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지
![]() | 이 문서는 다른 문서에서 링크되지 않은 외톨이 글입니다. (2020년 9월) |
임혜지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독일 뮌헨에서 활동 중인 건축사학자(문화재 전문가)이자 작가이다.
약력[편집]
독일 칼스루에 대학교에서 건축과를 졸업하고, 건축사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참고 문헌 필요). 1993년 대전 엑스포에서 스위스관 설계 및 기획에 참여했으며(참고 문헌 필요), 2008년부터 인터넷한겨레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번역연대라는 단체를 만들어 독일 전문가들의 경고를 알리는 등 4대강 정비 사업 반대운동을 하고 있다.[1] (이 문장과 참고 문헌이 호응이 안됨. 이 참고 문헌에는 번역 연대라는 말이 아예 등장하지를 않으므로 임혜지가 번역연대라는 단체를 만들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참고 문헌이 되지 못함. 참고 문헌 보강 필요.) 2014년 경엔 뮌헨에서 유치원 보육교사로도 일했다.[2]
번역연대[편집]
번역연대는 2010년 6월 태어난 공동 번역 작업을 위한 모임이다. [3]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의 개인 홈페이지에는 번역연대가 임혜지 박사가 주장하여 만든 단체인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그 말의 출처나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4] 대한민국 정부가 4대강 정비 사업과 관련하여 독일의 사례를 왜곡한다고 보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시작, 정부의 주장들을 반박하는 자료를 만들고 있다. 독일 하천전문가와의 인터뷰[5]나 독일 하천전문가가 유엔에 보낸 '4대강 공사 반대' 서한 등의 자료를 번역해 공개하고 있다.[6]
저서[편집]
- 프리드리히 바인브렌너 시대의 칼스루에 주택(독일어)
- 내게 말을 거는 공간들, 2008년
- 고등어를 금하노라, 2009년
- [논문] 독일의 현대적 박물관의 조화문제 , 임혜지,Im Hye-Ji. "독일의 현대적 박물관의 조화문제" 과학과 기술 VOL.20 NO.8 (1987):35-38
논란[편집]
임혜지는 자신의 인터넷 검색과 그에 대한 자신의 해석으로 라인강의 기적(the miracle on the Rhine, das Wunder am Rhein)이 "한국의 언어문화에서 파생한 표현이었다"고 주장하였다. (2008) [7]
영어판 위키피디아에는 the miracle on the Rhine이 한국어 표현이라는 주장이 없으나(틀린 주장을 안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글판 위키피디아에는 대략 2009년부터 대략 10여년간 임혜지와 마찬가지로 라인강의 기적이 한국어 표현이라는 주장이 있어왔는데, 이와 다른 견해를 가진 집필자들이 임혜지 박사의 칼럼을 언급하기도 했다.[8]
각주[편집]
- ↑ 임혜지 "4대강사업 그렇게 자신 있으면 수출해라", 뷰스앤뉴스
- ↑ 아이들 죽음 내모는 나라, 오승훈 기자. “미국선 안전 취약한 빈곤층 학부모들에 별도 교육”. 한겨레. 2020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http://www.hanamana.de/dul/ 번역연대 구성원들이 누구인지, 언제 모임을 갖는 지, 임금이 어떻게 지급되고 있는 지, 단체의 회계 상황은 어떠한 지, 등이 공개된 바가 없다.
- ↑ 독일에선 이미 끝난 '운하'와 '보', 이준구 서울대교수
- ↑ 독일 전문가의 ‘4대강 후유증’ 경고, 인터넷한겨레
- ↑ 4대강 상황 심각... 공사 중단하고 기술자에게 시간 줘야, 오마이뉴스
- ↑ 임지혜. “독일인은 ‘라인강의 기적’을 모른다 왜?”. 한겨레.
- ↑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인강의_기적&diff=22635872&oldid=22635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