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25.248.147.10(토론)의 10538999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목록|통화 혹은 화폐|화폐에 대한 동음이의어|화폐 (동음이의)||돈 (동음이의)}}
{{다른 뜻 목록|통화 혹은 화폐|화폐에 대한 동음이의어|화폐 (동음이의)}}
[[파일:VegasBitch198.jpg|thumb|240px|돈]]
[[파일:VegasBitch198.jpg|thumb|240px|돈]]



2013년 3월 25일 (월) 05:49 판

은 일반적인 유통수단이다.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며, 화폐(貨幣)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조개 껍데기, 짐승의 가죽, 보석, 옷감(비단), 농산물 따위를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 , 따위의 금속이나 특수한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며 그 크기나 모양, 액수 따위는 일정한 법률에 따라 정한다.

실제로 경제 생활에서는 화폐의 매개 작용으로 비로소 원하는 상품을 얻을 수 있다.

재화와 돈의 교환을 매매라 한다. 이와 같이 매매는 재화와 돈의 교환이므로, 재화와 재화의 교환은 교환이지, 매매가 아니다. 그러나 돈과 돈의 교환, 즉 환전은 매매이다.[1]

한편 유통 수단이나 지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화폐를 유통화폐라고 한다.

화폐의 역사

화폐의 역사는 구체적인 상품화폐의 생성에서 시작되어 이것이 점차 추상적인 신용화폐로 발전하여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

자연화폐

원시적인 물물교환경제에 있어서는 가장 빈번히 교환되고, 더욱이 일반적인 수용성(受容性)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이 자연발생적으로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화폐로 선정된 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나 역사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은 조개 껍데기, 베와 비단, 가축, 피혁, 주옥, 소맥 등이 화폐적 상품이었다. 이런 것을 총칭하여 자연화폐라고 한다.[3]

금속화폐

다양한 형태의 자연화폐는 금속정련기술의 진보를 배경으로 점차 금속화폐로 통일되어 갔다. 그 대표적인 것은 물론 (金)과 (銀)이다. 금·은은 가치가 높고 훼손·감멸이 적으며, 품질이 일정하고 또한 생산량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므로 그 지니고 있는 가치의 변동이 적으며 이러한 여러 이유에서 금속화폐를 대표하기에 이르렀다. 19세기에 들어 세계적으로 은의 생산량이 증대하여 은의 가치가 몹시 변동하게 되자 여기에 금을 중심으로 하는 화폐제도 즉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가 확립되었다. 금·은 등의 금속화폐는 처음에는 거래할 때마다 그 품질 및 무게를 측정한 후에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평량화폐(枰量貨幣) 내지는 중량화폐(重量貨幣)이다. 그러나 점차로 귀족, 호족 등 신용력이 있는 유력자에 의해 일정한 함유량을 갖는 금속을 화폐로서 주조하는 일이 행해짐에 따라 여기에 주조화폐(鑄造貨幣) 내지 개수화폐(個數貨幣)가 생기게 되었다. 그 후 주조는 16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서 국가의 독점적 권한이 되었다. 이것을 조폐특권(造幣特權)이라 부른다.[4]

신용화폐(신용통화)

금·은이 그 소재가치에 의거하여 주조됨에 따라 본위화폐의 기능을 보충하는 보조화폐가 생겨났다. 즉 소액의 본위화폐의 주조는 양이 적어지므로 기술적으로 곤란해져 그 결과 금·은 이외의 (銅), 알미늄, 니켈, 주석 등의 소재가 선정되어 보조화폐로 주조되었다. 이들은 본위화폐와는 달라 소재가치 이상의 액면가치가 부여되어 있는 점에 특색이 있다.

본위화폐의 대용물로서는 보조화폐 외에 정부지폐, 은행권, 어음, 수표가 있다. 이 중에서 정부지폐란 정부 재정의 적자보전(赤字補塡)을 목적으로 정부에 의해 발행된 유통경제상 하등 실체가 없는 지폐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은행권, 어음, 수표는 상품거래를 밑바탕으로 하는 유통경제상의 합리성을 갖고 있어 이 점에서 그 성격은 정부지폐와는 큰 차이가 있다. 먼저, 어음은 신용거래의 결제수단으로서 발행된 소위 상인의 화폐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상인의 화폐인 어음이 신용력(信用力)이 월등히 높은 은행신용에 의해 대체됨으로써 수표 또는 그 모체(母體)인 당좌예금 및 은행권이 생산된다. 수표와 은행권의 구별은 그 채무자가 시중금융기관이냐 중앙은행이냐의 차이에서만 기인되는 것으로서 그 선택은 주로 사회적인 거래관습[5]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조화폐, 정부지폐, 은행권, 수표(내지는 당좌예금)는 다같이 신용화폐(信用貨幣)라 불린다.[6]

돈의 종류

같이 보기

주석

  1. 김상용. 《채권각론(상)》 초판. 서울: 법문사. 198쪽쪽. 
  2. 화폐의 역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
  3. 자연화폐, 《글로벌 세계 대백과》
  4. 금속화폐,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은행권은 보통기업 대 가계거래에, 수표는 보통기업간 거래에 씌어진다
  6. 신용화폐,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고 자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