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상좌수영성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Iew13w (토론 | 기여)
잔글 Iew13w님이 경상좌수영성지 문서를 토론:좌수영성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Iew13w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재 정보
{{문화재 정보
| 이름 = 경상좌수영성지<br />(慶尙左水營城址)
| 이름 = 좌수영성지<br />(左水營城址)
| 그림 = Fortress site of Jwasuyeong.JPG
| 그림 = Fortress site of Jwasuyeong.JPG
| 그림크기 =
| 그림크기 =
9번째 줄: 9번째 줄:
| 지정 = [[1972년]] [[6월 26일]]
| 지정 = [[1972년]] [[6월 26일]]
| 해지 =
| 해지 =
| 주소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광안동]] 일대
| 주소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31-1]
| 시대 = 조선시대
| 시대 = [[조선]]
| 소유 =
| 소유 =
| 참고 =
| 참고 =
19번째 줄: 19번째 줄:
| 지도 = 대한민국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띄움 =
| 꼬리표 = 경상좌수영성지
| 꼬리표 = 좌수영성지
| 너비 =
| 너비 =
| 대체지도 =
| 대체지도 =
29번째 줄: 29번째 줄:
}}
}}


'''경상좌수영성지'''(慶尙左水營城址)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8호 '''좌수영성지'''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3일 문화재지정 명칭을 문화재의 성격을 명확하게 표기하기 위하여 '''경상좌수영성지'''로 변경하였다.<ref name="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http://news.busan.go.kr/comm/getFile?srvcId=PDF_ARTICLE&upperNo=68972&fileTy=ATTACH&fileNo=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645호, B3면, 2014-09-03</ref>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8호 '''경상좌수영성지'''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3일 문화재지정 명칭을 문화재의 성격을 명확하게 표기하기 위하여 '''좌수영성지'''로 변경하였다.<ref name="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http://ebook1.busan.go.kr/combine/preview/skin/doc.html?fn=PNEWS2017021113220014&rs=/Upload/Synap/201512/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깨진 링크|url=http://ebook1.busan.go.kr/combine/preview/skin/doc.html?fn=PNEWS2017021113220014&rs=%2FUpload%2FSynap%2F201512%2F }},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645호, B3면, 2014-09-03</ref>


== 개요 ==
== 개요 ==
경상좌수영성은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으로, 원래는 부산포에 있었다가 여러 번 옮겨진 뒤, 효종 3년(1652) 다시 부산포로 옮겨져, 고종 32년(1895) 구 군사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좌수영성지는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으로, 원래는 부산포에 있었다가 여러 번 옮겨진 뒤, 효종 3년(1652) 다시 부산포로 옮겨져, 고종 32년(1895) 구 군사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성을 처음 쌓은 정확한 때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것은 숙종 18년(1692) 좌수사 문희성이 다시 쌓은 것이다. 둘레는 약 2,785m, 높이는 4m이며, 우물 4개, 성문 4개, 수구 4개, 성의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성 바깥에 쌓는 옹성과 치성이 있었다.
성을 처음 쌓은 정확한 때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것은 숙종 18년(1692) 좌수사 문희성이 다시 쌓은 것이다. 둘레는 약 2,785m, 높이는 4m이며, 우물 4개, 성문 4개, 수구 4개, 성의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성 바깥에 쌓는 옹성과 치성이 있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문화재청 문화재|23,00080000,21|경상좌수영성지}}
* {{문화재청 문화재|23,00080000,21|좌수영성지}}


{{부산광역시의 성}}
{{부산광역시의 성}}

2019년 1월 28일 (월) 01:46 판

좌수영성지
(左水營城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기념물
종목기념물 제8호
(1972년 6월 26일 지정)
면적8,351m2
시대조선
위치
주소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31-1]
좌표북위 35° 10′ 15″ 동경 129° 6′ 50″ / 북위 35.17083° 동경 129.11389°  / 35.17083; 129.1138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8호 경상좌수영성지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3일 문화재지정 명칭을 문화재의 성격을 명확하게 표기하기 위하여 좌수영성지로 변경하였다.[1]

개요

좌수영성지는 경상좌도 수군의 총 지휘자가 머물던 진영(鎭營)으로, 원래는 부산포에 있었다가 여러 번 옮겨진 뒤, 효종 3년(1652) 다시 부산포로 옮겨져, 고종 32년(1895) 구 군사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성을 처음 쌓은 정확한 때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것은 숙종 18년(1692) 좌수사 문희성이 다시 쌓은 것이다. 둘레는 약 2,785m, 높이는 4m이며, 우물 4개, 성문 4개, 수구 4개, 성의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성 바깥에 쌓는 옹성과 치성이 있었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종군이 있었으며, 7개의 진이 소속되어 모두 65척의 전투선과 45척의 나룻배가 경상도 동쪽 해안을 방어하는데 힘썼다.

일제시대 때 관리를 소홀히 하여 대부분이 무너졌고, 현재는 성벽과 남문, 홍예문이 남아 있다.

각주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645호, B3면, 2014-09-03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