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본랏차타니
우본랏차타니시자치체 | |||
เทศบาลนครอุบลราชธานี | |||
![]() | |||
| |||
국가 | ![]() | ||
---|---|---|---|
면적 | 29.04 km2 | ||
인구 | 79,978명 (2017년 기준) | ||
인구밀도 | 2,800명/km2 (2017년 기준) | ||
주도 | 우본랏차타니주 | ||
우편번호 | 34000 | ||
시간대 | UTC+7 | ||
홈페이지 | cityub.go.th |
우본랏차타니(태국어: อุบลราชธานี)는 태국 이산 지방 남동부에 있는 도시이다. 줄여서 우본(อุบล ฯ)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연꽃이 만개한 왕의 땅'을 의미한다. 우본은 우본랏차타니 주의 행정 중심이다. 우본의 2000년 인구는 106,552명이다.
역사[편집]
도시는 18세기 후반의 딱신 왕의 치세 때 비엔티안의 시리분산 왕으로부터 도망 온 타오캄퐁(เท้าคำผง)에 의해 세워졌다. 이후 타오캄퐁은 '프라빠툼웡사'로 임명되었고 우본랏차타니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1792년에 우본랏차타니는 주가 되었고 또한 몬톤 이산의 행정 중심 역할을 했다. 1972년까지 우본랏차타니 주는 태국에서 가장 큰 주였다. 1972년에 야소톤 주, 1993년에 암낫차른 주가 분리되어 현재는 5번째로 큰 주이다.
우본랏차타니는 문 강의 북쪽 기슭에 놓여있다. 강의 남쪽 기슭은 사실상 도시로 편입된 와린참랍(줄여서 와린)의 교외가 차지하고 있다.
우본은 2차 대전 때 일본군이 노동력 징발을 위해 방콕에서부터 와린까지 철도를 부설하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베트남 전쟁 때 미군은 도시에 우본 왕립 태국 공군기지를 건설했다. 현재는 군민양용의 공항이 되어있다.
라오족의 영향은 도시의 종교 건축물을 통해 나타난다.
교통[편집]
공항[편집]
철도[편집]
방콕의 중앙역인 후아람퐁 역에서 출발하는 북동부 철도의 종점이다.
교육[편집]
기후[편집]
Ubon Ratchathani (198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37.2 (99.0) |
39.2 (102.6) |
40.6 (105.1) |
42.0 (107.6) |
41.2 (106.2) |
38.3 (100.9) |
38.5 (101.3) |
35.8 (96.4) |
37.1 (98.8) |
35.2 (95.4) |
36.5 (97.7) |
35.9 (96.6) |
42.0 (107.6) |
평균 최고 기온 °C (°F) | 31.7 (89.1) |
34.0 (93.2) |
35.8 (96.4) |
36.4 (97.5) |
34.7 (94.5) |
33.3 (91.9) |
32.6 (90.7) |
31.9 (89.4) |
31.8 (89.2) |
31.8 (89.2) |
31.4 (88.5) |
30.6 (87.1) |
33.0 (91.4) |
일 평균 기온 °C (°F) | 24.2 (75.6) |
26.5 (79.7) |
28.9 (84.0) |
30.0 (86.0) |
29.0 (84.2) |
28.4 (83.1) |
28.0 (82.4) |
27.6 (81.7) |
27.4 (81.3) |
26.8 (80.2) |
25.4 (77.7) |
23.7 (74.7) |
27.2 (81.0) |
평균 최저 기온 °C (°F) | 17.5 (63.5) |
19.9 (67.8) |
22.5 (72.5) |
24.4 (75.9) |
24.5 (76.1) |
24.4 (75.9) |
24.2 (75.6) |
23.9 (75.0) |
23.7 (74.7) |
22.5 (72.5) |
20.3 (68.5) |
17.8 (64.0) |
22.1 (71.8) |
최저 기온 기록 °C (°F) | 10.0 (50.0) |
11.7 (53.1) |
10.3 (50.5) |
16.4 (61.5) |
20.6 (69.1) |
20.2 (68.4) |
20.0 (68.0) |
20.0 (68.0) |
19.2 (66.6) |
15.9 (60.6) |
13.3 (55.9) |
8.9 (48.0) |
8.9 (48.0)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2.0 (0.08) |
15.4 (0.61) |
30.5 (1.20) |
86.8 (3.42) |
208.6 (8.21) |
240.2 (9.46) |
254.4 (10.02) |
303.3 (11.94) |
293.8 (11.57) |
123.1 (4.85) |
22.6 (0.89) |
1.0 (0.04) |
1,581.7 (62.27) |
평균 강우일수 | 0.6 | 1.4 | 3.5 | 7.5 | 15.4 | 17.6 | 18.8 | 21.0 | 19.0 | 11.3 | 3.6 | 0.6 | 120.3 |
평균 상대 습도 (%) | 65 | 63 | 62 | 66 | 75 | 79 | 80 | 82 | 82 | 78 | 71 | 68 | 73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26.3 | 211.9 | 201.5 | 186.0 | 158.1 | 117.0 | 120.9 | 117.8 | 108.0 | 145.7 | 186.0 | 223.2 | 2,002.4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7.3 | 7.5 | 6.5 | 6.2 | 5.1 | 3.9 | 3.9 | 3.8 | 3.6 | 4.7 | 6.2 | 7.2 | 5.5 |
출처 1: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1] | |||||||||||||
출처 2: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sun and humidity)[2] |
축제[편집]
우본은 해마다 7월에 개최되는 우본랏차타니 양초 축제로 유명하다.
각주[편집]
- ↑ “Climatological Data for the Period 1981–2010”.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 12쪽. 2016년 8월 2일에 확인함.
- ↑ “ปริมาณการใช้น้ำของพืชอ้างอิงโดยวิธีของ Penman Monteith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by Penman Monteith)” (PDF) (태국어).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56쪽. 2016년 8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