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피복지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지피복지도주제도(Thematic Map)의 일종으로,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일정한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Color Indexing한 후 지도의 형태로 표현한 공간정보DB를 말한다.

토지피복지도는 1985년 유럽환경청(Europe Environment Agency, EEA)에서 추진된 CORINE (Coord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프로젝트에서 개념이 정립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분류기준을 확정하여 1998년 환경부에서 최초로 남한지역에 대한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였다.

토지피복지도의 특징[편집]

지표면의 현상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투수율(透水率)에 의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비오톱 지도작성에 의한 도시계획, 댐 수문 방류 시 하류지역 수몰피해 시뮬레이션, 기후대기 예측 모델링, 환경영향평가 등에 폭넓게 활용한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환경정책수립의 과학적 근거로서 위상을 가지고 있고 관련 학계의 다양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토지피복지도 내용[편집]

토지피복 분류체계[편집]

토지피복지도는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해상도30M급), 중분류(해상도5M급), 세분류(해상도1M급)의 3가지 위계를 가진다. 대분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7가지 토지피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분류 및 세분류는 대분류를 좀 더 세분하고 있다.

해상도별 토지피복지도 비교[편집]

토지피복지도 작성 예시[편집]

토지피복지도 최종결과물은 인터넷 서비스 도면(PDF포맷)과 GIS 자료(SHP포맷)로 작성되며 결과물 샘플은 아래와 같다.

토지피복지도 제작현황[편집]

제작현황 개요[편집]

구분 사업기간 사업범위 사용영상 구축물량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축단계 1차 `98.11~`99.01 남한(90년대) - - Landsat TM 239도엽 - -
2차 `00.12~ 01.06 남ㆍ북한(8ㆍ90년대) 수도권 - Landsat TM/IRS-1C 737도엽 119도엽 -
3차 `02.01~`02.12 - 한강/금강 - Landsat ETM+/IRS-1D/IKONOS - 321도엽 -
4차 `03.02~`03.12 - 낙동강 - SPOT-5 - 226도엽 -
5차 `04.06~`05.04 - 영산강/제주 - SPOT-5 - 173도엽 -
1차갱신 `06.06~`07.12 - 전국 - SPOT-5 - 814도엽 -
2차갱신 `09.03~`09.11 - 수도권,충청일부 - 아리랑2호 - 152도엽 -
3차갱신 `13.06~`14.01 - 전국(경상제외) - 항공정사영상/아리랑2호 - 584도엽 -
8차수도권 `18.01~`18.12 - 수도권 - - - 122도엽 -
고도화 1차 `10.02~`10.12 남ㆍ북한(2000년대) DMZ 북한강/남한강 Landsat7,아리랑2호/항공정사영상 488도엽 36도엽 760도엽
2차 `11.02~`11.12 - - 낙동강상류 항공정사영상 - - 1,622도엽
3차 `12.04~`12.11 - - 낙동강중ㆍ하류 항공정사영상 - - 1,359도엽
4차 `13.06~`14.01 - - 낙동강미구축지역 항공정사영상 - - 2,726도엽
4-2차 `13.09~`14.03 - - 한강수계일부 항공정사영상 - - 217도엽
5차 `14.04~`14.12 - - 한강중·하류 항공정사영상 - - 1,500도엽
1차 갱신 `14.04~`14.12 - - 북한강/남한강 항공정사영상 - - 760도엽
6차 `15.04~`15.12 - - 충남권 항공정사영상 - - 1,774도엽
6차세종시 `15.04~`15.12 - - 세종시 아리랑2호 - - 109도엽
7차 ‵16.04~‵16.12 - - 전라북도/제주특별자치도 항공정사영상 - - 1,745도엽
7차전북 `16.04~`16.12 - - 전라북도 아리랑2호/아리랑3호/아리랑3A호 - - 1,368도엽
8차강원,충북 `17.03~`17.12 - - 강원도/충청북도 항공정사영상,아리랑2호,아리랑3호,아리랑3A호 - - 3,823도엽
8차광주,전남 `18.01~`18.12 - - 전라남도/광주광역시 항공정사영상,아리랑2호,아리랑3호 - - 2,875도엽
현행화 2019년 `19.06~`19.12 남ㆍ북한(2010년대) - - Landsat8,아리랑2호,아리랑3A호 488도엽 - -

대분류 토지피복지도[편집]

1980년대 말[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1998년

2000년

남한

북한

영상: Landsat TM (30M)

