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운율 (언어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분절자질에서 넘어옴)

언어학에서 운율(韻律)은 성조, 억양, 강세, 리듬, 음장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운율은 각각의 분절음인 음소가 가지는 특성 외에, 의미상의 차이를 가져오는 소리의 특징들을 말한다. 운율 자질은 분절음이나 분절음보다 더 큰 언어 단위에 얹히는데, 분절음의 음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초분절자질이라고도 한다.

언어에 따라 어느 언어에서는 분절적 자질인 것이 다른 언어에서는 초분절자질이 되기도 한다. 말의 초분절자질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운율은 높이, 크기, 길이의 세 가지 운율 자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 높이는 성대의 진동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성대의 진동 속도가 빠르면 높은 소리가 생성되고 느리면 낮은 소리가 생성된다.
  • 길이는 조음의 지속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 크기강세, 공명도, 높이, 길이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결정된다.

강세는 조음의 힘을 말하는데, 같은 모음이라도 강세를 받으면 강세를 받지 않을 때보다 더 강한 조음의 힘으로 발음되어서 더 크게 들린다. 같은 조음의 힘으로 발음되더라도 공명도가 큰 소리는 공명도가 작은 소리보다 더 크게 들린다. 그리고 같은 소리가 같은 조음으로 발음되더라도 높게 발음되면 낮게 발음될 때보다 더 크게 들리며, 길게 발음되면 짧게 발음될 때보다 더 크게 들린다.

운율 유형론[편집]

언어는 운율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193쪽
  • 이호영, 1997, 《국어 운율론》, 한국연구원,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