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전편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텍트로닉스(Tektronix) 벡터스코프의 CRT는 정전편향을 사용한다. 약간의 각도만 허용하며 심도가 매우 깊은 관을 요구한다.

정전편향(靜電偏向, Electrostatic deflection)은 전자선 등에 정전기장을 적용시킴으로써 나아갈 방향을 변경하는 일을 말한다.

정전편향의 브라운관에는 관의 목 부분에 평행한 평면전극(平面電極)이 2조 붙어 있다. 전자빔은 이 틈을 통하여 스크린에 향하는데 지금 마주보는 두 장의 평면전극에 전압을 걸면 전자는 마이너스의 전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플러스의 전극 쪽으로 끌려서 그 진행방향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평면전극을 2조 직교(直交)시켜 두면 스크린 위의 발광점(發光點:이것을 휘점이라고 한다)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동시에 전자빔의 양을 신호에 응하여 증감하면 휘점의 밝기가 달라져서 스크린 위의 도형에 농담(濃淡)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이 정전편향방식은 주로 전기측정용(電氣測定用)으로서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등에 쓰이며 텔레비전 수상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텔레비전에서는 화상이 밝아야 하므로 전자의 속도를 높게 하는데, 빔의 이동는 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편향에 필요한 전압이 높아져서 불리하다.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정전편향"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