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디어
사용 국가 | 앙골라 |
---|---|
사멸 | 1950년경? |
언어 계통 | 코에콰디어족? 콰디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kwz 콰디어
|
글로톨로그 | kwad1244[1] |
콰디어(Kwadi)는 앙골라 서남단에서 쓰였던 계통 미상의 “흡착음 언어”이다. 현재 사멸했다고 추정된다. 1950년대에 콰디족은 약 50명만 생존해 있었으며 그 중 콰디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4~5명뿐이었다. 1965년에는 부분적으로 구사하는 사람 3명을 찾을 수 있었지만 1981년에는 화자를 한 명도 찾을 수 없었다.
콰디어에 관한 자료가 빈약하기 때문에 어느 계통에 속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콰디어가 코에어족의 가장 이질적인 구성원이라는 “코에콰디어족” 가설이 있지만 이 결론에는 논란이 있다. 이 가설의 지지자들에 따르면 서쪽의 코에어족 언어들이 보츠와나의 주어군의 영향으로 잃어버린 코에조어의 특징들이 콰디어에 남아 있다고 한다.[2]
콰디족은 반투족에게 ‘퀘페’(Kwepe, Cuepe)족이라고 불렸다. 콰디족은 침바족, 퀴시족, 다마라족과 함께 서남아프리카에 유일하게 남은 토착 수렵채집민 집단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산족이나 헤레로인과는 다르다. 콰디족을 제외한 나머지 세 부족은 코에코에어를 받아들였다. 콰디족은 퀴시족처럼 어로 생활을 했고 코로카강 하류에서 고기잡이를 했다.[3]
콰디어는 ‘코로카’(Koroka, Ba-koroka, Curoca, Ma-koroko, Mu-coroca) 또는 ‘쿠아뇨카’(Cuanhoca)라고도 불렸다.
각주[편집]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2). 〈Kwadi〉. 《Glottolog 4.6》.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Changing profile when encroaching on hunter-gatherer territory?: towards a history of the Khoe–Kwadi family in southern Africa. Tom Güldemann,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Historical linguistics and hunter-gatherer populations in global perspective, at th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Aug. 2006.
- ↑ Blench, Roger. 1999. "Are the African Pygmies an Ethnographic Fiction?". Pp 41–60 in Biesbrouck, Elders, & Rossel (eds.) Challenging Elusiveness: Central African Hunter-Gatherers in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Leiden.“Archived copy” (PDF). 2012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