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리정보과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리정보과학(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GIScience, GISc)은 지리정보가 현실 세계의 현상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인간이 이해하는 방식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등 지리정보를 연구하는 계산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교차점에 있는 과학 분야이다. 세계를 포착하고, 조직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는 지리학의 하위 분야, 특히 기술 지리학의 일부이다.[1][2][3] 이 기술은 다양한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연구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자연지리학인문지리학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 또는 직업 분야로서 이는 지리공간 데이터의 실제 저장소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 및 GIS 사용자의 직업과 대조될 수 있다. 즉, GIScience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GIS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전문 실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 도구 자체가 되기보다 Gis가 실제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더 중점을 둔다. 이 분야를 지리정보과학이라고도 부른다.

영국의 지리학자 마이클 굿차일드(Michael Goodchild)는 1990년대에 이 분야를 정의하고 공간 분석, 시각화, 불확실성 표현 등 핵심 관심 분야를 요약했다.[4] GIScience는 개념적으로 지리학, 정보과학, 컴퓨터 과학, 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되어 있지만 독립적인 과학 분야의 지위를 주장한다.[5] 이 분야의 최근 개발은 하이브리드 물리적-가상 세계의 인간 역학, 양자 GI과학, 스마트 시티 개발, 기술 혁신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도록 초점을 확대했다.[6] 이러한 발전은 GIScience와 현대 사회 및 기술 문제의 교차점 증가를 나타낸다. 겹치는 분야는 지리 계산, 지리 정보학, 지리학 및 지리 시각화이다.[7] 기타 관련 용어로는 지리 데이터 사이언스[8][9] 및 지리 정보 과학 및 기술(GISci&T)[10]이 있으며, 직위는 지리 공간 정보 과학자 및 기술자이다.[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idu, Ionel (2016). “What is Technical Geography – a letter from the editor”. 《Geographia Technica》 11: 1–5. doi:10.21163/GT_2016.111.01. 
  2. Ormeling, Ferjan (2009). 《Technical Geography Core concepts in the mapping sciences》. Eolss Publishers Company Limited. 482쪽. ISBN 978-1-84826-960-6. 
  3. Bello, Innocent E. (October 2023). “Critical Issues in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in Geoinformatics and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Research》 9 (8): 18–28. doi:10.56201/ijssmr.v9.no8.2023.pg18.28. 
  4. Goodchild, Michael F. (2010년 7월 27일). “Twenty years of progress: GIScience in 2010 | Goodchild | Journal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0 (1): 3–20. doi:10.5311/josis.2010.1.2. 
  5. Duckham, Matt; Goodchild, Michael F.; Worboys, Michael (2004년 11월 23일). 《Found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영어). CRC Press. ISBN 9780203009543. 
  6. “Symposium 2023”. 《www.ucgis.org》. 2023년 12월 25일에 확인함. 
  7. Krawczyk, Artur (2022년 11월 9일). “Proposal of Redefinition of the Terms Geomatics and Geoinformatics on the Basis of Terminological Postul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11 (11): Krawczyk. Bibcode:2022IJGI...11..557K. doi:10.3390/ijgi11110557. 
  8. Singleton, Alex; Arribas-Bel, Daniel (2019). “Geographic Data Science”. 《Geographical Analysis》 53: 61–75. doi:10.1111/gean.12194. ISSN 0016-7363. 
  9. Andrienko, Gennady; Andrienko, Natalia; Weibel, Robert (2017). “Geographic Data Science” (PDF).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37 (5): 15–17. doi:10.1109/MCG.2017.3621219. ISSN 0272-1716. 
  10. Unwin, David J.; Foote, Kenneth E.; Tate, Nicholas J.; DiBiase, David, 편집. (2011년 12월 16일). 《Teaching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doi:10.1002/9781119950592. ISBN 978-1-119-95059-2. 
  11. “Geospatial Informati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 15-1199.04”. 《O*NET Code Connector》. 2020년 11월 26일. 2022년 1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