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선극례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Widesun님) - 주제: 2016년 6월 14일의 삭제 신청 이의

2016년 6월 13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문서가 삭제되면 안 되는 이유를 적어 주세요) --39.114.249.61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09:23 (KST)선극례는 임진왜란시 선무원종일등공신에 추봉되었다. 1605년 선조대왕께서 하사한 선무원종공신록권에 기록되어 있으며 관련문헌등에서 증빙되고 있습니다. 경남 울산시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작천정의 바위에 선무원종공신 10위의 직위, 성명, 본관등이 기록되어 있다. 울산에서는 작궤천에 선무원종공신 추모비를 세워 매년 각 문중과 지역인사들이 모여 지역 유림행사로 추모식을 거행하고 있다.답변

2016년 6월 14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문서가 삭제되면 안 되는 이유를 적어 주세요) --39.114.249.61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09:28 (KST) 1605년 선조대왕이 임진왜란에 공적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 선무원종공신록권을 하사하였다. 선극례는 선무원종일등공신에 추봉된 인물이며, 울산 충의사에서 제향되고 있으며, 울산의 작궤천에 추모비가 있어 매년 지역 유림행사로 제사를 모시고 있다.답변

2016년 6월 14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문서가 삭제되면 안 되는 이유를 적어 주세요) --선진실이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1:31 (KST)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및 두산백과에 등재인물입니다. 선극예,또는 선극례(宣克禮)선진실이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1:31 (KST)답변

2016년 6월 14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조선시대 선조대왕이 선무원종일등공신으로 록권을 하사하였고, 역사적인 기록문서가 전해지고 있어 백과사전 기록으로 가치가 있음) --Widesun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6:0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