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최사유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최현일님) - 주제: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내용을 고침 최사유(崔士柔) (1372 공민왕 21~1455 단종 3년) : 조선전기의 문신(朝鮮前期의 文臣)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휘지(徽之). 최선보(崔善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최충(崔忠)이고 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최윤문(崔潤文)이며 어머니는 어백유(魚白游)의 손녀딸이다. 영상(領相)을 역임한 최항(崔恒)이 아들이다. 1399년(정종 1)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09년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지냈고, 1414년 장흥 고사(長興庫使)을 지냈고, 1432년(세종14) 사간원 좌헌납을 지냈다. 1455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2등(二等)에 녹훈(錄勳)되었다. 한림(翰林,) 직제학(直提學), 지사(知事),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누천(累遷)하여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에 이르렀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퇴거하여 경사를 읽으며 세월을 보내다가 뒤에 수직(壽職)[80세 이상의 노인에게 은전으로 주는 벼슬]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태어정집(太虛亭集)에 "두 고을 수령을 하였다" 라고 되어 있다. 여기서는 아들 최항이 지은 태어정집(太虛亭集) 「최사유 행적」에 두 고을(의성현령義城縣令, 용담현령龍潭縣令)의 수령을 지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직접작성함최현일 (토론) 2019년 8월 15일 (목) 21:20 (KST)답변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최현일 (토론) 2019년 8월 15일 (목) 22:19 (KST)답변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또는 다른 문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저작권 침해에 관련이 없습니다 본인이 직접 작성한 것임 양해바랍니다.

--최현일 (토론) 2019년 8월 16일 (금) 00:13 (KST)답변

--최현일 (토론) 2019년 8월 16일 (금) 00:1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