생육이 정지되고 가해부위 위쪽이 점차 마른다. 가해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장타원형의 알을 볼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줄기 속에 구멍을 뚫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가해하는데, 피해 받은 줄기는 시들고 점차 말라죽는다.<ref name=":0" />


== 예찰과 방제법 ==
== 예찰 방법 ==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줄기는 기부를 잘라 태우거나 깊이 묻는다. 성충의 발생시기를 예찰하여 성충의 산란기에서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예찰 방법으로는 국화 줄기의 상단부가 꺽어지거나 시드는 증상이 나타나면 줄기의 아래쪽을 갈라서 내부를 살펴 유충을 조사할 수 있다.<ref name=":0" />
예찰 방법으로는 국화 줄기의 상단부가 꺽어지거나 시드는 증상이 나타나면 줄기의 아래쪽을 갈라서 내부를 살펴 유충을 조사할 수 있다.<ref name=":0" />

== 방제 방법 ==
피해줄기의 그루터기에서 월동하므로 삽목용 모주를 제외하고 불필요한 식물체는 봄까지 처분하여 소각한다. 성충의 발생시기는 지역에 따라서 매년 일정하기 ㄸ문에 그 시기에 주의하고 첫 피해를 확인하면 즉시 약제살포를 한다. 일본의 경우 메프, 마라톤, 디프, 나크 등의 분제를 5~7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살포해서 그 후의 피해를 거의 볼 수 없게 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개화시기가 가까울 때는 경엽의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유제를 살포하면 좋다.<ref>{{웹 인용|url=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0812pjh&logNo=100055145621|제목=박종한의 식물병 이야기}}</ref>


== 각주 ==
== 각주 ==

2022년 5월 10일 (화) 14:36 판

국화하늘소

국화하늘소
생물 분류ℹ️
계: Animalia 동물계
문: Arthropoda 절지동물문
강: Insecta 곤충강
목: Coleoptera 딱정벌레목
과: Cerambycidae 하늘소과
속: Phytoecia 국화하늘소속
학명
Phytoecia rufiventris
[출처 필요]

국화화늘소 (Phytoecia rufiventris)의 성충은 5~6월 중에 나타난다. 풀밭에서 볼 수 있다. 주로 국화과 식물에 모이며 유충도 그 식물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6~9mm로 작고 길며 원통형에 가깝다. 몸은 검지만 약간 남색 빛이 돌고 가슴등면에 붉은 점이 있다. 앞다리의 넓적다리마디와 종아리마디 위쪽, 가운뎃다리의 넓적다리마디 가운데, 배의 끝 두 마디는 주황색 내지 주홍색이다.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1]

생태

성충 또는 노숙유충으로 줄기 그루터기에서 월동하며, 년 1~2회 발생한다. 성충은 4~5월경에 국화 재배포장으로 날아와 국화의 새싹 부분에 둥글게 상 처를 주고 1개씩 산란한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줄기 속으로 식입하여 가해하면서 성장한다. 다 자란 유충은 8월 하순 경, 줄기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9월에 성충이 되어 월동한다.[2]

피해정보

5월 상순~중순 경에 국화의 줄기 선단부가 갑자기 백색으로 시들면서 아래로 처지고 점차 갈색으로 변색되면서 말라 죽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성충이 산란할 때 상처를 주기 때문이며, 피해를 받은 줄기는 생육이 정지되고 가해부위 위쪽이 점차 마른다. 가해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장타원형의 알을 볼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줄기 속에 구멍을 뚫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가해하는데, 피해 받은 줄기는 시들고 점차 말라죽는다.[2]

예찰 방법

예찰 방법으로는 국화 줄기의 상단부가 꺽어지거나 시드는 증상이 나타나면 줄기의 아래쪽을 갈라서 내부를 살펴 유충을 조사할 수 있다.[2]

방제 방법

피해줄기의 그루터기에서 월동하므로 삽목용 모주를 제외하고 불필요한 식물체는 봄까지 처분하여 소각한다. 성충의 발생시기는 지역에 따라서 매년 일정하기 ㄸ문에 그 시기에 주의하고 첫 피해를 확인하면 즉시 약제살포를 한다. 일본의 경우 메프, 마라톤, 디프, 나크 등의 분제를 5~7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살포해서 그 후의 피해를 거의 볼 수 없게 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개화시기가 가까울 때는 경엽의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유제를 살포하면 좋다.[3]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