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
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 Ανδρόνικος Παλαιολόγος Καντακουζηνός | |
---|---|
로마자 표기 | Andronikos Palaiologos Kantakouzenos |
사망 | 1453년 6월 4일 콘스탄티노폴리스 |
성별 | 남성 |
국적 | 동로마 제국 |
경력 | 메가스 도메스티코스 |
직업 | 제국 고위 관리 |
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그리스어: Ανδρόνικος Παλαιολόγος Καντακουζηνός, 1453년 6월 4일 사망)는 동로마 제국의 마지막 메가스 도메스티코스였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당시 도시에 있었던, 그는 도시가 함락된 지 5일 만에 오스만의 술탄 메흐메트 2세에 의해 처형된 제국의 고위 관리들 중 한 명이었다.[1]
안드로니코스는 콘스탄티노스 11세에게 세르비아의 전제공 주라지 브란코비치의 딸인 마라 대신에 그의 세 번째 아내로 트라페준타의 다비드의 딸인 안나를 맡으라고 조언한 사람들 중 하나였다.[2] 그의 이름은 1448년 4월에 체결된 동로마 제국과 베네치아 사이의 조약에서 당시 편찮았던 디미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를 대신하여 나타난다.[3]
그는 1436년 가을 요안니스 8세 팔레올로고스 황제가 세르비아인에게 교회 연합에 관해 페라라-피렌체 공의회에 대표단을 보내도록 설득하기 위해 보낸 메가스 도메스티코스 칸타쿠지노스일 가능성이 높다. 역사학자 실베스트로스 시로풀로스는 이 사람을 "세르비아 전제공의 처남"이라고 묘사했다. 따라서 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는 주라지 브란코비치의 아내 이리니 칸타쿠지니의 남자형제이다.[3] 세르비아 교회는 이 공의회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고, 만약 신원 확인이 정확하다면 안드로니코스가 콘스탄티노스 황제와 마라 브란코비치의 결혼을 반대하게 된 동기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
[편집]위그 부사크가 편찬한 그의 아내의 계보에 따르면, 안드로니코스는 요르요스 팔레올로고스 칸타쿠지노스의 형제이며, 요르요스와 함께 디미트리오스 1세 칸타쿠지노스 혹는 테오도로스 칸타쿠지노스의 아들로 추정된다. 그는 결혼을 했고, 적어도 한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메가스 둑스 루카스 노타라스의 딸과 결혼했다. 두카스는 그 젊은 칸타쿠지노스가 어떻게 그의 장인과 함께 그들의 처형에 동행했는지 전한다.[4]
각주
[편집]- ↑ Nicol, Donald (1968). 《The Byzantine family of Kantakouzenos (Cantacuzenus) ca. 1100-1460: A Genealogical and Prosopographical Study》. Dumbarton Oaks studies 11.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179ff쪽. OCLC 390843.
- ↑ George Sphrantzes, 32.7, translated in Marios Philippides,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 Chronicle by George Sphrantzes, 1401-1477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80), p. 63
- ↑ 가 나 Nicol, Byzantine Family, p. 180
- ↑ Nicol, Byzantine Family, pp. 180f. However, Nicol had backed away from the identification of Demetrios as Andronikos' and George's father; see his "The Byzantine Family of Kantakouzenos: Some Addenda and Corrigenda", Dumbarton Oaks Papers, 27 (1973), pp. 31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