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수정
수정
8번째 줄: 8번째 줄:
| 지정 = [[2001년]] [[3월 12일]]
| 지정 = [[2001년]] [[3월 12일]]
| 해지 =
| 해지 =
| 주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 주소 = [[서울특별시]]
| 시대 =
| 시대 =
| 소유 =
| 소유 =
15번째 줄: 15번째 줄:
| 수량 =
| 수량 =
| 전승지 =
| 전승지 =
| 전승자 = 보유자: 신중현, 손대현, 홍등화, 김환경, 정병호
| 전승자 = 정수화(鄭秀華)
| 지도 =
| 지도 =
| 띄움 =
| 띄움 =

2020년 1월 1일 (수) 15:54 판

칠장
(漆匠)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무형문화재
종목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
(2001년 3월 12일 지정)
전승자보유자: 신중현, 손대현, 홍등화, 김환경, 정병호
주소서울특별시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칠장(漆匠)이란 옻나무에서 나오는 수액(樹液)을 추출하여 목공예의 마무리 공정으로 칠(옻칠)을 하는 장인을 말한다. 2001년 3월 12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칠장은 옻나무에서 채취하는 수액을 용도에 맞게 정제하여 기물에 칠하는 장인을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 옻이 사용된 흔적은 기원전 3세기 경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인 유물이 출토된 것은 기원전 1세기 경부터이다.

낙랑시대에 발전된 칠기는 신라시대에 들어서 더욱 발전하였고,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나전과 결합되어 나전칠기라는 새로운 기법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칠이 이전 시기보다 대중화되어 많은 칠기가 제작되었다. 국가에서도 전국의 옻나무 산지를 파악하여 여기에서 생산되는 옻칠을 공납받았으며, 서울과 지방에는 칠과 관련된 장인들이 주로 관청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나무에서 채취한 칠은 정제 과정을 거쳐야만 용도에 맞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칠장은 직접 칠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칠은 정제를 통하여 옻액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입자가 고운 칠로 변하게 된다. 그 방법은 생칠을 2∼3 시간 동안 고무레로 혼합하는 고무레질과 옻칠의 수분 합수율을 줄임으로써 붓자국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교반으로 나누어 진다.

칠공예품 칠은 완성되기까지 장시간이 필요하며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우선 칠을 하기 위한 기물이 필요한데, 이를 소지라고 한다. 소지 재료에는 가공하기 쉽고 칠 바름이 잘 되는 나무를 비롯한 대나무, 천, 종이, 흙, 금속 등을 사용한다.

칠하는 과정은 먼저 소지를 다듬은 후 생칠을 바르고 갈고 바르는 과정을 수차례한다. 그 후 다시 초칠, 중칠을 하며 건조시키고 다시 상칠을 한 후 광내기, 생칠을 반복적으로 하여 마감한다.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