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지름신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Acepectif님) - 주제: 분류:신

분류:신[편집]

이 문서가 정말로 그리고 종교에 관련된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Alfpooh 2007년 9월 27일 (목) 15:28 (KST)답변

종교와는 큰 관련이 없지만, 이 글이 다루는 대상이 신이라는 것은 명백합니다. ("하지만 지름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라고는 말하지 않으시겠지요.) 참고로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도 신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Acepectif 2007년 9월 28일 (금) 11:09 (KST)답변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은 신이 맞으며(아니라고 주장하시면 증거를 부탁합니다. ^ ^;) 또한 물론 종교와 관련됩니다. 하지만 지름신의 경우는 인터넷 유행어로 농담삼아 신에 비유한것 이므로 "신"으로 분류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종교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Alfpooh 2007년 9월 30일 (일) 01:32 (KST)답변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을 언급한 이유를 잘못 이해하신 듯 하네요. 저는 그 괴물과 지름신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그 괴물도 신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에 대한 믿음이 좁은(엄격한, 고전적인) 의미에서 '종교'인가요? 이른바 '신자'라 자처하는 이들 중 99.9% 이상은 실제로는 그 괴물의 존재를 믿지 않으며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비유로서 이를 언급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것을 포함시킬 정도로 '종교'를 넓게 정의한다면 지름신 숭배도 당연히 종교에 포함되지요.
이와 같이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위키백과의 분류를 해석할 때는 넓은 의미로 해석하는 게 좋아요. ('신'과 '종교' 양 쪽 모두에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예를 들어 독도는 경상북도의 섬과 시마네 현의 섬 양쪽 모두로 분류되어 있는데, 둘다 빼는 것보다는 둘다 넣는 쪽이 많은 정보를 전달하거든요. 또한, 나중에 '가공의 신' 같은 하위 분류를 만들 때 '분류:신'에 속하는 문서들이 가공의 것인지 아닌지만 알아보면 되므로 일이 간단해진다는 장점도 있고, 그 이전에 '가공의 신'이 '신'의 일부분(하위분류)인데 전자에 속하는 것이 후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논리적 모순도 막을 수 있으니까요.
사실 en:Category:Fictional deities의 존재는 옛날부터 알고 있었는데 한국어판에서 거기에 속할 문서는 (제가 알기로) 딱 2개밖에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분류를 만들 필요가 있는지가 의문이라 만들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래도 일단 분쟁이 생긴 이상 오해를 줄이기 위해 만드는 게 낫겠군요. '분류:신'의 하위분류로 만듭니다. --Acepectif 2007년 9월 30일 (일) 21:00 (KST)답변

분류:가공의 신은 어떨까요. 인류의 황제 같은 경우도 ‘가공의 신’에 들어갈 수 있을테고요. --Puzzlet Chung 2007년 9월 30일 (일) 01:4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