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중앙 관제
보이기
(정당성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12월) |
발해의 중앙 관제는 3성과 6부를 근간으로 편성하였다. 3성(三省)은 정당성·선조성·중대성을 말하며, 6부(六部)는 충부·인부·의부·지부·예부·신부를 말한다. 국정은 3성 중 정당성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정당성의 장관은 대내상(大內相)으로서 국정을 총괄하였고, 선조성과 중대성의 장관은 좌상(左相), 우상(右相)이었다.
정당성의 편성
[편집]정당성 아래에 있는 좌사정이 충·인·의 3부를, 우사정이 지·예·신 3부를 각각 나누어 관할하는 이원적인 통치체제를 구성하였다. 당나라의 제도를 수용하였지만 그 명칭과 운영은 발해의 독자성을 유지하였다. 이 외에도 관리들의 비리를 감찰하는 중정대, 서적 관리를 맡은 문적원, 중앙의 최고교육기관인 주자감 등이 있었다.
주요 기관
[편집]- 정당성(政堂省) : 국정을 총괄하였다. 당나라의 상서성(尙書省)에 해당한다. 대내상이 정당성의 장관이었다.
- 선조성(宣詔省) : 황제의 명령인 조칙(詔勅)을 심의하고 반박. 당나라의 문하성(門下省)에 해당한다. 좌상이 선조성의 장관이었다.
- 중대성(中臺省) : 국가의 입법 사무와 정책 수립을 관장했다. 당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해당한다. 우상이 중대성 장관이었다.
- 중정대(中正臺) : 관리의 비리를 감찰했다. 당나라의 어사대(御史臺)에 해당한다.
- 문적원(文籍院) : 서적·비문을 관리했다. 당나라의 비서성(祕書省)에 해당한다.
- 주자감(胄子監) : 중앙의 최고 교육 기관. 당나라의 국자감(國子監)에 해당한다.
같이 보기
[편집]출전
[편집]- 《신당서》 권219, 〈열전〉144, [북적], 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