촬영: 1987~1989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30M급

물 량: 축척 1/50,000 488도엽

분류항목: 7개 항목

1990년대 말[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00년 한반도

(남·북한)

영상: Landsat TM (30M)

촬영: 1997~1999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30M급

물 량: 축척 1/50,000 488도엽

분류항목: 7개 항목

2000년대 말[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0년 한반도

(남·북한)

영상: Landsat 7 (30M)

촬영: 2008~2010년

영상: 아리랑2호 (4M)

촬영: 2008~2010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30M급

물 량: 축척 1/50,000 488도엽

분류항목: 7개 항목

2010년대 말[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9년 한반도

(남·북한)

영상: Landsat 8 (30M)

촬영: 2018~2019년

영상: 아리랑2호,아리랑3A호 (1M)

촬영: 2018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30M급

물 량: 축척 1/50,000 488도엽

분류항목: 7개 항목

중분류 토지피복지도[편집]

2000~2004년 구축[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00년 수도권

(서울/경기/인천)

영상: IRS-1C (5M)

촬영: 2000년

영상: Landsat TM (30M)

촬영: 1999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5M급

물 량: 축척 1/25,000 814도엽

분류항목: 23개 항목

2002년 한강·금강권 영상: IRS-1D (5m)

촬영: 2000년

영상: Landsat ETM+ (30M)

촬영: 1999년

영상: IKONOS (1M)

촬영: 2000년

2003년 낙동강권 영상: SPOT-5 (2.5M)

촬영: 2002년

2004년~2005년 영산강·제주도권 영상: SPOT-5 (2.5M)

촬영: 2004년

2007년 1차 갱신[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07년 전국 영상: SPOT-5 (2.5M)

촬영: 2006~2007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5M급

물 량: 축척 1/25,000 814도엽

분류항목: 23개 항목

2009년 2차 갱신[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09년 서울, 인천, 대전, 경기, 충남, 충북 영상: 아리랑2호 (1M)

촬영: 2008~2009년

포 맷: GeoTiff, PDF

해 상 도: 5M급

물 량: 축척 1/25,000 152도엽

분류항목: 23개 항목

2013년 3차 갱신[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3년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청, 대전,

전라, 광주, 제주

영상: 항공정사영상 (1M)

촬영: 2010년

[ DMZ일대 ]

영상: 아리랑2호 (1M)

촬영: 2007년~2011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5M급

물 량: 축척 1/25,000 584도엽

분류항목: 22개 항목

2018년 세분류토지피복지도를 중분류토지피복지도로 변환[편집]

제작시기 지역 기본자료 자료형식 및 물량
2018년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2010년~2012년

세분류토지피복지도

포 맷: GeoTiff, SHP, PDF

해 상 도: 5M급

물 량: 축척 1/25,000 122도엽

분류항목: 22개 항목

세분류 토지피복지도[편집]

2010년 구축 1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0년 북한강·남한강유역
  • 경기도 가평군, 광주시, 남양주시, 양평군, 여주군, 이천시 및 구리시·용인시·춘천시·하남시 일부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0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760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1년 구축 2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1년 낙동강 상류
  • 대구광역시 (달성군)
  • 경상북도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상주시, 문경시, 의성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0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622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2년 구축 3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2년 낙동강 중·하류
  • 부산광역시 (강서구·사상구·북구)
  • 대구광역시 (남구·달서구·동구·서구·수성구·중구·북구)
  • 경상남도 거창군, 김해시, 밀양시, 산청군, 양산시, 의령군, 진주시, 창녕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0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359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2년 구축 4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3년 낙동강 미구축 지역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강원도 태백시 일부
  • 경상북도 영주시, 봉화군, 울진군, 영양군, 영덕군, 청송군, 포항시, 군위군, 영천시, 경주시, 경산시, 청도군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시, 마산시, 고성군, 통영시, 거제시,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 전라북도 남원시 일부
영상: 항공정사영상 (1M)

촬영: 2010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2,726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3년 구축 4-2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3년 서울, 성남, 용인 일부지역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0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217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4년 구축 5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4년 경기도 미구축 지역
  • 인천광역시
  • 경기도 안산시, 화성시, 안성시, 김포시, 수원시, 의정부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평택시,

동두천시, 고양시, 과천시, 오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파주시,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2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500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4년 1차 갱신[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4년 북한강·남한강유역
  • 경기도 가평군, 광주시, 남양주시, 양평군, 여주군, 이천시 및 구리시·용인시·춘천시·하남시 일부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2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760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5년 구축 6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5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4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774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5년 구축 6차 세종시[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5년 세종특별자치시 영상: 아리랑2호 (1M)

