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김현국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5월)

--Dsayhong (토론) 2019년 2월 18일 (월) 18:03 (KST)답변

탐험가김현국의 “AH6, Trans Eurasia” Series 는[편집]

유라시아대륙횡단도로(아시안하이웨이6호선)를 중심으로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에 대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구축해오고 있습니다.이를위해 1996년,2014년,2017년 세번 유라시아대륙을 횡단했습니다.러시아를 중심으로 유라시아 대륙과 24년의 인욘을 맺어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탐험가김현국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리고 당장 지금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이동수단으로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을 경험할 수 있는 유라시아대륙횡단도로에 대한 자료를 구축했습니다(유라시아마실가기-대중화선언). 이를 바탕으로 지리, 인류, 식물, 문학, 음악, 미술 등의 문화의 다양한 계층과 함께 유라시아대륙을 항해하는 선단(카랴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문화콘텐츠개발). 1996년에 모터사이클을 이동수단으로 시베리아를 단독으로 횡단한 행위는 세계 최초의 기록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014년의 유라시아 횡단의 배경은 2010년의 러시아연방도로의 완성과 2014년에 이루어진 한.러 무비자협정의 발효입니다. 2014년의 목표는 유라시아대륙횡단도로를 통한 물류와 인적자원의 이동이 기차와 배, 비행기에 대해 어떤 운송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실험하는 것이었습니다. 2014년의 유라시아대륙횡단을 통해 탐험가김현국은 아시안하이웨이 6호선이 시작되는 부산에서 출발하여 국도7호선을 따라 동해시 도착, 배를 이용해 블라디보스토크 도착 후 시베리아를 거쳐 암스테르담까지 모터사이클을 이동수단으로 14,000km릉 횡단하였습니다. 그는 다시 모터바이크를 이동수단으로 유럽의 항구들을 따라 북동항로가 시작되는 북유럽 최대의 항구도시인 트롬소를 거쳐 유럽의 최북단인 노르드카프에 도착했습니다. 노르드카프를 거쳐 유럽 제1의 항구도시인 로테르담에 도착했으며 이곳에서 육로로의 귀국을 목표로 출발하여 네델란드와 독일과 폴란드와 리트아니아와 라트비아를 횡단하여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했습니다. 9월 중순이면 눈이 내리는 시베리아는 이미 기온이 내려가고 눈이 와 있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모터바이크를 시베리아횡단열차에 싣고 7일만에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습니다. 2014년에 이루어진 유라시아대륙횡단을 통해 자동차가 가지는 운송경쟁력을 자료화했으며 수에즈운하를 통한 뱃길과 시베리아횡단열차와 북동항로를 통한 물류운송의 각각의 경쟁력을 파악했습니다

salam (토론) 2019년 3월 9일 (토) 01:22 (KST)답변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459350000573836087 모터바이크(광주일보) salam (토론) 2019년 3월 9일 (토) 01:34 (KST)답변

https://jnilbo.com/2018/08/16/20180816210000557082307/ salam (토론) 2019년 3월 9일 (토) 01:42 (KST)답변

탐험가김현국의 AH6,Trans Eurasia 2014는[편집]

모터사이클을 이동수단으로 총 25,000km의 유라시아 대륙을 달렸습니다. 시베리아횡단열차를 통해 9,288km를 이동했습니다. 동해시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650여km를 배로 이동했습니다. salam (토론) 2019년 3월 9일 (토) 01:28 (KST)답변

                    유라시아 그 미래와의 만남
                           아시안 하이웨이 6

1996년에 이루어진 러시아구간, 1.2000km 모터사이클 횡단과 AH6, TRANS SIBERIA"라는 이름을 가진 2014년의 26,oookm의 유라시아 대장정 그리고 2017년의 "AH6, TRANS EURASIA 2017"을 통해 7,000km의 대륙의 길에 대한 자료를 구축했다.

1995년, 러시아와 인연을 맺으면서 이십삼년에 걸쳐 이루어진 세번의 대륙횡단이다. 모두 모터사이클이 이동수단이 되었으며 단독으로 이루어진 행위이다.

1996년에는 통일 이후의 한국, 곧 대륙이라는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에 대해 누군가 자료를 구축해야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시도한 계획이었다.

