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물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221.161.148.47(토론)의 편집 1개를 Soosung shin (TW)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내용을 "헿"(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이름=점박이물범
|그림=Phoca largha Bering Sea 3.jpg
|그림_설명=점박이물범
|상태=LC
|상태_기준=Iucn3.1
|상태_출처=
|색=동물
|계=[[동물|동물계]]
|문=[[척삭동물|척삭동물문]]
|강=[[포유류|포유강]]
|목=[[식육목]]
|아목=[[개아목]]
|과=[[물범과]]
|아과=[[북방물범아과]]
|족=[[북방물범아과|물범족]]
|속=[[물범속]]
|종='''점박이물범'''<br/>(''P. largha'')
|학명=''Phoca largha''
|학명_명명=Pallas, 1811
|지도=
|지도_설명=점박이물범의 분포 지역
}}
{{남한 천연기념물 | 이름=물범(물범) | 순번=331 | 지정=[[1982년]] [[11월 4일]] | 소재=[[동해]], [[서해]], 남해 일원}}
'''점박이물범'''은 [[물범]]의 한 종류이다. 북태평양 [[보퍼트 해]]·[[축치 해]]·[[베링 해협]]·[[오호츠크 해]]의 대륙붕을 따라, 그리고 [[동해]] 서안에 서식한다. 개체수는 약 40만마리로 추정되며, 그 중 20만마리가 [[오호츠크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박이 물범은 은회색 바탕에 타원형 점무늬가 있으며 몸의 길이는 160∼170&nbsp;cm, 체중은 70∼130㎏에 달한다. 배 부분은 밝은 회색인데, 얼룩 무늬는 작다. [[잔점박이물범]]과 비슷하지만 골격과 생태적으로 차이가 있다.

천적은 [[범고래]], 상어([[백상아리]],[[뱀상어]]) 다.

1982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지정되었고 야생동식물보호법상의 멸종 위기 야생 동물 2급으로 지정돼 보호하고 있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266473.html
|출판사=[[한겨레신문]]
|날짜=[[2008년]] [[1월 29일]]
|제목=백령도 ‘점박이물범’이 사라진다
}}</ref>

== 성숙과 번식 ==
성적으로 성숙하는 연령은 3~5세이다. 번식과 교미는 4월에 이루어지며, 약 1년 후인 3~4월 즈음에 유빙에서 새끼를 출산한다. 수유기간은 2~3주이며, 새끼는 흰색에서 약간 엷은 황색을 한 솜털에 싸여 태어난다. 이 백색의 솜털은 유빙에서 출산한 새끼 점박이 물범의 보호색으로 기능한다. 또한, 이 솜털은 출산 후 2~3주 사이에서 사라지며, 곧 새끼도 부모와 같은 얼룩모양이 된다.

== 생태 ==
겨울과 봄에는 유빙과 함께 이동하는 바다표범이기 때문에, 겨울에는 [[오호츠크해]] 연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유빙]]에서 출산을 하고 육아를 돌본다. 유빙이 소멸하여 후퇴하게 되면 개체들이 북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의 [[홋카이도]] 동부의 후렌 호수나 노츠케 반도 등에 머무는 개체들도 있다. 수명은 30년 전후이다.

== 계통 분류 ==
{{계통도/물범과}}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331&nation=S 물범] - 남북의 천연기념물
* [https://web.archive.org/web/20070926220516/http://www.ocp.go.kr:9000/n_dasencgi/full.cgi?v_db=1&v_disp_type=2&v_doc_no=2875 물범] - 문화재청

{{물범과}}

{{생물 분류 식별자}}

[[분류:물범과]]
[[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분류:1811년 기재된 동물]]

2020년 8월 22일 (토) 14:53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