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공감 문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중 공감 문제를 묘사하는 이미지

이중 공감 문제란 자폐인이 비자폐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사회적/의사소통적 문제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이다. 주장의 개요는 자폐인과 비자폐인의 상호간 이해 결여와 의사소통 및 사회인지적 특성, 경험의 양극향적 차이로 인해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의 관계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1][2] 실제로 자폐인들은 다른 자폐인과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공감에 별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는 것이 근거가 된다. 기존의 주요 이론들과의 차이는 문제의 원인을 자폐인 편측의 선천성 능력 결여에서 찾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의 주요 이론은 사이먼 바론 코헨Simon Baron-Cohen 교수가 주장한 것으로 자폐인의 선천적인 공감과 ToM 기관의 결여를 원인으로 지목했으나, 현재는 재현 실패와 새로운 복합적 발견들로 인해 실증적인 측면에서 의문과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3] 실제로 사이먼 교수는 2020년 12월의 팟캐스트와 2022년 3월의 기고글에서 이중 공감 문제와 그 근거가 되는 최근의 발견들을 인정했다.[4][5] 2015년 이래 이 이론에 대한 연구는 점점 늘어나고 있고, 실험, 질적연구, 참여관찰 등의 방법론을 이용한 그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이론을 일관적으로 지지하고 있다.[6][7][8][9][10][11][12][13][14]

역사[편집]

마음이론과 공감 이론에 기반한 초기의 자폐 연구들은 자폐의 제1원인을 ToM의 부재로 지목했다. 대표적인 연구가 바로 상술한 사이먼 바론코헨 교수의 1980~90년대 연구들로, 그의 이론은 자폐인의 상태를 마음맹mindblindness이라 지칭했다.[15][16] 그의 이론은 2005년 《마음맹》으로 출간되었다.[17]</ref>

21세기 초에 들어서야, ToM 이론을 근거로 한 자폐 관련 실험들이 자폐인 대 신경전형인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자폐인의 내재적 사회성 부재 탓으로 오독하도록 유인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문이 학계에서 제기되었다. 대안으로 제시된 가설은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사이의 신경학적 차이점이 둘 사이의 이해를 어렵게 한다는 주장이었다.[18][19]

이중 공감 문제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자폐 연구가 다미안 밀턴으로, 2012년의 일이다.[18]

신경학적 대조연구[편집]

자폐인 대 자폐인의 친교관계 형성 난이도와 의사소통 효율성에 대한 연구들은 자폐증 성인들이 같은 자폐인과의 관계에서 더 양호한 관계를 형성하며 쉽게 의사소통한다는 결과를 냈다. 자폐인 대 신경전형인의 관계보다 자폐인 대 자폐인의 관계가 더 친밀하게 형성되며, 서로를 이해하고 상대의 생각과 의도를 추측함에 있어 신경전형인의 그것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내었다. 자폐에 가까운 특성을 가진 자폐인의 친족들이 그렇듯이 말이다.[20]

자폐인이 신경전형인을 이해함에 있어 처참한 성과를 보이듯이, 신경전형인이 자폐인을 이해함에 있어 보이는 성과도 그러했다.[18] 사실, 전자의 이해도가 후자의 그것보다 더 높은데, 이는 자폐인들이 비-자폐인 사회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신경전형인을 이해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18] 특히 많은 자폐인은 자폐인 사이의 공통경험인 청소년기의 왕따나 괴롭힘을 회피하는 과정에서 신경전형인을 습득하게 된다.[21]

자폐인의 ToM 기관은 보통 논리와 규칙을 기반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신경전형인들과 다른 점이다.[22] 만일 자폐인이 선천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진다면, 자폐인과 자폐인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의 의사소통 만큼이나 여러 문제가 생기는 것이 맞다. 이 연구는 심리학과 정신의학 학계에서 흔히 퍼진 추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자폐인의 사회적 능력이 여태껏 낮게 여겨진 것은 그들이 다른 자폐인을 만나고 서로 어울리기 어려운 신경전형인 중심적 사회에서 살기 때문이다.

