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넷
계층별 OSI 모형 |
---|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
---|
응용 계층 |
전송 계층 |
인터넷 계층 |
링크 계층 |
텔넷(TELNET)은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RFC15를 시작으로 1969년에 개발되었으며 최초의 인터넷 표준들 가운데 하나로서 IETF STD 8로 표준화됐다.[1]
telnet이라는 용어는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일부 기능이 추가된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텔넷 클라이언트는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 여러 해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실질상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TCP/IP 스택을 갖춘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와 운영 체제들은 원격 구성(윈도우 NT 기반)을 위해 몇 가지 종류의 텔넷 서비스 서버를 지원한다. 텔넷의 보안 문제 때문에 사용률이 감소하여 원격 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됐다.
역사[편집]
일반적으로 텔넷이 1973년 3월 5일까지 어떠한 공식적 정의도 없는 ad hoc 프로토콜이었으나[2], 이 이름은 실제로 RFC 206 (NIC 7176)로서 텔레타입 오버 네트워크 프로토콜(Teletype Over Network Protocol)을 가리키는 말이었다.[3]
텔넷 프로토콜은 가상 텔레타이프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7비트 ASCII 문자 집합을 이용한다. 사용자 텔넷의 주 기능은 사용자가 가상 텔레타이프에 모든 키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4]
관련 RFC[편집]
인터넷 표준[편집]
- RFC 854, Telnet Protocol Specification
- RFC 855, Telnet Option Specifications
- RFC 856, Telnet Binary Transmission
- RFC 857, Telnet Echo Option
- RFC 858, Telnet Suppress Go Ahead Option
- RFC 859, Telnet Status Option
- RFC 860, Telnet Timing Mark Option
- RFC 861, Telnet Extended Options: List Option
제안된 표준[편집]
- RFC 885, Telnet end of record option
- RFC 1073, Telnet Window Size Option
- RFC 1079, Telnet terminal speed option
- RFC 1091, Telnet terminal-type option
- RFC 1096, Telnet X display location option
- RFC 1123, Requirements for Internet Hosts - Application and Support
- RFC 1184, Telnet Linemode Option
- RFC 1372, Telnet Remote Flow Control Option
- RFC 1572, Telnet Environment Option
- RFC 2941, Telnet Authentication Option
- RFC 2942, Telnet Authentication: Kerberos Version 5
- RFC 2943, TELNET Authentication Using DSA
- RFC 2944, Telnet Authentication: SRP
- RFC 2946, Telnet Data Encryption Option
- RFC 4248, The telnet URI Scheme
정보 / 실험적[편집]
- RFC 1143, The Q Method of Implementing TELNET Option Negotiation
- RFC 1571, Telnet Environment Option Interoperability Issues
기타 RFC[편집]
- RFC 1041, Telnet 3270 regime option
- RFC 1205, 5250 Telnet interface
- RFC 2217, Telnet Com Port Control Option
- RFC 4777, IBM's iSeries Telnet Enhancements
텔넷 클라이언트[편집]
- PuTTY
- Xshell
- AbsoluteTelnet
- RUMBA
- 라인 모드 브라우저
- NCSA 텔넷
- 테라 텀
- SecureCRT
- ZOC 터미널
- 싱크텀
- 윈도 내장 텔넷 프로그램
같이 보기[편집]
- 텔넷 3270 (TN3270)
- 커밋 (프로토콜)
- PC 통신
- 버추얼 터미널(en:Virtual terminal)
- 단말 에뮬레이터 목록
각주[편집]
- ↑ Wheen, Andrew. (2011). 《Dot-dash to Dot.com : how modern telecommunications evolved from the telegraph to the internet》. New York: Springer. ISBN 978-1-4419-6760-2.
- ↑ RFC 318 — documentation of old ad hoc telnet protocol
- ↑ Garth O. Bruen. WHOIS Running the Internet: Protocol, Policy, and Privacy. Wiley, 1st edition (November 2, 2015). p. 25. ISBN 9781118679555.
- ↑ The RFC 206 (NIC 7176), 9 August 1971; Computer Research Lab, UCSB; J. White.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