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연산동 고분군

(연산동고분군에서 넘어옴)

부산 연산동 고분군
(釜山 蓮山洞 古墳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사적
부산광역시 연제구 제공
종목사적 제539호
(2017년 6월 30일 지정)
면적66,068m2
관리연제구
참고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위치
주소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산90-4
좌표북위 35° 11′ 15″ 동경 129° 5′ 31″ / 북위 35.18750° 동경 129.09194°  / 35.18750; 129.0919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연산동 고분군
(蓮山洞 古墳群)
대한민국 부산광역시기념물(해지)
종목기념물 제2호
(1972년 6월 26일 지정)
(2017년 6월 30일[1]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부산 연산동 고분군(釜山 蓮山洞 古墳群)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무덤이다. 2017년 6월 30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39호로 지정되었다.[2]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조성된 삼국 시대 고분군인 연산동 고분군은 배산(盃山, 254m) 북쪽의 완만한 구릉 능선을 따라 18기의 봉분(封墳)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경사지에는 1천 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영남지역 삼국 시대 고분군 중 가장 규모가 큰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가 확인된 연산동 고분군은 신라와 가야의 고분 축조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다. 또한 부산 지역과 신라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이 함께 출토되어 5~6세기 부산과 영남 지역의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사적 승격 사유[편집]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조성된 삼국 시대 고분군인 연산동 고분군은 배산(盃山)에서 북쪽으로 내려오는 완만한 구릉의 능선을 따라 18기의 봉분(封墳)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경사지에는 1천 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2]

1987년부터 2013년까지 7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한 결과, 지금까지 조사된 영남지역 삼국시대 고분군 중 가장 규모가 큰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가 확인되었다.[2]

부산 연산동 고분군은 삼국 시대 무덤 축조기술을 알 수 있어 그 가치가 높은데,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 석곽 내부를 점토로 발라 마감, ▲ 빗물이 석곽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부엽공법 이용, ▲ 마사토를 이용하여 연약 지반을 강화하고 봉분의 하중을 분산, ▲ 봉분을 견고하게 쌓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점토 덩어리 사용, ▲ 거대 뚜껑돌 이동을 위한 목재 사용 등이다.[2]

연산동 고분군은 신라와 가야의 고분 축조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고, 출토유물도 부산 지역만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과 신라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이 함께 출토되어 5~6세기 부산과 영남 지역의 고대사 및 고대 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주목된다.[2]

문화재 지정 및 명칭 변경[편집]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2호 연산동고분군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9월 3일 연산동 고분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2017년 3월 2일 대한민국의 사적 지정 예고[4]를 거쳐, 2017년 6월 30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39호 부산 연산동 고분군으로 지정되었다.

갤러리[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7-211호,《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지정 해제 고시》, 부산광역시장, 부산시보 제1785호, 2017-07-05
  2. 문화재청고시제2017-82호,《「부산 연산동 고분군」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문화재청장, 관보 제19041호, 440-441면, 2017-06-30
  3.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4-363호,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4-09-03
  4. 문화재청공고제2017-89호, 《부산 연산동 고분군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예고》, 관보 제18959호, 214-216면, 2017-03-02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