2018년의 새로운 연구는 자폐인들이 무생물을 의인화하곤 한다는 조사 결과를 냈다.[23] 이는, 여태껏 흔히 알려졌듯이 자폐인들이 공감능력을 상실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공감방식이 신경전형인보다 복잡함과 동시에 더 포괄적일지도 모른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자폐인들의 관점[편집]

많은 자폐 활동가들이 이중 공감 문제 관점을 지지하며, 과거의 ToM 이론은 자폐인에게 낙인으로 작용했음을 지적했다.[24] 자폐인-신경전형인 관계에서의 상호 이해 결여를 자폐인 측의 전적인 책임으로 돌리는 동시에[25] 그들을 공감 능력 없는 비인간적 존재로 보이게 했다는 것이다.

다미안 밀턴은 기존의 ToM 이론을 백신 자폐 유발설만큼이나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26]

참고 문헌[편집]

  1. Milton, Damian E.M. (October 2012).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Disability & Society》 (영어) 27 (6): 883–887. doi:10.1080/09687599.2012.710008. ISSN 0968-7599. S2CID 54047060. 
  2. DeThorne, Laura S. (2020년 3월 1일).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The ASHA Leader》 (영어) 25 (3): 58–65. doi:10.1044/leader.ftr2.25042020.58. S2CID 216359201.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3. Gernsbacher, Morton; Yergeau, Melanie (2019). “Empirical Failures of the Claim That Autistic People Lack a Theory of Mind”. 《Archives of Scientific Psychology》 (영어) 7 (1): 102–118. doi:10.1037/arc0000067. PMC 6959478. PMID 31938672. 
  4. Richards, Gareth; Baron-Cohen, Simon (2022년 5월 19일). “Evidence of partner similarity for autistic traits, systemizing, and theory of mind via facial expressions”. 《Scientific Reports》 (영어) 12 (1): 8451. doi:10.1038/s41598-022-11592-z. PMC 9118825. PMID 35589769. 
  5. “A Conversation About 'The Pattern Seekers' by Simon Baron-Cohen”. 2020년 12월 19일. 
  6. Bolis, Dimitris; Lahnakoski, Juha M; Seidel, Daniela; Tamm, Jeanette; Schilbach, Leonhard (2020년 10월 26일). “Interpersonal similarity of autistic traits predicts friendship quality”.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6 (1-2): 222–231. doi:10.1093/scan/nsaa147. ISSN 1749-5016. PMC 7812635. PMID 33104781. 
  7. Chen, Yu-Lun; Senande, Laura L.; Thorsen, Michael; Patten, Kristie (2021). “Peer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ame-group and cross-group social interactions among autistic and non-autistic adolescents”. 《Autism》 25 (7): 1885–1900. doi:10.1177/13623613211005918. PMC 8419288. PMID 34169757. 
  8. Morrison, Kerrianne E.; Debrabander, Kilee M.; Jones, Desiree R.; Faso, Daniel J.; Ackerman, Robert A.; Sasson, Noah J. (2020). “Outcomes of real-world social interaction for autistic adults paired with autistic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partners”. 《Autism》 24 (5): 1067–1080. doi:10.1177/1362361319892701. PMID 31823656. S2CID 209317731. 
  9. Davis, Rachael; Crompton, Catherine J. (2021). “What do New Findings About Social Interaction in Autistic Adults Mean for Neurodevelopmental Research?”.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6 (3): 649–653. doi:10.1177/1745691620958010. PMC 8114326. PMID 33560175. 
  10. Crompton, Catherine J.; Ropar, Danielle; Evans-Williams, Claire VM; Flynn, Emma G.; Fletcher-Watson, Sue (2020). “Autistic peer-to-peer information transfer is highly effective”. 《Autism》 24 (7): 1704–1712. doi:10.1177/1362361320919286. PMC 7545656. PMID 32431157. 
  11. Crompton, Catherine J.; Sharp, Martha; Axbey, Harriet; Fletcher-Watson, Sue; Flynn, Emma G.; Ropar, Danielle (2020). “Neurotype-Matching, but Not Being Autistic, Influences Self and Observer Ratings of Interpersonal Rapport”. 《Frontiers in Psychology》 11: 586171. doi:10.3389/fpsyg.2020.586171. PMC 7645034. PMID 33192918. 
  12. Crompton, Catherine J.; Hallett, Sonny; Ropar, Danielle; Flynn, Emma; Fletcher-Watson, Sue (2020). 'I never realised everybody felt as happy as I do when I am around autistic people': A thematic analysis of autistic adults' relationships with autistic and neurotypical friends and family”. 《Autism》 24 (6): 1438–1448. doi:10.1177/1362361320908976. PMC 7376620. PMID 32148068. 
