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브알부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브알부민(PDB 1OVA)의 구조

오브알부민(ovalbumin, OVA[1])은 흰자에서 볼 수 있는 주된 단백질이며, 전체 단백질의 55% 정도를 차지한다.[2] 오브알부민은 일련의 3차원 상동성세르핀 상과(superfamily)에 표출하지만 대부분의 세르핀과는 달리 세린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 억제제(serine protease inhibitor)는 아니다.[3] 오브알부민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저장 단백질로 추정된다[4]

구조[편집]

닭들의 오브알부민 단백질에는 385개의 아미노산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대 분자질량은 42.7 kDa[5]이고 세르핀과 같은 구조를 택하고 있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ano Kunio; Kanna Haneda; Gen Tamura; Kunio Shirato (1999). “Ovalbumin (OVA)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cilli Cooperatively Polarize Anti-OVA T-helper (Th) Cells toward a Th1-Dominant Phenotype and Ameliorate Murine Tracheal Eosinophilia”. 《Am. J. Respir. Cell Mol. Biol.》 20 (6): 1260–1267. doi:10.1165/ajrcmb.20.6.3546. 2011년 12월 28일에 확인함. 
  2. Takehiko Yamamoto, Mujo Kim, 《Hen eggs》 
  3. Hu H.Y., Du H.N. (2000). “Alpha to Beta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Ovalbumin: Heat and pH Effects”. 《Journal of Protein Chemistry》 19 (3): 177–183. doi:10.1023/A:1007099502179. PMID 10981809. 
  4. Gettins, PGW (2002). “Serpin structure, mechanism, and function”. 《Chemical Reviews》 102 (12): 4751–4804. doi:10.1021/cr010170+. 
  5. Nisbet, AD; Saundry, RH; Moir, AJG; Fothergill, LA; Fothergill, JE (1981). “The complete amino-acid sequence of hen ovalbumin”.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15 (2): 335. doi:10.1111/j.1432-1033.1981.tb05243.x. 
  6. Stein, Penelope E.; Leslie, Andrew G. W.; Finch, John T.; Carrell, Robin W. (1991년 10월 5일). “Crystal structure of uncleaved ovalbumin at 1·95 Å resolution”.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21 (3): 941–959. doi:10.1016/0022-2836(91)80185-W.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