촬영: 2015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09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6년 구축 7차[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6년 제주특별자치도,

전라북도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4년, 2015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745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6년 구축 7차 전라북도[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6년 전라북도 영상: 아리랑2호 (1M)

아리랑3호 (0.7M)

아리랑3A호 (0.55M)

촬영: 2015년, 2016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1,368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7년 구축 8차 강원, 충북[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7년 강원도,

충청북도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5년, 2016년

영상: 아리랑2호 (1M)

아리랑 3호 (0.7M)

아리랑 3A호 (0.55M)

촬영: 2015년, 2016년, 2017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3,823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2018년 구축 8차 전남, 광주[편집]

제작시기 지역 원시영상 자료형식 및 물량
2018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영상: 항공정사영상 (0.25M)

촬영: 2016년, 2017년

영상: 아리랑2호 (1M)

아리랑3호 (0.7M)

촬영: 2018년

포 맷: SHP, PDF

해 상 도: 1M급

물 량: 축척 1/5,000 2,875도엽

분류항목: 41개 항목

활용분야[편집]

구분 내 용
물환경 ․ 수질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오염총량 관리, 유역 및 하구관리․복원

․ 유역건정성지표 개발, 홍수 취약 위험지역 파악, 수변구역 설정

자연

환경

․ 환경영향평가, 생태 축 설정, 보전/복원지역 설정, 생태계변화 모니터링

․ 비오톱지도,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 공원구역 조성

대기/

기후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 대기모델링, 오염총량 관리,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전자기후도 작성

기타 ․ 대축척 주제도 제작, 환경통계, 토사유실평가, 소음지도 작성

․ 토지적성평가, 국토․지역계획 수립, 산사태 위험방지 및 산지이용실태 파악

토지피복지도 제작방법[편집]

대분류 제작 방법[편집]

자료수집[편집]

기본영상: 영상자료 (위성영상, 항공사진 등)

참조자료: 축척 1/25,000 수치지형도, 아리랑2호 위성영상

영상처리[편집]

좌표 변환: 기준 좌표계에 맞춰 좌표변환 실시(WGS84 UTM → GRS80 TM)

오차 검증: 수치지형도를 기준으로 영상의 위치오차(35m이내) 검증

색상 보정: 색상보정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색상톤을 통일

영상 집성: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

피복분류[편집]

토지피복분류: 영상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대분류 7가지 항목으로 분류함

분류결과 합성 및 수정: 영상단위(씬, scene)로 분류된 피복분류 결과를 하나의 파일로 합친 후, 인접 부분 등 오류 수정

현지조사: 필요시 남한지역에 한해 현지조사 실시

분류정확도 평가: 아리랑2호 영상자료 및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분류정확도 평

분류결과 집성: 최종 분류 결과물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

산출물[편집]

인터넷 서비스용 PDF형식 도면, 메타데이터 등 최종 산출물 제작

중분류 및 세분류 제작 방법[편집]

자료수집[편집]

기본영상: 영상자료(항공정사영상, 아리랑 위성영상 등)

참조자료: 수치지형도 Ver1.0, 연속수치지도, KLIS 지적도, 용도지역지구도, 정밀임상도, 습지보호지역, 갯벌GIS-DB 등

피복분류[편집]

피복분류: 영상자료를 기준으로 토지피복 경계 및 속성을 분류하고, 분류가 모호한 지역은 참조자료를 활용하여 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항목 및 기준에 따라 중분류 22개, 세분류 41개 항목으로 분류하며,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것을 분류함.(육안판독법, on screen digitizing)

품질검수: 토지피복분류 결과물과 영상자료를 비교·검수하여 오류사항에 대해 수정. 기본검수, 기하구조검수, 인접검수, 내용검수 등 4개 항목 준수 여부를 검수하여 총 3회 실시.

현지조사: 영상자료 판독 및 참조자료로 확인이 모호한 지역에 대해 현지에 출장하여 토지피복 현황을 조사·확인.

분류정확도 평가: 아리랑2호 영상자료 및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분류정확도 평

정확도 평가: 분류항목별 샘플 수량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토지피복 분류 결과와 기본 영상과의 일치하는 정도를 참조자료 또는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

산출물[편집]

인터넷 서비스용 PDF형식 도면, 메타데이터 등 최종 산출물 제작

참고 자료[편집]

  • 이 문서는 대한민국 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https://egis.me.go.kr/)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