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앙굿따라 니까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앙굿타라 니까야에서 넘어옴)

팔리 삼장

    율장    
   
                                       
경분별 건도 부수
               
   
    경장 5부    
   
                                                      
장부 중부 상응부
                     
   
   
                                                                     
증지부 소부
                           
   
    논장 7론    
   
                                                           
법취 분별
인시설
논사 쌍론 발취론
                       
   
         

v  d  e  h

앙굿타라 니카야(Aṅguttara Nikāya, A, AN) 또는 증지부(增支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Pañca Nikāya, 五部) 중 네번째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다.

약 2308개의 경이 11장(nipāta, 章)으로 나뉘어 있는데, 각 장의 숫자와 관련된 내용으로 정리되어 있다. 각 장은 다시 10개의 품(品)으로 나뉜다.

한역본(漢譯本)은 동진(東晋) 승가제바(僧伽提婆)가 한역(漢譯)한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K.0649, T.0125)인데, 구성에 차이가 있다.

구성[편집]

  1. Ekaka-nipāta, 일집(一集)
  2. Duka-nipāta, 이집(二集)
  3. Tika-nipāta, 삼집(三集)
  4. Catukka-nipāta, 사집(四集)
  5. Pañcaka-nipāta, 오집(五集)
  6. Chakka-nipāta, 육집(六集)
  7. Sattaka-nipāta, 칠집(七集)
  8. Aṭṭhaka-nipāta, 팔집(八集)
  9. Navaka-nipāta, 구집(九集)
  10. Dasaka-nipāta, 십집(十集)
  11. Ekādasaka-nipāta, 십일집(十一集)

한국어 번역[편집]

완역[편집]

  • 강종미 옮김, 《앙굿따라니까야: 부처님의 말씀》(천안: 호두마을선원), 제1권~제2권, 2009. — 제4장 4품 일부까지
  • 전재성 역주, 《(세계최초완전복원번역 앙굿따라니까야)앙굿따라니까야》, 제1권~제11권, 2007~2008. — 1·2권, 8·9권은 합본으로 모두 9권.
  • 대림 옮김, 《(빠알리 경장)앙굿따라 니까야: 숫자별로 모은 경》(울산: 초기불전연구원), 제1권~제6권, 2006~2007.

발췌역[편집]

  • 대림 옮김, 《가려뽑은 앙굿따라 니까야》(초기불전 시리즈 4,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2008.
  • 전재성 역주, 《(앙굿따라니까야 앤솔로지)생활 속의 명상수행: 한 권으로 읽는 앙굿따라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7.
  • 최봉수 지음, 〈증지니카야—남방의 증일아함〉,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불학총서 11, 서울: 불광출판부), 8장, 427~512쪽, 1993.

주석서[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