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텔레폰 텔 아비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텔레폰 텔 아비브

2006년 9월, 데시벨 페스티벌에서 공연하고 있는 조슈아 유스티스(왼쪽)와 찰스 쿠퍼(오른쪽)
기본 정보
장르인텔리전트 댄스 뮤직
활동 시기1999년 - 현재
레이블헤프티, 비피치 컨트롤, 고스틀리 인터내셔널
웹사이트http://www.telefontelaviv.com/
구성원
조슈아 유스티스
이전 구성원
찰스 쿠퍼

텔레폰 텔 아비브(Telefon Tel Aviv)는 찰스 쿠퍼(Charles Cooper)와 조슈아 유스티스(Joshua Eustis)가 미국 루이지애나주뉴올리언스에서 결성해 일리노이주시카고를 기반으로 활동했던 미국 일렉트로닉 뮤직 그룹이다.

텔레폰 텔 아비브는 2009년 종종 자살이라고 거짓 보도되고 있는 쿠퍼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유스티스만 홀로 공식 멤버로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유스티스는 최근 푸시퍼나인 인치 네일스의 공연 멤버로서 활동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역사

[편집]

텔레폰 텔 아비브는 1999년 찰스 쿠퍼와 조슈아 유스티스가 결성했다. 그들의 첫 앨범은 2001년 가을에 발매했고, 평단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002년, 미국의 헤프티 레코즈(Hefty Records)에서 《Immediate Action#8》EP를 발표했다. 2004년 그룹은 두 번째 정규 앨범을 발표했고, 2007년에는 《Remixes Compiled》라는 이름을 붙인 리믹스 모음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표했다. 그룹은 독일의 비피치 컨트롤(BPitch Control)레이블에서 2009년 1월 세 번째 정규 앨범을 발표했다.《Immolate Yourself》앨범은 빌보드의 일렉트로닉 앨범 차트에서 17위를 기록했다.[1]

2011년부터 유스티스는 새로운 음악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 3월, 유스티스는 그가 새로운 텔레폰 텔 아비브로 다시 작업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고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언급했다.[2] 2013년 2월, 유스티스는 나인 인치 네일스의 투어 멤버로 활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원래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나인 인치 네일스와 함께 투어 공연을 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2013년 12월 5일, 유스티스는 더 이상 나인 인치 네일스의 투어 멤버가 아니며, 다음 투어부터는 알렉산드로 코티니(Alessandro Cortini)와 일란 루빈(Ilan Rubin), 로빈 핑크(Robin Finck)와 트렌트 레즈너 4명만 함께 한다는 것이 트렌트 레즈너의 레딧 대화창을 통해 알려졌다.[3][4] 유스티스도 또한 텔레폰 텔 아비브의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이 사실을 발표했다.[5]

찰스 쿠퍼의 죽음

[편집]

2009년 1월 22일, 유스티스는 찰스 쿠퍼가 사망했다고 그룹의 공식 마이스페이스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이 소식은 그룹의 공식 홈페이지 첫 화면에 "찰스 웨슬리 쿠퍼 3세/1977년 4월 12일부터 2009년 1월 22일까지"라고 적힌 추모 메시지를 오랜 기간 동안 게재했다. 쿠퍼의 죽음에 관해서 CBS2 시카고의 두 기사는 그가 죽은 채로 발견되기 전인 1월 21일부터 실종 상태였다고 명시했다.[6][7]

2009년 1월 30일, 유스티스는 남은 모든 투어 일정을 취소하며, 그룹의 미래가 불확실하다고 그룹의 공식 마이스페이스 블로그에 글을 게시했다.[8]

2009년 3월 22일, 유스티스는 그와 텔레폰 텔 아비브와 오랫동안 친한 친구였던 프레드 노게이라(Fredo Nogueira)와 함께 2명이 공연한다고 공식 마이스페이스 블로그에 글을 게시했다.[9]

