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과학
지리정보과학(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GIScience, GISc)은 지리정보가 현실 세계의 현상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인간이 이해하는 방식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등 지리정보를 연구하는 계산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교차점에 있는 과학 분야이다. 세계를 포착하고, 조직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는 지리학의 하위 분야, 특히 기술 지리학의 일부이다.[1][2][3] 이 기술은 다양한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연구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 또는 직업 분야로서 이는 지리공간 데이터의 실제 저장소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 및 GIS 사용자의 직업과 대조될 수 있다. 즉, GIScience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GIS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전문 실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 도구 자체가 되기보다 Gis가 실제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더 중점을 둔다. 이 분야를 지리정보과학이라고도 부른다.
영국의 지리학자 마이클 굿차일드(Michael Goodchild)는 1990년대에 이 분야를 정의하고 공간 분석, 시각화, 불확실성 표현 등 핵심 관심 분야를 요약했다.[4] GIScience는 개념적으로 지리학, 정보과학, 컴퓨터 과학, 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되어 있지만 독립적인 과학 분야의 지위를 주장한다.[5] 이 분야의 최근 개발은 하이브리드 물리적-가상 세계의 인간 역학, 양자 GI과학, 스마트 시티 개발, 기술 혁신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도록 초점을 확대했다.[6] 이러한 발전은 GIScience와 현대 사회 및 기술 문제의 교차점 증가를 나타낸다. 겹치는 분야는 지리 계산, 지리 정보학, 지리학 및 지리 시각화이다.[7] 기타 관련 용어로는 지리 데이터 사이언스[8][9] 및 지리 정보 과학 및 기술(GISci&T)[10]이 있으며, 직위는 지리 공간 정보 과학자 및 기술자이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idu, Ionel (2016). “What is Technical Geography – a letter from the editor”. 《Geographia Technica》 11: 1–5. doi:10.21163/GT_2016.111.01.
- ↑ Ormeling, Ferjan (2009). 《Technical Geography Core concepts in the mapping sciences》. Eolss Publishers Company Limited. 482쪽. ISBN 978-1-84826-960-6.
- ↑ Bello, Innocent E. (October 2023). “Critical Issues in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in Geoinformatics and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Research》 9 (8): 18–28. doi:10.56201/ijssmr.v9.no8.2023.pg18.28.
- ↑ Goodchild, Michael F. (2010년 7월 27일). “Twenty years of progress: GIScience in 2010 | Goodchild | Journal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0 (1): 3–20. doi:10.5311/josis.2010.1.2.
- ↑ Duckham, Matt; Goodchild, Michael F.; Worboys, Michael (2004년 11월 23일). 《Found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영어). CRC Press. ISBN 9780203009543.
- ↑ “Symposium 2023”. 《www.ucgis.org》. 2023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Krawczyk, Artur (2022년 11월 9일). “Proposal of Redefinition of the Terms Geomatics and Geoinformatics on the Basis of Terminological Postul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11 (11): Krawczyk. Bibcode:2022IJGI...11..557K. doi:10.3390/ijgi11110557.
- ↑ Singleton, Alex; Arribas-Bel, Daniel (2019). “Geographic Data Science”. 《Geographical Analysis》 53: 61–75. doi:10.1111/gean.12194. ISSN 0016-7363.
- ↑ Andrienko, Gennady; Andrienko, Natalia; Weibel, Robert (2017). “Geographic Data Science” (PDF).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37 (5): 15–17. doi:10.1109/MCG.2017.3621219. ISSN 0272-1716.
- ↑ Unwin, David J.; Foote, Kenneth E.; Tate, Nicholas J.; DiBiase, David, 편집. (2011년 12월 16일). 《Teaching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doi:10.1002/9781119950592. ISBN 978-1-119-95059-2.
- ↑ “Geospatial Informati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 15-1199.04”. 《O*NET Code Connector》. 2020년 11월 26일. 2022년 1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