한편, 1991년 12월에 이루어진 소비에트의 몰락으로서 러시아를 중심으로 독립국가연합이라 불리는 유라시아대륙은 새로운 시장이자 자원의 보고로서 서방세계에는 이십세기 마지막 기회의 땅이 되었다.

나는 이 대륙에서의 기회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고 싶었다.

대학의 마지막 학기를 이 대륙횡단계획을 준비하고, 졸업식 날 모터바이크를 비행기에 싣고 시베리아로 떠났다. 열개의 시차와 백 이십 개 이상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나라를 8개월에 걸쳐 횡단하게 된다.

2014년의 유라시아 대장정은 2010년의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과 2014년 한. 러 무비자협정의 발효가 그 배경이 되었다.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유럽의 끝으로부터 극동에 위치한 한반도까지 길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국은 대륙으로 향하는 두개의 국제고속도로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1, 6호선이 그것이다.

부산에서 시작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은 7번 국도를 따라 올라가다가 북한의 원산과 나진. 선봉을 거쳐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과 만난다. 그리고 유럽의 끝인 로테르담까지 하나의 길로 이어진다.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은 엄청난 역사이다.

2014년,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나는 통행료 한 푼 지불하지 않고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대륙의 끝까지 모터바이크로 달릴 수 있었다.

대륙을 횡단하는 자동차 길을 통한 물류의 운송이 기차나 배와 비행기에 대해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2014년 대륙횡단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귀국을 하자마자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내고 있는 변화에 대해 알리고자 강연과 전시회를 확대해서 전국투어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었지만 촛불 정국을 맞아 자동적으로 정지가 되었다.

2017년 나는 다시 모터사이클로 유라시아대륙횡단에 나섰다.

팀을 만들어 이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내고 있는 변화들을 구체적으로 자료화하고 싶었지만 결국 나 홀로 길을 나섰다.

블라디보스톡으로 향하는 배가 출발하는 동해시를 향해 밤을 새워 달려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아홉 명의 바이크 여행자들을 만났다.

나를 포함해 십 인의 무사들이다.

휴학한 대학생으로부터 조기 퇴직한 중년과 육십 대의 멋쟁이 아저씨까지 가지각색의 소시민들이 전국에서 모인 것이다.

물론 서로 처음 만났거나 서로를 오랫동안 알지 못한 사이들이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이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대륙을 경험하기를 간절히 바래왔다.

그리고 이십년이 넘도록 내 주위를 중심으로 나의 경험들을 나누기 위해 외쳐왔지만 돌아오는 목소리는 없었다.

고독한 시간들이었다.

2017년 6월18일, 서로를 알지 못한 채로 단지 배를 타기 위해 동해항에서 만난 이들. 유라시아 대륙 횡단! 누가 시키지 않았다고 하나같이 말한다.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저마다 낮은 자리에서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말한다.

단지 모터바이크와 카드 한 장 만을 들고 온 분도 있다.

이들을 통해 나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반도로부터 이어지는 대륙의 맛을 볼 수 있을 것 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나의 계획이 2014년과 같은 로테르담까지에서 바이칼 호수까지로 바뀌는 순간이다.

대한민국사람, 누군가가 당장 지금 대륙을 향해 움직일 수 있는 시간과 거리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바이칼호수까지는 4,000km 정도이다.

14일 정도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샐러리맨을 기준으로 자신이 현재 타고 있는 자동차로 당장 지금 움직였을 때 왕복할 수 있는 거리가 바이칼 호수였다.

지구의 배꼽이라 불리는 바이칼 호수는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으로서 상징성을 가질 수 있는 많은 이야기를 가진 곳이다.

나는 러시아의 도로와 주변의 인프라의 완성도와 양국의 무비자 환경과 세관에서 바이크를 찾는 작업 등을 잘 정리해서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그 누구나 이 대륙의 맛을 볼 수 있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만들고 돌아왔다 (7,000km 육로왕복).

2014년 러시아 바이칼스크의 외곽, 검은담비 산에서 열린 모터바이크 축제에서 만난 러시아방송은 페이스 북을 통해 나와 이야기를 계속해왔다.

2017년에도 그들은 자신들이 만든 세계에서 가장 긴 도로(러시아횡단도로)를 가지고 한 한국인이 반복해서 프로젝트화 하는 아이디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나는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아시안 하이웨이 라는 국제고속도로네트워크에 대해 설명을 했으며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유라시아대륙이 길로 연결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낼 커다란 변화에 대해 무척 기대가 된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쳤다.

