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전국체육대회 메달 집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국체육대회 메달 집계대한체육회가 주관하는 전국체육대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각 종목별 결과와 순위에 따라 시상한 메달을 집계하고, 메달과 경기 성적에 따라 선수단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순위를 메기는 방식으로 집계한다.

순위 결정[편집]

전국체육대회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종합 순위는 규정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선수단별로 점수를 합산하여 종합 순위를 결정한다.[1] 재외 한인 선수단은 금메달 수, 은메달 수, 동메달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2]

점수 부여[편집]

종목별로 배정된 점수가 다르며, 각 선수단은 종목별로 획득한 점수와 메달 획득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가 부여된다.[3] 종목별 점수는 종목별로 배당된 점수(확정배점) 중에서 해당 종목에 참가한 선수단이 얻은 모든 점수 합계 중에서 각 선수단이 얻은 점수 비율에 따라 부여된다.[3]

종목별 확정배점[편집]

각 종목별로 배당된 점수(확정배점)은 다음과 같다.[3] 단, 참가한 선수단 수가 부족하여 해당 종목에서 모든 선수단이 얻은 점수 총계가 확정배점보다 낮은 경우, 최하위 선수단을 100점으로 하고 순차적으로 100점씩 가산하여 확정배점이 대체된다.[3]

구분 확정배점 종목 비고
올림픽 종목 13,600점 축구, 야구 및 소프트볼, 테니스, 농구, 배구, 탁구, 핸드볼, 복싱, 유도, 양궁, 사격, 체조, 하키, 펜싱, 배드민턴, 태권도, 조정, 카누, 사이클
12,000점 럭비, 요트, 근대5종, 골프, 승마, 롤러스포츠, 레슬링
10,500점 육상 트랙, 육상 필드, 육상 로드, 수영(경영), 다이빙
9,100점 역도, 트라이애슬론
7,800점
4,500점 수구, 산악
3,600점
아시안 게임 종목 12,000점 정구, 볼링
10,500점 우슈, 스쿼시, 세팍타크로
3,600점 바둑
기타 종목 10,500점 씨름, 검도, 궁도
9,100점 핀수영, 에어로빅힙합
6,600점 보디빌딩
4,500점 당구, 댄스스포츠
3,600점 수상스키 및 웨이크보드

종목별 경기 점수[편집]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는 종목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순위에 따른 점수를 부여한다.[4] 기록 경기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는 종목은 각 종목별 요강에 따라 부여된다.[5] 기록 경기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는 종목은 각 종목별 요강에 따라 부여된다.

순위 점수 비고
1위 8점 우승
2위 7점 준우승
3위 5.5점 4강
5위 2.5점 8강
개최지 2.5점 개최지 기본 점수

신기록 가산 점수[편집]

육상, 수영(경영), 사이클, 역도, 양궁, 사격, 롤러스포츠(인라인스피드스케이팅), 핀수영 등 총 8개 기록 종목에서 신기록을 수립한 선수는 아래와 같은 비율로 해당 선수가 얻은 점수에 따른 가산점이 부여된다.[6]

종류 가산 점수 비고
세계 신기록 300%
세계 타이기록 200%
세계 주니어 신기록 160%
세계 주니어 타이기록 100%
한국 신기록 200%
한국 타이기록 60%
한국 주니어 신기록 60%
한국 주니어 타이신기록 50%
대회 신기록 50% 한국 학생 신기록 포함
개인 최고 기록 갱신 50% 육상, 수영 종목

메달 점수[편집]

획득한 메달에 따라 각 선수단별로 아래와 같은 점수가 부여된다.[7]

종목 메달 점수 비고
개인 종목 금메달 40점
은메달 20점
동메달 10점
단체 종목 금메달 80점
은메달 40점
동메달 30점

개최지 가산 점수[편집]

개최지 선수단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는 종목에 대해 해당 종목에서 얻은 점수의 20%를 개최지 가산 점수로 부여된다.[4][8]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