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요 공개 기록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 2024년 5월 25일 (토) 21:05 위대한꽃 토론 기여님이 이정헌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정헌(李庭憲 ?~1592)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부산진성 전투에서 전사했다. 문과시험을 준비하다가 일본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는 소식을 듣고 1591년(선조 24) 무과에 응시 급제하여 부산진 첨절제사 정발(鄭撥)의 조방장(助防將)이 되었다. 이정헌은 상관인 정발이 손님을 맞이하는 예에 대하여 자문을 구할 정...)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 2024년 4월 5일 (금) 05:35 위대한꽃 토론 기여님이 이보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보혁(李普赫, 1684 ~ 176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원(聲遠). 시호는 충정(忠貞).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재종손이며, 영의정 이의현(李宜顯)의 조카이다. 아들인 이경호·이중호 형제를 비롯하여 후손 6명이 대과에 급제하였고, 손자 이재협은 1789년(정조 13)에 영의정을 지냈다. 1725년(영조 1년)음서(蔭敍)로 관직에 올라 평양부윤이 되었...)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 2024년 4월 5일 (금) 04:40 위대한꽃 토론 기여님이 이길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길권(李吉卷,904~1009)은 고려 전기 용인 출신의 개국공신이자 용인이씨의 시조이다. 왕건의 누이를 아내로 맞이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附馬)가 되었다. 신라 말에 용구(龍駒)[경기도 용인시의 옛 이름]에서 태어난 토호(土豪)였는데,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왕건이 고려의 태조가 되었을 때 개국공신의 예우로서 식읍(食邑) 500호를...)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m 모바일 웹
  • 2024년 4월 5일 (금) 04:22 위대한꽃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태그: m 모바일 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