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회복효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인 학생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4월 1일 (목) 14:47 판 ("Recovery effect"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회복효과는 배터리 사용량에서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충전된 에너지와 소비된 에너지의 차이보다 적은 현상이다. 직감적으로는 배터리의 가장자리에서 에너지가 소비되어 배터리 주위에 고르게 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1]

전력을 연속적으로 인출할 경우 전압은 매끄러운 곡선으로 감소하나 전류가 차단되면 회복효과에 의해 전압이 부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2]

KiBaM 전지모델은 납축전지의 회수효과를 기술하였으며 Li-ion 전지에서 볼 수 있는 효과와 비슷하다. 배터리에 따라서는, 항상 방전하는 것이 아니라, 방전 기간과 비액티브 기간을 교대로 실시하는 것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최대 45%연장할 수 있다. 회복효과의 크기는 배터리의 부하, 회복시간, 방전의 깊이에 따라서 달라진다.[3]

납축전지화학에서는 회수효과현상이 보다 현저했지만 알칼리전지, Ni-MH전지, Li-Ion전지에서는 그 존재는 여전히 의문이다. 예를 들어 알칼리 전지, Ni-MH 전지, Li-Ion 전지의 경우 간헐 방전 전류가 발생하면 같은 평균치의 연속 방전 전류에 비해 사용 가능 에너지 출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계통적인 실험 사례에 의해 밝혀졌다. 이는 주로 같은 평균치의 연속방전 전류에 대한 간헐방전이 높은 피크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과잉전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4]

같이보기

  • 용량 페이딩

참고 문헌

  1. Boker, U.; Henzinger, T. A.; Radhakrishna, A. (2014). 〈Battery transition systems〉. 《Proceedings of the 41st ACM SIGPLAN-SIGACT Symposium on Principles of Programming Languages - POPL '14》. 595쪽. doi:10.1145/2535838.2535875. ISBN 9781450325448. 
  2. Fuhs, Allen (2008). 〈Multifaceted Complexity of Batteries〉. 《Hybrid Vehicles》. doi:10.1201/9781420075359.ch6. ISBN 978-1-4200-7534-2. 
  3. Rakhmatov, D.; Vrudhula, S.; Wallach, D. A. (2003). “A model for battery lifetime analysis for organizing applications on a pocket computer”. 《IEEE Transactions on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VLSI) Systems》 11 (6): 1019. doi:10.1109/TVLSI.2003.819320. 
  4. Narayanaswamy, Swaminathan; Schlueter, Steffen; Steinhorst, Sebastian; Lukasiewycz, Martin; Chakraborty, Samarjit; Hoster, Harry Ernst (2016년 5월 18일). “On Battery Recovery Effect in Wireless Sensor Nodes” (PDF).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ronic Systems》 21 (4): 1–28. doi:10.1145/28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