이동의 자유가 확대된 세계화 시대이자 실시간으로 지구 저편을 바라볼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시대인 지금,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정보를 따라 국경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자신의 경쟁력을 만들어가는 디지털 유목민들이 활성화 되는 시대이다.

가격경쟁력을 가진 다국적 자본은 대륙의 오지까지 유통망을 넓혀가고 있다.

역시 중앙아시아의 다디단 과일들은 저기(지구) 숲의 끝인 툰드라의 구멍가게까지 점유해가고 있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사백여 킬로미터 안에 갇혀있는 우리의 시선은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 적극적으로 생각해봐야할 때이다

탐험가 김현국 salam (토론) 2019년 3월 10일 (일) 13:35 (KST)답변

탐험가김현국의 AH6, Trans Eurasia Series- 아시안하이웨이6호선[편집]

                    유라시아 그 미래와의 만남
                           아시안 하이웨이 6

1996년에 이루어진 러시아구간, 1.2000km 모터사이클 횡단과 AH6, TRANS SIBERIA"라는 이름을 가진 2014년의 26,oookm의 유라시아 대장정 그리고 2017년의 "AH6, TRANS EURASIA 2017"을 통해 7,000km의 대륙의 길에 대한 자료를 구축했다.

1995년, 러시아와 인연을 맺으면서 이십삼년에 걸쳐 이루어진 세번의 대륙횡단이다. 모두 모터사이클이 이동수단이 되었으며 단독으로 이루어진 행위이다.

1996년에는 통일 이후의 한국, 곧 대륙이라는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에 대해 누군가 자료를 구축해야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시도한 계획이었다.

한편, 1991년 12월에 이루어진 소비에트의 몰락으로서 러시아를 중심으로 독립국가연합이라 불리는 유라시아대륙은 새로운 시장이자 자원의 보고로서 서방세계에는 이십세기 마지막 기회의 땅이 되었다.

나는 이 대륙에서의 기회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고 싶었다.

대학의 마지막 학기를 이 대륙횡단계획을 준비하고, 졸업식 날 모터바이크를 비행기에 싣고 시베리아로 떠났다. 열개의 시차와 백 이십 개 이상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나라를 8개월에 걸쳐 횡단하게 된다.

2014년의 유라시아 대장정은 2010년의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과 2014년 한. 러 무비자협정의 발효가 그 배경이 되었다.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유럽의 끝으로부터 극동에 위치한 한반도까지 길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국은 대륙으로 향하는 두개의 국제고속도로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1, 6호선이 그것이다.

부산에서 시작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은 7번 국도를 따라 올라가다가 북한의 원산과 나진. 선봉을 거쳐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과 만난다. 그리고 유럽의 끝인 로테르담까지 하나의 길로 이어진다.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은 엄청난 역사이다.

2014년,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나는 통행료 한 푼 지불하지 않고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대륙의 끝까지 모터바이크로 달릴 수 있었다.

대륙을 횡단하는 자동차 길을 통한 물류의 운송이 기차나 배와 비행기에 대해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2014년 대륙횡단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귀국을 하자마자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내고 있는 변화에 대해 알리고자 강연과 전시회를 확대해서 전국투어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었지만 촛불 정국을 맞아 자동적으로 정지가 되었다.

2017년 나는 다시 모터사이클로 유라시아대륙횡단에 나섰다.

팀을 만들어 이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내고 있는 변화들을 구체적으로 자료화하고 싶었지만 결국 나 홀로 길을 나섰다.

블라디보스톡으로 향하는 배가 출발하는 동해시를 향해 밤을 새워 달려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아홉 명의 바이크 여행자들을 만났다.

나를 포함해 십 인의 무사들이다.

휴학한 대학생으로부터 조기 퇴직한 중년과 육십 대의 멋쟁이 아저씨까지 가지각색의 소시민들이 전국에서 모인 것이다.

물론 서로 처음 만났거나 서로를 오랫동안 알지 못한 사이들이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이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대륙을 경험하기를 간절히 바래왔다.

그리고 이십년이 넘도록 내 주위를 중심으로 나의 경험들을 나누기 위해 외쳐왔지만 돌아오는 목소리는 없었다.

고독한 시간들이었다.

2017년 6월18일, 서로를 알지 못한 채로 단지 배를 타기 위해 동해항에서 만난 이들. 유라시아 대륙 횡단! 누가 시키지 않았다고 하나같이 말한다.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저마다 낮은 자리에서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말한다.