2009년 7월 22일, 유스티스는 쿠퍼의 죽음에 대한 몇 가지 루머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3개의 부검 보고서에 따르면, 쿠퍼는 자살을 한 것이 아니라는 소견이 지배적이지만, 아마도 알약과 술을 섞어 마시다가 실수로 죽은 것 같다는 내용이 담긴 글을 그룹의 마이스페이스에 게시했다.[10]

마그달레나의 자손들과 향후 활동

[편집]

그는 더 이상 나인 인치 네일스 멤버의 일부가 아니며, 그리고 아마도 푸시퍼의 멤버도 아닐 것이라고 말하면서, 2013년 12월 9일 유스티스는 다시 스튜디오로 돌아가 정규 앨범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텔레폰 텔 아비브의 공식 홈페이지에 글을 게시했다. 그는 또한 그가 2008년에 솔로 작업으로 발매했던 EP에서 사용했던 이름인 마그달레나의 자손들(Sons Of Magdalene)이라는 이름이 붙은 밴드의 앨범이 95% 정도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그는 이 앨범 작업이 끝나면 텔레폰 텔 아비브의 이름으로 다시 작업할 것이라 밝혔다.[11] 일명 '마그달레나의 자손들'이라는 이름 아래 데뷔 앨범인 《Move to Pain》이 2014년 6월 24일 발매되었다.

프로덕션

[편집]
2009년 6월, 조슈아 유스티스와 프레드 노게이라가 트렌토에서 공연하는 모습

인터뷰에서 쿠퍼와 유스티스는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시작했다고 말했다: 디지디자인 프로 툴스(Digidesign Pro Tools), 네이티브 인스트루먼츠 리액터/일렉트로닉 인스트루먼츠 2XT(Native Instruments Reaktor/Electronic Instruments 2 XT), 에이블톤 라이브(Ableton Live).

또한, 밴드는 네이티브 인스트루먼츠(Native Instruments)의 신서틱 드럼스 2(Synthetic Drums 2)의 라이브러리에 사운드 샘플을 제공했다.[12] 그들의 최근 앨범에서 "더욱 더 진짜같은 소리"를 낼 방법을 찾고 있다고 언급했고, 아날로그 테이프와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로 사용해 곡을 만드는 방식으로 돌아갔다며 자신들의 제작 스타일을 바꿨다고 말했다.[13]

디스코그라피

[편집]

정규 앨범

[편집]
  • 《Fahrenheit Fair Enough》 (2001년)
  • 《Immediate Action#8 EP》 (2002년)
  • 《Map of What Is Effortless》 (2004년)
  • 《Remixes Compiled》 (2007년)
  • 《Immolate Yourself》 (2009년)

