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게노르
아게노르(고대 그리스어: Ἀγήνωρ 뜻: 영웅적인, 남자다운[*])는 그리스 신화에서 페니키아의 왕이었다.[1] 그의 아내는 텔레파사였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아게노르를 기원전 2000년 이전의 인물로 추정하였다.[2]
가계
[편집]아게노르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개의 상반된 기록이 존재한다. 일부는 포세이돈과 리비아의 아들로 언급하며, 형제로 벨루스를 언급한다. 다른 문헌에서는 벨루스와 아키로에의 아들로 기록되었다.
아게노르의 아이들에 관해서도 문헌은 차이를 보인다. 에우로파,[3] 카드무스,[4] 킬릭스,[5] 포이닉스,[6] 피네우스,[7] 타수스[8]를 낳았다고 적은 문헌이 다수이며 케페우스와[9] 시로스[10]를 낳았다고 적은 경우도 있다. 아내로는 텔레파사,[11] 아르기오페,[12][13] 안티오페,[14] 티로가[15]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 중 티로는 고대 페니키아의 도시국가 티레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16]
아테네의 페레퀴데스에 따르면, 아게노르는 처음에 벨루스의 딸인 담노와 결혼하여 포이닉스와 이사이아, 멜리아, 다나우스를 낳았다고 한다. 멜리아는 아이깁투스와 결혼하였다. 이후 나일강을 의인화한 신 닐루스의 딸인 아르기오페와 결혼하여 카드무스를 낳았다고 한다.[13]
신화
[편집]제우스는 아게노르의 딸 에우로페가 꽃을 모으는 것을 보고 그와 즉시 사랑에 빠졌다. 제우스는 흰 수소로 변신하여 에우로페를 크레테 섬으로 데려갔다. 그는 그 후 그의 진짜 신분을 드러내고 에우로페는 크레테의 첫 여왕이되었다. 한편 아게노르는 에우로페의 형제 카드무스와 킬릭스를 그녀를 찾게 보내면서 그녀없이는 돌아오지 말라고 하였다. 약간의 이야기에서는 아게노르는 다른 형제도 보냈는데 피네우스 또는 타수스이다.
에우로페는 발견되지 않고 어떤 형제도 돌아오지 않았다.[17][18] 카드무스는 델포이의 현자에게 자문을 구해서 암소를 만날 때까지 여행할 것을 조언받았다. 그는 이 암소를 따라서 암소가 주저 앉는 곳에 도시를 만들었다. 이 도시가 그리스의 테베가 되었다. 킬릭스는 소아시아에 정착하였다. 그곳은 그의 이름을 따라서 킬리키아로 불렸다.
아게노르와 도시의 창건
[편집]베르길리우스는 카르타고를 아게노르의 도시라 불렀는데,[19] 이는 카르타고의 시조인 디도가 아게노르의 후손임을 암시한 것이다. 독일 철학자 필립 칼 버트만은 아게노르의 페니키아어 이름은 '츠나스' 또는 '크나'라고 분석했는데, 가나안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더 나아가서 아게노르를 창세기 속 인물인 가나안과 동일하다고 보았다.[1]
아게노르를 시돈의 창건자로 보기도 한다. 이때 아게노르는 페니키아 문자를 도입하였다고 추정된다. 페니키아 문자는 후에 카드무스에 의해 그리스인들에게 전해졌다는 것이다.[20]
각주
[편집]- ↑ 가 나 Schmitz, Leonhard (1867), 〈Agenor (1)〉, Smith, William,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1,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68쪽, 2013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Herodotus, Histories, II, 2.145
- ↑ Diodorus Siculus, 5.78.1; Ovid, Metamorphoses 2.858; Statius, Achilleid 2.72–74; Apollodorus, 3.1.1; Hyginus, Fabulae 155 & 178; Lucian, Dialogi Marini 15 & De dea Syria 4; St. Jerome, Chronicon B1284; Tatian, Address to the Greeks 33; Scholiast on Plato, Timaeus 24e; Malalas, Chronographia 2.30; Varro, De lingua latina libri 5.31; Ampelius, Liber Memorialis 2.1; Rutilius Namatianus, De reditu suo 1.249
- ↑ Herodotus, 4.147.4; Sophocles, Oedipus Rex 268; Bacchylides, Dithyrambs 19.46–48; Euripides, Bacchae 170–171;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1186 with scholia; Diodorus Siculus, 3.74.6, 4.2.1, 5.48.5, 5.57.5 & 5.58.2; Ovid, Metamorphoses 3.8, 3.97 & 4.563, Epistulae ex Ponto 1.3.77; Apollodorus, 3.1.1; Hyginus, Fabulae 6, 76, 178, 274 & 275; Lucian, De dea Syria 4; Marmor Parium, Chronicle 8; Malalas, Chronographia 2.30 & 39; Pausanias, 3.15.8; Nonnus, Dionysiaca 2.3, 2.680, 2.699, 3.218 & 44.101; Tzetzes, Chiliades 12.112; Aristophanes, Frogs 1225–1226; Eusebius, Praeparatio evangelica 2.2.1 & 10.4.4
- ↑ Herodotus, 7.91.1; Scholiast on Euripides, Phoenissae 6; Apollodorus, 3.1.1; Hyginus, Fabulae 178; Nonnus, Dionysiaca 2.685; Malalas, Chronographia 2.30–31
- ↑ Scholiast on Euripides, Phoenissae 6; Apollodorus, 3.1.1; Hyginus, Fabulae 178; Dictys Cretensis, 1.9; Antoninus Liberalis, 40; Malalas, Chronographia 2.30–31; Suda, s.v. Phoenician letters
- ↑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2.178, 2.236–237, 2.240, 2.293–294, 2.426, 2.490, 2.618 & 3.943 with scholia on 2.178; Apollodorus, 1.9.21; Hyginus, Fabulae 14, 19, 76; Dictys Cretensis, 3.5; Orphic Argonautica 680 ff.; Valerius Flaccus, 4.444, 522 & 582
- ↑ Scholiast on Euripides, Phoenissae 6; Pausanias, 5.25.12; Nonnus, Dionysiaca 2.684
- ↑ Nonnus, Dionysiaca 2.682–683
- ↑ Malalas, Chronographia 2.30–31 & 34
- ↑ Apollodorus, 3.1.1
- ↑ Hyginus, Fabulae 6 & 178
- ↑ 가 나 Gantz, p. 208; Pherecydes fr. 21 Fowler 2000, p. 289 = FGrHist 3 F 21 = Scholia on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1177-87f
- ↑ Scholiast on Euripides, Phoenician Women 5; Tzetzes, Chiliades 7.165–166
- ↑ Gomme, A. W. (1913). “The Legend of Cadmus and the Logographoi”. 《JHS》: 70.
- ↑ Malalas, 2.30
- ↑ Apollodorus, iii. 1. § 1
- ↑ Hyginus, Fabulae 178
- ↑ Virgil, Aeneid i. 338
- ↑ Raleigh, Walter; William Oldys (ed.). 《The Works of Sir Walter Raleigh》. 224, 274–278쪽.