단지 모터바이크와 카드 한 장 만을 들고 온 분도 있다.

이들을 통해 나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반도로부터 이어지는 대륙의 맛을 볼 수 있을 것 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나의 계획이 2014년과 같은 로테르담까지에서 바이칼 호수까지로 바뀌는 순간이다.

대한민국사람, 누군가가 당장 지금 대륙을 향해 움직일 수 있는 시간과 거리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바이칼호수까지는 4,000km 정도이다.

14일 정도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샐러리맨을 기준으로 자신이 현재 타고 있는 자동차로 당장 지금 움직였을 때 왕복할 수 있는 거리가 바이칼 호수였다.

지구의 배꼽이라 불리는 바이칼 호수는 한반도로부터 확장된 공간으로서 상징성을 가질 수 있는 많은 이야기를 가진 곳이다.

나는 러시아의 도로와 주변의 인프라의 완성도와 양국의 무비자 환경과 세관에서 바이크를 찾는 작업 등을 잘 정리해서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그 누구나 이 대륙의 맛을 볼 수 있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만들고 돌아왔다 (7,000km 육로왕복).

2014년 러시아 바이칼스크의 외곽, 검은담비 산에서 열린 모터바이크 축제에서 만난 러시아방송은 페이스 북을 통해 나와 이야기를 계속해왔다.

2017년에도 그들은 자신들이 만든 세계에서 가장 긴 도로(러시아횡단도로)를 가지고 한 한국인이 반복해서 프로젝트화 하는 아이디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나는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아시안 하이웨이 라는 국제고속도로네트워크에 대해 설명을 했으며 러시아횡단도로의 완성으로 유라시아대륙이 길로 연결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대륙횡단도로가 만들어낼 커다란 변화에 대해 무척 기대가 된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쳤다.

이동의 자유가 확대된 세계화 시대이자 실시간으로 지구 저편을 바라볼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시대인 지금,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정보를 따라 국경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자신의 경쟁력을 만들어가는 디지털 유목민들이 활성화 되는 시대이다.

가격경쟁력을 가진 다국적 자본은 대륙의 오지까지 유통망을 넓혀가고 있다.

역시 중앙아시아의 다디단 과일들은 저기(지구) 숲의 끝인 툰드라의 구멍가게까지 점유해가고 있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사백여 킬로미터 안에 갇혀있는 우리의 시선은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 적극적으로 생각해봐야할 때이다

탐험가 김현국 salam (토론) 2019년 3월 10일 (일) 13:37 (KST)답변

시베리아를 횡단하다[편집]

세계 탐험사 100장면 2002.7.18. 저자 이병철

▼ 우리나라의 관련 기록은

책- '타이가에서의 만남' - 탐험가 김현국(역자)[편집]

배경

탐험가들에 의해 시베리아가 개척되면서 기록되었던 자료들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땅을 소유하고 개발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같이 동행했던 시베리아의 원주민들의 수천 년에 걸쳐 내려오던 자연과 함께하던 지혜가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을 무분별한 개발지로서만 생각하던 시각들을 바꾸었고 러시아의 생각 있는 개척자들은 시베리아라는 자연을 공존의 대상으로 관찰하고 많은 글과 기록들을 남기었다. 1990년, 러시아가 개방되면서 세계의 많은 자본들이 러시아로 들어오게 된다. 지구자원의 보고로서 혹은 새로운 시장으로서 가치를 지닌 러시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모스크바와 시베리아 등 곳곳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북방민족으로서 우리와도 같은 피를 공유하고 있던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자연과 공존하던 지혜가 러시아인들에게 많은 나눔이 되었고 그 기록과 자료들이 이제 우리들을 기다리고 있다. 자본이 중심이 되는 무분별한 개발 속에 지구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많은 부작용을 안고 이루어지는 개발은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부디 자연과 함께하는 지혜로운 공존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소개하게 되었다. 내용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지도제작자인 “블라지미르 크라우디에비치 아르세니예프”가 연해주와 북쪽 지방을 개척하면서 기록했던 글이다. 타이가로부터 툰드라지대까지 넓게 펼쳐진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을 경험하면서 그곳의 동식물들, 그리고 자연과 함께 조화롭게 살아온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생활과 지혜가 다양하게 소개되어있다. 저자 소개 아르세니예프는 1902년부터 1910년에 걸쳐 당시만 해도 지도상의 공백지대로 여겨지던 우수리 지방과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를 수차례 탐사했다. 1910년부터 1918년까지 하바로프스크 박물관장을 지냈고, 그 후 다시 탐사여행에 나서 1919년에 캄차카 반도, 1923년에 코만도르 군도, 1927년에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를 탐사했다. 그의 저서‘ 우수리스키지역의 밀림지대에서’는 폭넓게 알려졌다. ‘어머니’를 쓴 러시아 최고의 소설가 막심고리키의 갈채를 받았다. 연해주에 그를 기념하는 아르세니예프시(市)가 있고, 블라디보스토크에는 ‘아르세니예프 박물관’이 있다. 주요 저술로 ‘우수리 지방 탐험기’(1921), ‘데르수 우잘라’(1923), ‘시호테알린 산맥에서’(1937), ‘우수리지방 고대사연구자료’ 등이 있다.