리믹스와 협업 작업들

[편집]
  • 존 휴스 (영화 감독) - <Got Me Lost / Driving In LA> 《Immediate Action#6》 (2000년)
  • 나인 인치 네일스 - <Where Is Everybody?> 《Things Falling Apart》 (2000년)
  • Phil Ranelin - <Time Is Running Out> 《Remixes》 (2001년)
  • Midwest Product - <A Genuine Display> 《Idol Tryouts : Ghostly International Vol. 1》 (2003년)
  • Slicker - <Knock Me Down Girl> 《Knock Me Down Girl》 (2004년)
  • Marc Hellner - <Asleep On The Wing> 《Asleep On The Wing》 (2005년)
  • 아파라트 - <Komponent> 《Silizium》EP (2005년)
  • Oliver Nelson - <Stolen Moments> 《Impulsive! Revolutionary Jazz Reworked》 (2005년)
  • Bebel Gilberto - <All Around> 《Bebel Gilberto Remixed》 (2005년)
  • AmmonContact - <BBQ Plate> 《Microsolutions To Megaproblems》 (2005년)
  • Nitrada - <Fading Away> 《Four Remixes》 (2005년)
  • Dao Lang - <艾里甫與賽乃姆> 《Dancing With Dao Lang (與刀郎共舞)》 (2007년)
  • 아파라트 - <Arcadia> 《Arcadia Rmxs》 (2008년)
  • Genghis Tron - <Relief> 《Board Up The House Remixes Volume 4》 (2008년)
  • Barbara Morgenstern - <Come To Berlin> 《Come To Berlin Mixes》 (2008년)
  • Art Of Trance - <Swarm> 《Swarm》 (2009년)
  • SONOIO - <Can You Hear Me?> 《NON SONOIO - Red Remixes》 (2011년)
  • Cubenx - <Grass> 《Grass Remixes》 (2012년)[14]
  • Dillon and Telefon Tel Aviv - <Feel the Fall> 《Where the Wind Blows》 (2013년)
  • Lusine - <Arterial Reworks> 《Arterial (Telefon Tel Aviv Remix)》 (2015년)[15]
  • Vatican Shadow & Telefon Tel Aviv - <Rejoice> 《Compilation by #savefabric》(2016년)
  • These Hidden Hands - <Glasir (Telefon Tel Aviv Remix)> 《Vicarious Memories Remixed》(2017년)

출연

[편집]

유스티스의 일명 "마그달레나의 자손들" 작업

[편집]
  • 《Ephemera》 (2008년)[16][17]
  • 《Move to Pain》 (2014년)
  • 《Ecumenicals》 (2015년)[18]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Billboard - 빌보드 (2009년).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2. [1] - 조슈아 유스티스의 트위터 답변 (2012년 3월 10일).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3. 아미 필립스(Amy Phillips) 기자 (2013년 2월 25일). “2013년과 2014년에 걸친 대규모의 투어: 트렌트 레즈너는 나인 인치 네일스의 귀환을 발표했다”. 피치포크 미디어. 2016년 1월 9일에 확인함. 
  4. [2] - 트렌트 레즈너의 레딧 답변 (2013년 12월 5일).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5. [3] Archived 2015년 1월 12일 - 웨이백 머신 - 조슈아 유스티스의 공식 홈페이지 포스트 (2013년 12월 9일).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6. [4] - CBS 브로드캐스팅 (2009년 1월 25일). 2009년 1월 29일 본문 저장됨.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7. [5] - CBS 브로드캐스팅 (2009년 1월 27일). 2009년 1월 30일 본문 저장됨.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8. [6] - 조슈아 유스티스의 마이스페이스 포스트 (2009년 1월 30일). 2009년 2월 2일 본문 저장됨.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9. [7] - 조슈아 유스티스의 마이스페이스 포스트 (2009년 1월 22일). 2009년 8월 2일 본문 저장됨.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10. [8] - 조슈아 유스티스의 마이스페이스 포스트 (2009년 3월 22일).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11. [9] Archived 2015년 1월 12일 - 웨이백 머신 - 조슈아 유스티스의 공식 홈페이지 포스트 (2013년 12월 9일).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12. [10] Archived 2007년 9월 26일 - 웨이백 머신 - 네이티브 인스트루먼츠 (2009년 10월 15일 검색됨).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13. [11] Archived 2015년 1월 18일 - 웨이백 머신 - 리믹스 매거진 (2009년 10월 15일 검색됨).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14. [12] - 츠기 프랑스 매거진 (2012년 6월 10일 검색됨). 2016년 1월 8일 본문 삭제됨을 확인함.
  15. [13] - 고스틀리 스토어 (2015년 4월 17일).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16. [14] - 디스코그스 (2009년 10월 6일 등록).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17. 저스틴 스노우(Justin Snow) (2008년 6월 24일). “마그달레나의 자손들 - 하루살이”. 안티 그라비티 버니. 2016년 1월 9일에 확인함. 
  18. [15] - 마그달레나의 자손들 밴드캠프 (2015년 3월 26일). 2016년 1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