  13. Mitchell, Peter; Sheppard, Elizabeth; Cassidy, Sarah (2021). “Autism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9 (1): 1–18. doi:10.1111/bjdp.12350. PMID 33393101. S2CID 230489027. 2022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 
  14. Williams, Gemma L.; Wharton, Tim; Jagoe, Caroline (2021). “Mutual (Mis)understanding: Reframing Autistic Pragmatic "Impairments" Using Relevance Theory”. 《Frontiers in Psychology》 12: 616664. doi:10.3389/fpsyg.2021.616664. PMC 8117104. PMID 33995177. 
  15. Baron-Cohen, Simon; Leslie, Alan M.; Frith, Uta (1985년 10월 1일).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 《Cognition》 (영어) 21 (1): 37–46. doi:10.1016/0010-0277(85)90022-8. ISSN 0010-0277. PMID 2934210. S2CID 14955234. 
  16. Baron-Cohen, Simon (1988년 10월 1일). “Social and pragmatic deficits in autism: Cognitive or affectiv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18 (3): 379–402. doi:10.1007/BF02212194. PMID 3049519. S2CID 2050249. 
  17. Simon, Baron-Cohen (2005). 《마음맹》. 시그마프레스. ISBN 978-89-583-2139-2. 
  18. Milton, Damian E.M. (October 2012).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Disability & Society》 (영어) 27 (6): 883–887. doi:10.1080/09687599.2012.710008. ISSN 0968-7599. S2CID 54047060. 
  19. Rogers, Kimberley; Dziobek, Isabel; Hassenstab, Jason; Wolf, Oliver T.; Convit, Antonio (2007년 4월 1일). “Who Cares? Revisiting Empathy in Asperger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영어) 37 (4): 709–715. doi:10.1007/s10803-006-0197-8. ISSN 1573-3432. PMID 16906462. S2CID 13999363. 
  20. Sucksmith, E.; Allison, C.; Baron-Cohen, S.; Chakrabarti, B.; Hoekstra, R. A. (2013년 1월 1일). “Empathy and emotion recognition in people with autism, first-degree relatives, and controls”. 《Neuropsychologia》 (영어) 51 (1): 98–105. doi:10.1016/j.neuropsychologia.2012.11.013. ISSN 0028-3932. PMC 6345368. PMID 23174401. 
  21. Dickter, Cheryl L.; Burk, Joshua A.; Zeman, Janice L.; Taylor, Sara C. (2020년 6월 1일).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Autistic Adults”. 《Autism in Adulthood》 2 (2): 144–151. doi:10.1089/aut.2019.0023. ISSN 2573-9581. S2CID 212921826. 
  22. Spikins, Penny; Wright, Barry; Hodgson, Derek (2016년 10월 1일). “Are there alternative adaptive strategies to human pro-sociality? The role of collaborative morality in the emergence of personality variation and autistic traits”. 《Time and Mind》 9 (4): 289–313. doi:10.1080/1751696X.2016.1244949. ISSN 1751-696X. S2CID 151820168. 
  23. White, Rebekah; Remington, Anna (2018). “Object personification in autism: This paper will be very sad if you don't read it”. 《Autism》 (영어) 23 (4): 1042–1045. doi:10.1177/1362361318793408. ISSN 1362-3613. PMID 30101594. S2CID 51969215. 
  24. DeThorne, Laura S. (2020년 3월 1일).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The ASHA Leader》 (영어) 25 (3): 58–65. doi:10.1044/leader.ftr2.25042020.58. S2CID 216359201.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25. Heasman, Brett; Gillespie, Alex (2018). “Perspective-taking is two-sided: Misunderstandings betwee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and their family members”. 《Autism》 (영어) 22 (6): 740–750. doi:10.1177/1362361317708287. ISSN 1362-3613. PMC 6055325. PMID 28683569. 
  26. Milton, Damian (2014). “Autistic expertis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autism studies”. 《Autism》 (영어) 18 (7): 794–802. doi:10.1177/1362361314525281. ISSN 1362-3613. PMID 24637428. S2CID 20671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