역자소개

김현국 ( 탐험가 - 탐험, 문화기획. 예술. 지역전문 ) E.mail:okgiu@naver.com

배경

탐험가들에 의해 시베리아가 개척되면서 기록되었던 자료들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땅을 소유하고 개발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같이 동행했던 시베리아의 원주민들의 수천 년에 걸쳐 내려오던 자연과 함께하던 지혜가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을 무분별한 개발지로서만 생각하던 시각들을 바꾸었고 러시아의 생각 있는 개척자들은 시베리아라는 자연을 공존의 대상으로 관찰하고 많은 글과 기록들을 남기었다. 1990년, 러시아가 개방되면서 세계의 많은 자본들이 러시아로 들어오게 된다. 지구자원의 보고로서 혹은 새로운 시장으로서 가치를 지닌 러시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모스크바와 시베리아 등 곳곳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북방민족으로서 우리와도 같은 피를 공유하고 있던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자연과 공존하던 지혜가 러시아인들에게 많은 나눔이 되었고 그 기록과 자료들이 이제 우리들을 기다리고 있다. 자본이 중심이 되는 무분별한 개발 속에 지구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많은 부작용을 안고 이루어지는 개발은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부디 자연과 함께하는 지혜로운 공존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소개하게 되었다. 내용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지도제작자인 “블라지미르 크라우디에비치 아르세니예프”가 연해주와 북쪽 지방을 개척하면서 기록했던 글이다. 타이가로부터 툰드라지대까지 넓게 펼쳐진 시베리아라는 대자연을 경험하면서 그곳의 동식물들, 그리고 자연과 함께 조화롭게 살아온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생활과 지혜가 다양하게 소개되어있다. 저자 소개 아르세니예프는 1902년부터 1910년에 걸쳐 당시만 해도 지도상의 공백지대로 여겨지던 우수리 지방과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를 수차례 탐사했다. 1910년부터 1918년까지 하바로프스크 박물관장을 지냈고, 그 후 다시 탐사여행에 나서 1919년에 캄차카 반도, 1923년에 코만도르 군도, 1927년에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를 탐사했다. 그의 저서‘ 우수리스키지역의 밀림지대에서’는 폭넓게 알려졌다. ‘어머니’를 쓴 러시아 최고의 소설가 막심고리키의 갈채를 받았다. 연해주에 그를 기념하는 아르세니예프시(市)가 있고, 블라디보스토크에는 ‘아르세니예프 박물관’이 있다. 주요 저술로 ‘우수리 지방 탐험기’(1921), ‘데르수 우잘라’(1923), ‘시호테알린 산맥에서’(1937), ‘우수리지방 고대사연구자료’ 등이 있다.


역자소개

김현국 ( 탐험가 - 탐험, 문화기획. 예술. 지역전문 ) E.mail:okgiu@naver.com


“변화에의 도전”이라는 캐치플레이로 현대적 의미를 부여한 지구의 대동맥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다나은 미래를 위한 변화’를 촉구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세계탐험문화연구소(WECI) 소장

2020 디지털 실크로드 대장정 총감독 AH6, 트랜스 유라시아 시리즈

http://cfs8.blog.daum.net/image/19/blog/2008/09/05/14/48/48c0c7e74d794 salam (토론) 2019년 3월 13일 (수) 04:2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5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김현국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5월 7일 (일) 02:5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