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투-페초리선
타르투-페초리선 Tartu-Petseri raudtee | |
---|---|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에스토니아/러시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타르투 역 |
종점 | 페초리 역 |
역 수 | 18 |
개통일 | 1931년 |
소유자 | 에스티 라우드테[1], 러시아 철도 |
운영자 | 에델라라우드테, 에스티 라우드테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87.3km |
궤간 | 1520 mm |
선로 수 | 단선 |
영업 최고 속도 | 120km/h |
노선도 | ||||||||||||||||||||||||||||||||||||||||||||||||||||||||||||||||||||||||||||||||||||||||||||||||||||||||||||||||||||||||||||||||||||||||||||||||||||||||||||||||||
---|---|---|---|---|---|---|---|---|---|---|---|---|---|---|---|---|---|---|---|---|---|---|---|---|---|---|---|---|---|---|---|---|---|---|---|---|---|---|---|---|---|---|---|---|---|---|---|---|---|---|---|---|---|---|---|---|---|---|---|---|---|---|---|---|---|---|---|---|---|---|---|---|---|---|---|---|---|---|---|---|---|---|---|---|---|---|---|---|---|---|---|---|---|---|---|---|---|---|---|---|---|---|---|---|---|---|---|---|---|---|---|---|---|---|---|---|---|---|---|---|---|---|---|---|---|---|---|---|---|---|---|---|---|---|---|---|---|---|---|---|---|---|---|---|---|---|---|---|---|---|---|---|---|---|---|---|---|---|---|---|---|---|
|
타르투-페초리 선(에스토니아어: Tartu-Petseri raudtee)은 에스토니아의 타르투에서 시작하여 러시아의 페초리를 잇는 노선이다. 여객 및 국경을 통과하는 화물 영업을 한다.
역사[편집]
타르투-페초리 선은 1927년에 착공하여 1931년에 완공하였다. 이 노선이 이어지기 전에는 타르투에서 러시아로 가기 위해서 발가를 경유해야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에스토니아와 러시아의 국경 검문소가 페초리를 지난 이즈보르스크에 설치되어 있었다.[2][3][4][5]
2011년 9월 8일 에스토니아-러시아 국경역인 코이둘라 역이 새로 개업하였다. 기존의 국경역이었던 피로야 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클리마-페초리 간 이설도 같이 진행되었다. 코이둘라 역이 개업하기 이전에는 발가-페초리 선과 러시아 영토에서 연결되었으나, 이 역을 통해서 에스토니아 국경 내에서 두 노선이 만나게 되었다.
운행[편집]
에스토니아 국내 열차는 에델라라우드테에서 타르투-코이둘라 간을 운행한다. 9월에서 다음 해 5월까지는 평일에 1왕복, 주말에 2왕복 운행하며 6월부터 8월까지는 평일/주말 2왕복 운행한다. 코이둘라 역이 개통되기 이전에는 오라바 역에서 종착하였다.
참조[편집]
- ↑ Raudtee infrastruktuuri tehnilised andmed ja kavandatud raudteehoiutööde tähtajad.[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Postimees 12.02.1935: Irboska kaudu tuli Nõukogude Venest kaupa, sh. soola, petrooleumi ja põllurammu. Välja läks peamiselt põlevkivisaadusi ja loomi (hobuseid)
- ↑ Postimees 14.10.1935: Irboska kaudu tuli Nõukogude Venest kaupa, sh. superfosfaati, soola ja petrooleumi. Välja läks kariloomi.
- ↑ Postimees 11.08.1935: Irboska raudteejaama kaudu sisse tulnud N. Venest kaupa, sh. soola, superfosfaati, petrooleumi, kriiti, ookerit, gaasiõli jne. Välja läks kariloomi.
- ↑ Postimees 10.09.1935: Välja läinud kaupa kus esikohal põlevkivisaad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